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7550842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2-12-19
책 소개
목차
머리말┃들어가는 말 : 교육의 봄은 옵니다. 우리 삶을 걸고 하는 선언입니다.
1. 새로운 직업의 시대: 학벌의 시대는 끝났다! 손주은 | 메가스터디 회장
‘사교육의 괴수’와 ‘사교육의 킬러’의 만남
‘네카라쿠배당토’를 아세요?
사교육은 10년 안에 사라질 수도 있다
이제는 뉴 칼라의 시대
잘 노는 것이 곧 직업
직업의 시대에서 ‘업직’ ‘창직’의 시대로
클래스101, 뉴빌리티, 그리고 틴스튜디오
N잡러·긱 이코노미, 새로운 직업의 길을 찾아라
공교육과 사교육의 이분법을 넘어서
질의응답
2. 당신은 다른 사람의 성공에 기여한 적이 있는가 이소영 | 마이크로소프트사 이사
지식이 2배가 되는 속도
홀로 성장하는 시대는 끝났다
마이크로소프트가 빠진 함정
달라진 리더의 역할
절대평가와 성장 마인드셋으로 직원 평가 방식을 바꾸다
영향력에 대한 세 가지 질문
부모는 아이 뒤에서 반 발짝만 따라가 주세요
질의응답
3. 직업의 발견: 우리에게 직업은 무엇인가 도현명 | 임팩트스퀘어 대표
직업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 그리고 선택
누구나 인생에 한 번쯤 창업을 경험한다
일에 대한 관점이 바뀌고 있다
기다리고 버텨서 성공한 사람들
느린 학습자 아이에게 수학을 가르치는 것에서 출발하다
나를 닮은 직업을 찾아라
좋은 직업을 갖는다는 것
질의응답
4. 메타버스 시대와 인재 4.0 신태균 | KAIST 겸직교수·전 삼성인력개발원 부원장
인류 문명의 네 번째 코너링
새롭게 펼쳐지는 메타버스 사회
메타버스가 만드는 7개의 공간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
4.0 인재에게 필요한 네 가지 조건
4.0 인재가 갖추어야 할 다섯 가지 능력
인재 4.0 시대에 교육은 어떻게 해야 할까?
문명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
질의응답
5. 채용 대안의 새 길을 개척하는 마이다스아이티의 이야기 이형우 | 마이다스아이티 회장
첫 번째 질문: 어떻게 창업을 하게 되었고, 세계 1위가 되었는가?
두 번째 질문: 왜 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었는가?
세 번째 질문: 사람은 어떤 존재인가?
네 번째 질문: 채용 솔루션 사업을 시작한 동기와 비전은 무엇인가?
다섯 번째 질문: 역량의 합리적 개념은 무엇인가?
여섯 번째 질문: 역량은 언제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일곱 번째 질문: 성년 이후에 노력을 통해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가?
여덟 번째 질문: 역검은 왜 개발하였고, 어떤 효과가 있는가?
질의응답
6. 체인지메이커들: 변화를 이끈 역량은 무엇인가 이혜영 | 아쇼카 한국 대표
‘우리 모두가 체인지메이커입니다’
공공 영역에 비즈니스 개념을 도입하다
아쇼카 펠로우를 선정하는 다섯 가지 기준
첫 펠로우는 인도의 초등학교 선생님
한국에 교육 분야 펠로우가 많은 이유
개인과 사회의 프레임워크 변화가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역량은 ‘공감’
AI 시대의 일자리, 사라지거나 만들어지거나
미래 직업 세계에서 필요한 역량
자아실현을 넘어서 자아초월로 나아가려면
사회혁신가로 성장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준 사람은 부모
아쇼카 한국의 새로운 실험
질의응답
7. 학벌 없는 채용의 시대를 열어 가는 사람들 이야기 송인수 | 교육의봄 공동대표
사교육걱정없는세상, 못다 이룬 것들
한계를 돌파하기 위해 ‘교육의봄’을 창립하다
학벌은 일 잘하는 능력인가?
학벌이냐 역량이냐 선택해야 할 때
앞으로 채용 시장은 어떻게 변할까?
학벌 없는 채용의 시대가 교육에 주는 의미
교육의봄,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다
교육 따로, 채용 따로가 되지 않으려면
옛길과 결별하고 새로운 길을 만들어야 할 때
질의응답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국의 사교육은 세계 어느 나라에나 있는 일반적인 의미의 사교육과는 다릅니다. 고도 압축 성장의 부산물이기 때문입니다. 이런 빠른 성장은 어두운 그림자가 있기 마련입니다. 이 그림자는 2000년대 이후 20~30년은 더 가겠지만 사회가 성숙해지면서 한국적 특수성으로서의 사교육은 자연스럽게 약화되거나 사라질 것입니다. 앞으로 10년 안에 한국적 사교육이 사라질 수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예측해 봅니다.
어떤 사람들이 성공할까요? 제가 그동안 살펴본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은 수없이 실패한 사람들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부모님들은 어떤 교육관을 갖고 계신가요? 단 한 차례의 시험에도 실패해서는 안 된다고 다그치면서 아이를 경쟁 대열에 내몰고 있지는 않은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