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악학궤범

악학궤범 (천줄읽기)

성현 (지은이), 김명준 (옮긴이)
  |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2013-04-16
  |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17,100원 -5% 0원 9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악학궤범

책 정보

· 제목 : 악학궤범 (천줄읽기)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66806607
· 쪽수 : 262쪽

책 소개

조선시대 악전(樂典)인 <악학궤범>은 노래 가사는 물론 연회 제도, 악기, 의상, 무용 등을 종합적으로 다룬 음악 학술 이론서이기에 그동안은 연구의 대상일 뿐이었다. 이 책에서는 그중 문학적인 의의가 있는 노래를 간추려 소개한다.

목차

해설 ·····················15
엮은이에 대해 ··················20

제례 악장
해제 ·····················23
풍운뇌우(風雲雷雨) ···············24
1. 전폐(奠幣) 숙안지악(肅安之樂) ········25
2. 초헌(初獻) 수안지악(壽安之樂) ········27
① 산천(山川) ···············28
② 성황(城隍) ···············29
3. 철변두(徹?豆) 옹안지악(擁安之樂) ·····31
지기(地祇) 사직(社稷) ··············33
1. 전폐(奠幣) ·················34
2. 초헌(初獻) ·················36
① 국사(國社) ···············36
② 국직(國稷) ···············37
3. 철변두(徹?豆) 옹안지악(雍安之樂) ·····39
선농(先農) ····················41
1. 전폐(奠幣) 숙안지악(肅安之樂) ········42
2. 초헌(初獻) 수안지악(壽安之樂) ········44
① 정위(正位) ···············44
② 배위(配位) ···············45
3. 철변두(徹?豆) 옹안지악(雍安之樂) ······47
선잠(先蠶) ····················49
1. 전폐(奠幣) 숙안지악(肅安之樂) ········50
2. 초헌(初獻) 수안지악(壽安之樂) ········52
3. 철변두(徹?豆) 옹안지악(雍安之樂) ······54
우사(雩祀) ····················55
1. 전폐(奠幣) 숙안지악(肅安之樂) ········56
2. 초헌(初獻) 수안지악(壽安之樂) ········58
① 구망(句芒) ···············58
② 축융(祝融) ···············59
③ 후토(后土) ···············60
④ 욕수(?收) ···············61
⑤ 현명(玄冥) ···············63
⑥ 후직(后稷) ···············64
3. 철변두(徹?豆) 옹안지악(雍安之樂) ······66
문소전(文昭殿) ··················68
1. 초헌(初獻) ·················69
① 일실(一室) 환환곡(桓桓曲) ········69
② 이실(二室) 미미곡(??曲) ········70
③ 삼실(三室) 목목곡(穆穆曲) ········71
④ 사실(四室) 오혁곡(於赫曲) ········72
⑤ 오실(五室) 황의곡(皇矣曲) ········73
2. 아헌(亞獻) ·················75
① 일실(一室) 유황곡(維皇曲) ········75
② 이실(二室) 유천곡(維天曲) ········77
③ 삼실(三室) 오황곡(於皇曲) ········80
④ 사실(四室) 유상곡(維上曲) ········83
⑤ 오실(五室) 유아곡(維我曲) ········85
3. 종헌 정동방곡(靖東方曲) ··········88
연은전(延恩殿) ·················92
1. 초헌 오목곡(於穆曲) ·············93
2. 아헌 유황곡(維皇曲) ·············94
3. 종헌 유아곡(維我曲) ·············96
소경전(昭慶殿) ·················100
1. 초헌 의여곡(?與曲) ············101
2. 아헌 유상곡(維上曲) ············102
3. 종헌 숙성곡(淑聖曲) ············105
둑제(纛祭) 납씨가(納氏歌) ············109
친경적전(親耕籍田) ···············112
대사례(大射禮) ·················118
1. 어사(御射) 악장(樂章) ···········119
2. 시사(侍射) 악장 ··············121
친잠(親蠶) ···················123

연향 악장
기영회(耆英會) ·················129
1. 투호가사(投壺歌詞) ············130
융안지악(隆安之樂) ···············132
휴안지악(休安之樂) ···············133
수보록지악(受寶?之樂) ·············134
근천정지악(覲天庭之樂) ·············137
문명지곡(文明之曲) ···············140
하황은지악(荷皇恩之樂) ·············142
무열지곡(武烈之曲) ···············145
수명명지악(受明命之樂) ·············147

당악(唐樂) 정재(呈才)
해제 ·····················153
금척(金尺) ···················154
수보록(受寶?) ·················158
근천정(覲天庭) ·················160
수명명(受明命) ·················163
하황은(荷皇恩) ·················165
하성명(賀聖明) ·················168
성택(聖澤) ···················176

속악(俗樂) 정재(呈才)
봉래의(鳳來儀) ·················183
1. 여민락(與民樂) ··············186
① 해동장(海東章) ·············186
② 근심장(根深章) ·············187
③ 원원장(源遠章) ·············187
④ 석주장(昔周章) ·············188
⑤ 금아장(今我章) ·············188
⑥ 적인장(狄人章) ·············189
⑦ 야인장(野人章) ·············190
⑧ 천세장(千歲章) ·············190
⑨ 자자장(子子章) ·············191
⑩ 오호장(嗚呼章) ·············192
2. 치화평(致和平) ··············193
① 칠저장(漆沮章) ·············193
② 상덕장(商德章) ·············194
③ 붉은새장(블근새장) ···········194
④ 태자장(太子章) ·············195
⑤ 봉천장(奉天章) ·············196
⑥ 일부장(一夫章) ·············197
⑦ 우예장(虞芮章) ·············198
⑧ 오년장(五年章) ·············199
⑨ 말씀장(말?장) ·············200
⑩ 성손장(聖孫章) ·············201
⑪ 양자강장(揚子江章) ···········201
⑫ 도망장(逃亡章) ·············202
아박(牙拍) 정재 ·················205
1. 동동(動動) ················206
무고(舞鼓) 정재 ·················215
1. 정읍(井邑) ················216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 ·····218
1. 처용가(處容歌) ··············220
2. 봉황음(鳳凰吟) ··············226
3. 정과정(鄭瓜亭) ··············230
4. 북전(北殿) ················232
5. 미타찬(彌陀讚) ··············235
6. 본사찬(本師讚) ··············237
7. 관음찬(觀音讚) ··············244
교방가요(敎坊歌謠) ···············250
1. 문덕곡(文德曲) ··············251
① 개언로(開言路) ·············251
② 보공신(保功臣) ·············252
③ 정경계(正經界) ·············253
④ 정예악(定禮樂) ·············254

부록 ·····················255
옮긴이에 대해 ··················261

저자소개

성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료 문인이다.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염조(念祖)의 셋째 아들이다. 자는 경숙(磬叔), 호는 용재(?齋)·허백당(虛白堂)·부휴자(浮休子)·국오(菊塢), 시호는 문대(文戴)다.1462년(세조 8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1466년 발영시(拔英試)에 급제해 박사(博士)로 등용되었다. 이어 사록(司錄) 등을 거쳐 1468년 예문관수찬(藝文館修撰)을 지냈다. 맏형 임(任)을 따라 명나라 사행(使行) 때 지은 기행시를 정리해 ≪관광록(觀光錄)≫으로 엮었다. 1475년 다시 한명회(韓明澮)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와서 이듬해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 대사간 등을 지냈다. 1485년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형조참판 등을 거쳐, 평안도관찰사를 지냈다. 평안도관찰사로 있을 때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과 왕창(王敞)이 왔는데 이들과 시를 주고받아 그들을 탄복하게 했다. 이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예조판서에 올랐다.연산군이 즉위하자 공조판서로 대제학(大提學)을 겸임했다. 죽은 지 수개월 후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글씨를 잘 썼으며, 특히 음률(音律)에도 밝아 장악원제조(掌樂院提調)를 겸하고 유자광(柳子光) 등과 함께 ≪악학궤범≫을 편찬해 음악을 집대성했다. 뿐만 아니라 왕명으로 고려가요 <쌍화점(雙花店)>, <이상곡(履霜曲)>, <북전(北殿)>을 개산(改刪)했다. 대표 저술인 ≪용재총화≫는 조선 초기의 정치·사회·문화·제도·풍속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밖에 ≪허백당집≫, ≪풍아록≫, ≪부휴자 담론≫, ≪주의패설(奏議稗說)≫, ≪금낭행적(錦囊行跡)≫, ≪상유비람(桑楡備覽)≫, ≪풍소궤범≫, ≪경륜대궤(經綸大軌)≫, ≪태평통재(太平通載)≫ 등 많은 저술이 있다.
펼치기
김명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제주제일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고전문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파키스탄 국립외국어대학교[NUML] 한국어학과 교수를 지냈다. 《고려속요 집성》(2002), 《악장가사 연구》와 《악장가사 주해》(2004), 《한국 고전시가의 모색》(2008), 《악장가사》 (2011), 《시용향악보》(2011), 《악학궤범》(2013), 《고려속요의 전승과 확산》(2014), 《생각하며 읽는 한국고전시가》(2018), 《한국고시조선집》(2019), 《주해 신정가보》(2021)를 비롯한 다수의 책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삼실(三室) 목목곡(穆穆曲)

너그러운 세종이시여
천명을 받은 기틀 닦으심에 넓고 깊게 정성을 다하도다
예를 갖추고 음악을 조화시킴에
조상의 뜻 이어받아 빛내셨도다
성덕이 몸에 있어
깊은 인덕으로 온 백성 기르셨도다
아 만년에 이르도록
공적을 길이 빛내 주소서

穆穆世宗
基命宥密
禮備樂和
克光繼述
聖德在躬
深仁育物
於萬斯年
永昭休烈


·친경적전(親耕籍田)

내가 늘 농사를 염려하니
봄은 이미 되었도다
쟁기와 보습을 잡고
몸소 친히 밭갈이를 하도다
다섯 번 밀고 다섯 번 돌림은
옛 법을 따름이로다
내 백성들에게 권하니
백성은 본받을지라

念我穡事
曰亦旣春
于?于?
必躬必親
五推五反
古訓是式
勸我民天
維民之則


·임금이여 아소서, 낙수(落水)에 사냥 가 있으면서 조상만 믿으시겠습니까

嗚呼 嗣王監此 洛表游? 皇祖其恃

[원문] 님금하 아?쇼셔 洛水예 山行 가이셔 하나빌 미드니?가(125장 3절)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