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인물
· ISBN : 9788965707721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9-04-05
책 소개
목차
추천사 _ 정휴 스님
저자의 말 _ 아름답지 않은 별빛이 없듯이 곡절 없는 인생사는 없습니다
금강석처럼 굳은 마음의 수행자 _금강 스님
동짓날 조사전에 팥죽을 올리고 / ‘금강’이라는 법명에 담긴 깊은 뜻 / 어떻게 고양이 새끼를 살린 것인가
“아무것도 모르니 똑바로 갈밖에” _대봉 스님
숭산 스님과 함께한 마지막 1년 / 세상의 부조리에서 삶의 궁극적 문제로 / 숭산 스님 친견 후 삶의 나침반을 얻다 / 어떻게 병 속의 닭을 꺼낼 것인가
“이르는 곳마다 나의 집이니 오고 감을 논하지 말라” _동선 스님
은사의 기일에 다례재를 올리는 효상좌 / 은사와 상좌의 법연이 지중하니 / 불법의 이치를 찾아 떠난 10년간의 만행
소리로 마음을 다스리고 대중을 교화하리라 _동희 스님
눈물을 흘리거나 예불을 하거나 / 냄비 뚜껑을 들고 바라춤을 추다 / 세상의 낮은 것들을 품어 흐르는 물처럼
내가 사라져도 장엄한 그림만은 남기를 _만봉 스님
부지깽이 들고 흉내 내기 시작한 불화 / 금어가 되고 봉원사로 정식 출가하다 /
‘나’라는 허깨비를 지우기 위하여
대충 스님에게서 배운 천태지관의 선미(禪味) _무원 스님
중생을 보살피는 관세음보살의 심정으로 / 마음의 작용을 알면 참다운 나의 주인 / 통일불사의 완성을 위하여
출가란 참 안온한 길이다 _본각 스님
부처님 품안에서 다시 태어난 6남매 / “시집가고 싶으면 가거라” / 이미 여래가 길을 제시했다
성능 스님에게서 배운 삼천대천세계의 우주관 _상덕 스님
닐 암스트롱과 개심사 소금쟁이 / 절마당의 꽃들이 피는 것도 보지 못하고 / 여법한 비구니 강원을 세우기 위하여
하루살이에게서 영원을 본 ‘아득한 성자’ _오현 스님
아래로 내려갈수록 높이 올라가는 길 / “오현이는 천하의 게으름뱅이” / 문둥이 부부를 만나고 발심하다 / 중생의 삶이 팔만대장경이고 부처고 선지식이다
혁명가의 길, 출격대장부의 길 _원경 스님
남로당 거물들과 함께한 유년 시절 / “이 아이를 절에 잘 숨겨주시오” / 오랜 방황과 설움을 딛고 출격대장부의 길로 / 이 땅의 외로운 넋들을 위로하며
손에 닿는 모든 것이 진리라네 _월서 스님
삶과 죽음의 경계가 어디에 있는가 / “너를 힘들게 한 것이 무엇이냐?” / 흐르기 전의 자리로 돌아가리라
운문사 강원에 피어난 화엄의 꽃밭 _일진 스님
“조용한 산중에 사는 스님이 될래요” / 은사의 간절한 바람을 가슴에 품고 / 비구니 전강시대를 열다
자신이 서 있는 자리에서 자신을 보라 _정우 스님
은사와 함께한 일주일, 백 년보다 값진 시간 / “내 생전에 법문 듣다가 박수치기는 처음이야” / 도심 포교와 군 포교에 원력을 세우다
남해바다를 유산으로 물려받은 대장부 _정휴 스님
“내가 너에게 줄 유산은 바다뿐이다” / 나고 죽음을 버리면 적멸이 즐거움이 된다 / “한평생 돌고 돌아 한 발자국도 옮기지 않았네”
수동적인 삶에 허락된 단 하나의 자유 _종림 스님
유토피아를 찾아 사상의 지도를 그리다 / 어떤 사상으로도 찾을 수 없었던 대답, ‘나는 누구인가?’ / 출가를 통해 얻은 것은
민주화운동에 앞장선 실천불교의 상징 _지선 스님
도덕책과 부처님 전생담을 좋아한 소년 / 백양사 염불 소리에 마음을 빼앗겨 / 민초들의 신음을 달래주고 있는가
한마음선원의 눈 푸른 납승 _청고 스님
호기심 많은 소년, 삶에 근원적 질문을 던지다 / 시시각각 다가오는 죽음을 피할 수 없다면 / 대행 스님을 통해 한국불교의 정수를 보다 / 마음의 눈을 떠 보이지 않는 것조차 보리라
권력 앞에 비굴하지 않은 수행자의 자존심 _청화 스님
잊을 수 없는 부처님, 댓돌 위의 하얀 고무신 / 아이스께끼 통을 내려놓고 노스님을 따라 / 수행자는 어떤 경우라도 자존감을 가져야 한다
소도 잊고 나도 잊는 깨달음 이루리라 _탁연 스님
모녀가 한 세숫대야에 삭발한 사연 / 그리운 우리 스님, 그리운 어머니 / 어머니가 앞서가신 길을 따라 동화사로
삶이 무상함을 알았으니 이제 해탈을 구하리라 _현해 스님
마음의 문을 열어젖힌 경구 한 구절 / 꿈속에서 만난 관세음보살 / 번뇌의 때를 벗고, 지혜의 촛불을 잡고
남 위해 살면 보살, 자신 위해 살면 중생 _혜자 스님
형수의 손에 이끌려 도선사로 가다 / 귀동냥 눈동냥, 마음으로 새긴 청담 스님의 법문 / 스스로 복 짓는 삶을 살고 있는가
삶이란 저 명멸하는 빛과 같지 아니한가 _혜조 스님
모든 중생의 참부모를 찾아서 / 오늘도 나의 죄는 길다 / 뜻밖의 사고에서 얻은 큰 깨달음
- “네가 꽃을 사랑하듯 꽃도 너를 사랑하느냐?” _혜총 스님
꽃 진 자리에 다시 꽃이 피어나듯 / 조어장부를 모시며 40여 년을 배우다 / 문수보살의 지혜가 이 세상에 두루하니
저자소개
책속에서
대봉 스님은 한 달 뒤 로드아일랜드의 프로비던스 선원에서 출가했다. 그곳은 숭산 스님이 미국에서 처음으로 세운 선원이었다. 대봉 스님 자신에게는 더없이 좋은 선택이었지만, 다른 사람들의 생각도 같을 수는 없었다. 히피처럼 머리를 치렁치렁 기르고 다니던 아들이 갑자기 삭발하자 어머니는 아쉬운 속내를 감추지 못했다.
“네 머리가 짧았으면 했는데 너무 짧아진 것 같구나.”
_대봉 스님, “아무것도 모르니 똑바로 갈밖에” 중에서
스님은 절을 빠져나왔다. 문을 나서자 걸음이 빨라졌다. 할머니에 대한 그리움이 걸음을 재촉했다. 스님은 가쁜 숨을 몰아쉬며 한걸음에 집까지 갔다. 대문을 열고 마당에 들어서니 집도 할머니도 예전 모습 그대로였다.
“할머니, 제가 왔어요.”
그런데 할머니가 반기기는커녕 놀란 기색을 감추지 못했다.
“저는 스님 같은 손녀를 둔 적이 없습니다. 집을 잘못 찾아온 모양입니다.”
할머니는 허공에 시선을 두고서 손녀를 애써 외면했다. 표정만큼이나 냉랭한 할머니의 대답이 마당의 공기를 갈랐다.
_동희 스님, “소리로 마음을 다스리고 대중을 교화하리라” 중에서
어느 날 은사 스님이 방문을 열고 말했다.
“시집가고 싶으면 가거라. 다른 애들도 다 보냈는데 너라고 보내지 못하겠느냐.”
그 말은 물수제비 지나간 수면처럼 본각 스님의 가슴에 파문을 남겼다. 그 순간 본각 스님은 모든 상념에서 벗어나 자신이 가야 할 길을 분명히 직시하게 됐다.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고민하던 스님에게 은사의 말씀은 등불처럼 환한 가르침이었다.
_본각 스님, “출가란 참 안온한 길이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