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65822080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6-01-01
책 소개
목차
1장 우리나라 들여다보기
1 우리나라 우리 국토 | 국토의 의미와 국토관
· 땅은 살아있는 생명체
· 인간과 자연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풍수지리 현장
·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국토관
생각해 보세요 | 우리 국토의 의미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2 우리나라는 어디에 있을까? | 위치
· 위치파악이 경쟁력
· 위도와 경도로 본 위치
· 대륙과 해양이 만나는 곳
· 기차, 버스, 배를 타고 유럽을 가다
· 우리나라의 배꼽은 어디일까요?
생각해 보세요 | 북극항로가 뭐예요?
3 우리나라의 주권이 미치는 곳 | 영역
· 우리나라의 영역은 어디까지일까?
· 우리 땅을 지켜요
· 200해리까지 우리 바다
· 하늘에도 주인이 있어요
생각해 보세요 | 우리나라의 영역으로서 독도의 가치는 무엇일까요?
4 한반도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 지형
· 한반도는 몇 살일까?
· 동쪽은 높고 서쪽은 낮은 지형
· 설악산과 지리산, 출생의 비밀
· 강물아 흘러 흘러 어디로 가니?
· 편편한 땅, 평야
· 동해, 남해, 황해의 서로 다른 모습
· 바다의 허파, 갯벌
· 한반도의 화산활동
· 환경 훼손으로 몸살을 앓는 한반도
생각해 보세요 | 동고서저 지형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들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5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 | 기후
· 우리나라는 온대 기후?
· 가장 추운 곳과 가장 더운 곳
· 편서풍과 계절풍
· 편서풍을 타고 오는 황사
· 비가 많이 오는 곳, 눈이 많이 오는 곳
· 무섭지만 착한 바람, 태풍
· ‘철이 들었다’는 의미는?
· 기후에 따라 달라지는 김치 문화
· 기후에 따라 달라지는 주거 문화
· 한반도의 기후가 이상하다
생각해 보세요 | 날씨나 기후와 관련된 속담은 무엇일까요?
2장 한반도의 중심 수도권
1 수도권의 형성과 발전
· 한강을 지배하는 자가 역사를 갖는다
· 교통이 발달하면 수도권의 범위가 넓어져요
· 인구와 산업이 집중된 대한민국 경제의 중심지
· 위성도시의 탄생
· 수도권의 기능을 지방에 나누어 주기
· 세계의 중심으로 발돋움하는 수도권
생각해 보세요 | 수도권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요?
2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특별시
· 수도의 탄생
· 역사를 공부하며 걷는 서울 성곽길
· 지명으로 보는 서울의 역사
· 발전하는 공업과 서비스업
· 서울의 특화 거리
· 서울의 문화유적들
· 시티투어버스를 타고 한눈에 보는 서울
· 서울의 맛에 반하다
· 병풍처럼 둘러쳐진 서울의 산들
· 서울의 빛과 그림자
생각해 보세요 | ‘국보’와 ‘보물’에 붙은 번호는 무슨 의미일까요?
3 세계 속의 경기도
· 서울의 주변 지역, 경기(京畿)
· 경기도가 100인이 사는 마을이라면?
· 산과 평야와 바다가 있는 곳
· 농업, 공업, 서비스업, 첨단 산업이 골고루 발달
· 사통발달의 고장, 수원시
· 나랏일을 옮겨 의논했던 의정부시
생각해 보세요 | 경기도의 신도시는 어떤 기능을 하나요?
4 세계로 뻗어나가는 대한민국의 관문, 인천광역시
· 서울의 관문을 넘어 세계의 관문으로
· 영종도에 세워진 인천국제공항
·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송도국제도시
· 다양한 근대사의 흔적들
· 단군 때부터 한반도의 역사와 함께한 강화도
· 짜장면의 원조 차이나타운
· 원조와 달인이 많은 인천 신포국제시장
생각해 보세요 | 구한말 강화도에 유독 외적의 침입이 잦았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지구의 역사를 24시간으로 계산하면 한반도에는 아침 7시쯤 가장 오래된 돌이 나타났고, 동해바다가 만들어진 것은 밤 11시 50분쯤이 되는 것이랍니다. 그러나 한반도가 처음부터 지금의 모양이었던 것은 아니었어요. 원래는 북부와 남부 두 땅덩어리로 분리되어 있었대요. 북부의 땅덩어리는 중국에 붙어 있었고, 남부의 땅덩어리는 남위 35° 부근에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서쪽에 붙어 있었어요. 이중 남반구에 있었던 땅덩어리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떨어져 나와 점점 북쪽으로 이동해서 약 2억 년 전 중생대 때 북부의 땅덩어리와 충돌하면서 하나의 한반도가 만들어졌어요.
_한반도는 몇 살일까? 中
설악산과 지리산은 한눈에 다르게 생겼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설악산은 온통 바위투성이 산이고, 지리산은 바위는 별로 없고 나무와 풀이 우거진 산이지요. 이런 차이는 왜 나타나는 것일까요? 설악산과 지리산의 출생의 비밀을 파헤쳐 볼까요?
_설악산과 지리산, 출생의 비밀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