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65963226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19-05-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누가 넥스트 챔피언이 될 것인가
1장 공유가치창출, 경쟁을 넘어 지속가능한 시장을 창조하다
1. 돈 버는 기업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으로
1단계 주주를 넘어 이해관계자를 생각한다┃2단계 나이키 사태로 촉발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반성
3단계 ISO 26000의 탄생┃4단계 사회적 가치, 신성장 전략이 되다
2. 사회적 가치, 전략과 연결되다
마이클 포터 따라잡기┃경제와 사회적 가치의 전체 파이를 키워라┃파이를 키우는 세 가지 방법
2장 전략
1. 마이클 포터 경영 전략 이해하기
전략이란 무엇인가┃매력적인 산업을 결정하는 다섯 가지 요소┃클러스터 분석┃사회공헌과 경영전략의 융합
2. 어떻게 이길 것인가_ 사업부제 전략
목표는 SMART한가┃어떤 제품, 어느 지역,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우리만의 경쟁력은 무엇인가
똑같은 비즈니스 로직은 없다┃가짜 전략을 조심하라
3. 사회적 가치와 사업부제 전략의 융합
던져야 할 질문들┃최종 점검
4. 어떻게 성장할 것인가_ 전사 전략
전사 전략의 세 가지 종류┃다각화: 그라민, 은행에서 통신과 식품까지
글로벌 전략: 아프리카를 공략한 보다폰과 야라┃수직적 통합: 파타고니아와 아라빈드 병원
CSV 전사 전략의 장점
3장 마이클 포터를 넘어서_실전 CSV 전략
1. 사회적 가치를 비즈니스 모델로 전환하는 법_ SCE모델
CSV 가치 창출 과정┃CSV 전략 수립은 거꾸로┃핵심은 고객가치에 있다
2. 넥스트 챔피언을 위한 세 가지 CSV 비즈니스 모델
비용우위 모델┃Case Study. 저개발국을 공략한 네슬레 보급형 제품
Case study. CJ제일제당 베트남 고추재배 사업
차별화 모델┃Case Study. 친환경의 대명사가 된 파타고니아
클러스터 모델┃Case Study. 야라인터내셔널의 아프리카 공략법
3. 탐스슈즈는 CSV 모델인가
탐스슈즈의 비즈니스 모델┃CSV 모델로 전환하려면┃핵심은 지속가능한 성장
4. SCE 모델: CSR, 전략적 CSR 그리고 CSV
SCE 모델: CSR┃SCE 모델: 전략적 CSR┃SCE 모델: 수립기준
4장 혁신
1. 새로운 관점, 새로운 시장
1등의 실패┃소비자 패러다임이 변했다
2. GE를 다시 챔피언으로 만든 에코매지네이션
기술혁신의 덫┃환경 문제에서 찾은 돌파구┃에코매지네이션 혁신┃시사점
5장 조직
1. 조직혁신 없는 CSV 전략은 없다
2. 인터페이스의 조직혁신
‘더 나은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꿈┃공유하고 교육하고 실행하라
3. 조직혁신의 4요소: 틀, 조직, 실행, 인사
틀: 새로운 관점 찾기┃조직: 교육하고 공유하라┃실행: 가치사슬 혁신┃인사: 결국 동기부여
조직혁신 없이 CSV 전략도 없다┃Case Study. SK그룹의 조직혁신
6장 측정과 파트너십
1. 측정할 수 없으면 개선할 수 없다
산출보다는 성과┃측정을 위한 기본틀┃어떻게 사회적 가치를 측정할 것인가
2. 가치 흐름에 따른 CSV 성과 측정 모델
성과 측정과 관리를 위한 제언┃Case Study. 세멕스의 ‘오늘을 위한 기금’
Case Study. 수퍼빈의 측정 사례┃Case Study. SK그룹의 측정 사례
3.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규모보다는 시너지┃사회적 기업과 파트너십┃비영리조직 파트너 관점에서 CSV가 갖는 의미
협업으로 만드는 더 큰 혁신┃Case Study. CJ제일제당, KOICA, 베트남의 협업
4. CSV 실행을 위한 모듈 10
7장 비판과 오해
1. CSV에 대한 학술적인 비판
독창적이지 않다┃기업은 반드시 이기적이다┃기업의 태생적 한계
CSV는 복잡한 글로벌 가치사슬을 다룰 수 없다┃비현실성┃순진한 접근이다┃근본적 한계
2. CSV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
CSR은 CSV로 진화한다?┃CSR을 하는 기업은 CSV로 즉시 전환할 수 있다?
CSV는 대기업의 전유물이다?┃CSV를 하면 이윤이 줄어든다?┃CSV는 사회적 가치를 많이 창출할수록 좋다?
맺음말 이중언어 인재를 키우자!
부록 1. 지금 CSV는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가
부록 2. CSV 관련 조직과 행사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실제로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다층적으로 연결해 혁신의 동력으로 삼는 기업이 시장의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이들은 전통의 강자 GE(미국)부터 네슬레(스위스, 식품), 야라인터내셔널(네덜란드, 농업), 보다폰(영국, 핀테크) 등 국가, 업종, 규모, 업력이 제각각이다. 그러나 하나같이 ‘사회적 가치’를 통해 자신만의 지속가능한 시장을 구축하고 있다.
오랫동안 갈등관계로 여겨온 사회와 시장을 융합할 기회가 우리 눈앞에 펼쳐지고 있다. 기업은 새로운 가치 창출의 원천으로서 사회 문제를 이해하고,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어느 한 기업의 도덕이나 철학을 넘어 실제 비즈니스의 변화를 촉발할 이러한 혁신 전략을 ‘공가치창출’ 즉 CSV(Creating Shared Value) 전략이라고 부른다.
CSV 전략을 수립하려면 사회문제를 둘러싼 사회·문화·경제 지식과 더불어 경영전략에 대해서도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한편 사회복지·사회사업·사회공헌 분야에서 지식과 경험을 축적한 전문가라 할지라도 경영전략에 대한 구체적 지식 없이는 CSV 전략을 효율적으로 수립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경영전략을 수립하려는 사람은 사회문제에 더욱 개방적인 사고방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기업의 역할을 지나치게 협소하게 정의하고 시장의 범위를 현존하는 고객의 니즈로만 국한한다면, 새롭게 부상하는 신시장 및 혁신의 가능성을 놓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