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원서발췌 허백당집

원서발췌 허백당집

성현 (지은이), 홍순석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14,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060원 -5% 2,500원
440원
16,1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600원 -10% 480원 8,160원 >

책 이미지

원서발췌 허백당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원서발췌 허백당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시조집
· ISBN : 9791128859892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2-01-28

책 소개

≪부휴자 담론≫에서 ‘부휴자’를 내세워 조선 전반에 대한 담론을 펼쳤다면, ≪허백당집≫에서는 허백당 성현의 본연의 모습을 드러낸다. 천여 수에 달하는 시 작품과 산문 속에 그가 바라보는 조선의 모습, 그가 그리는 사회, 그가 권하는 풍류가 두루 담겼다. 국내 최초로 현대어로 옮긴 ≪원서발췌 허백당집≫을 통해 성현과 현대의 독자들의 소통의 폭을 좁힐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시집 詩集
옛 시를 본떠서 10수 擬古十首
시골집 12수 田家詞十二首
목면사 木綿詞
고민을 떨치려 5수 遣悶五首
시골에서 鄕曲卽事
궁벽한 마을 窮村詞
한식날 寒食行
왜구를 근심하며 患倭
비를 맞고 청주 동헌에 적다 帶雨題淸州東軒
나례희를 보며 觀儺
불꽃놀이를 보며 觀火
양천 별장에 도착해서 到楊川別墅
약밥 香飯
유두일에 수단병을 먹다 流頭日食水團餠
처용 處容
나무를 베는 사람들 伐木行
봄 가뭄 春旱
물가의 살구꽃 臨水杏花
냉천정 冷泉亭
자석산 아래를 지나며 過紫石山下
위원 객사에 적다 題渭原客舍
보리 베기 刈麥行
적교정에 쉬며 재해를 입은 밭에 마음 상해서 憩狄橋亭傷田畝被災
강동 옛 읍성을 지나며 過江東古邑城 是陽壤國所都
꼭두각시놀음을 보며 觀傀儡雜戱

보집 補集
장악원에 앉아서 가악을 보며 4수 坐樂院觀樂四首
연경궁 옛터 延慶宮古基
섣달 그믐날 후원에 들어와 불꽃놀이를 보며 除夕入侍後苑觀火 是時大雪
동지를 축하하며 賀冬至
새해 첫날 회례연에서 元日會禮宴
임금을 호종해 서쪽 교외에서 모심기를 보다 扈駕西郊觀稼
기러기를 잃어버리다 失鴈
상춘 2수 傷春二首
단오일 端午日
십장생을 그린 세화를 하사받고 受賜歲畵十長生

풍아록 風雅錄
따뜻한 봄날 陽春歌
오랑캐 피리 胡笳曲
맑은 강가에서 淸江曲
요새에서 塞上曲
논두렁 머리에서 隴頭吟
그네뛰기 鞦韆詞
멀리 나가 놀며 遠遊篇
옷을 다듬으며 搗衣篇
종군의 아내 征婦怨
누에 치는 아낙네 蠶婦歎
가을비 秋雨歎
홀로 보지 못하여 獨不見
오래 그리워해도 長相思
먼 이별 遠別離
박명한 첩 妾薄命
생각이 있어 有所思
창가 베틀에서 當窓織
긴 가을밤 秋夜長
첩과 말을 바꾸다 妾換馬
첩은 편하게 있지만 妾安所居
고소대 高蘇臺

습유 拾遺
창화리를 지나며 過昌和里

문집 文集
부 賦 / 석가산부 石假山賦
기 記 / 장악원제명기 掌樂院題名記
서 序 / 풍소궤범서 風騷軌範序
월산대군시집서 月山大君詩集序
악학궤범서 樂學軌範序
뇌계시집서 㵢溪詩集序
논 論 / 사물은 함부로 합칠 수 없음을 논함 物不可以苟合論
설 說 / 검은 소 黑牛說
표전 表箋 /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며 올린 글 謝恩箋
잠명 箴銘 / 신발 屨
전 傳 / 부휴자전 浮休子傳
잡저 雜著 / 게으름을 조롱함 嘲慵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성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료 문인이다. 본관은 창녕(昌寧)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염조(念祖)의 셋째 아들이다. 자는 경숙(磬叔), 호는 용재(?齋)·허백당(虛白堂)·부휴자(浮休子)·국오(菊塢), 시호는 문대(文戴)다.1462년(세조 8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1466년 발영시(拔英試)에 급제해 박사(博士)로 등용되었다. 이어 사록(司錄) 등을 거쳐 1468년 예문관수찬(藝文館修撰)을 지냈다. 맏형 임(任)을 따라 명나라 사행(使行) 때 지은 기행시를 정리해 ≪관광록(觀光錄)≫으로 엮었다. 1475년 다시 한명회(韓明澮)를 따라 명나라에 다녀와서 이듬해 문과중시(文科重試)에 급제, 대사간 등을 지냈다. 1485년 천추사(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형조참판 등을 거쳐, 평안도관찰사를 지냈다. 평안도관찰사로 있을 때 명나라 사신 동월(董越)과 왕창(王敞)이 왔는데 이들과 시를 주고받아 그들을 탄복하게 했다. 이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어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와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예조판서에 올랐다.연산군이 즉위하자 공조판서로 대제학(大提學)을 겸임했다. 죽은 지 수개월 후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했다. 뒤에 신원(伸寃)되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글씨를 잘 썼으며, 특히 음률(音律)에도 밝아 장악원제조(掌樂院提調)를 겸하고 유자광(柳子光) 등과 함께 ≪악학궤범≫을 편찬해 음악을 집대성했다. 뿐만 아니라 왕명으로 고려가요 <쌍화점(雙花店)>, <이상곡(履霜曲)>, <북전(北殿)>을 개산(改刪)했다. 대표 저술인 ≪용재총화≫는 조선 초기의 정치·사회·문화·제도·풍속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밖에 ≪허백당집≫, ≪풍아록≫, ≪부휴자 담론≫, ≪주의패설(奏議稗說)≫, ≪금낭행적(錦囊行跡)≫, ≪상유비람(桑楡備覽)≫, ≪풍소궤범≫, ≪경륜대궤(經綸大軌)≫, ≪태평통재(太平通載)≫ 등 많은 저술이 있다.
펼치기
홍순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박사, 한국한문학전공, 강남대학교 한영문화콘텐츠학과 명예교수, 포은학회 명예회장, 해동암각문연구회 회장. 『포천의 암각문』 『경기도암각문』 『성현문학연구』 『양사언문학연구』 등 한국문학·지역학·민속학분야의 70여권 저술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권문은 불과 같아서
뛰어들면 열이 나고
벼슬길은 바다와 같아서
밟으면 빠지나니
오직 덕과 의로 할 뿐
삼가서 넘어서지 말라

權門如火
踏之則熱
宦道如海
履之則沒
惟德惟義
慎勿顚越
月迷津渡,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28859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