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이이화의 주제로 보는 한국사 3

이이화의 주제로 보는 한국사 3

(지혜로운 삶, 생활.풍속)

이이화 (지은이), 이명애 (그림)
풀빛미디어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이이화의 주제로 보는 한국사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이이화의 주제로 보는 한국사 3 (지혜로운 삶, 생활.풍속)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초등3~4학년 > 과학/수학/사회
· ISBN : 9788967340032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4-03-20

책 소개

'역사 할아버지 이이화'가 어린이에게 들려주는 주제별 한국사 이야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역사학자 이이화 선생님이 주제별로 한국사를 풀이한 책이다. 어린이가 궁금해하는 내용, 교과서에 꼭 나오는 내용을 엄선해 담았다.

목차

3책 지혜로운 삶, 생활ㆍ풍속--------
목차
작가의 글_역사 할아버지가 어린이에게 띄우는 편지

쌀밥은 언제부터 먹었나요?
보릿고개에는 보리만 먹어요?
감자와 고구마는 언제부터 심었어요?
귤과 토마토와 바나나는 언제부터 먹었나요?
발효 음식을 즐긴 것은 언제예요?
고추와 김치는 언제부터 먹었어요?
불고기ㆍ삼겹살은 언제부터 먹었는지 궁금해요
궁중에서는 왜 은그릇을 썼나요?
내시는 무슨 일을 했나요?
결혼식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금줄은 왜 쳤지요?
띠는 무엇인가요?
성년식은 어떻게 했나요?
회갑과 칠순 잔치는 왜 했어요?
장례와 묘는 어떻게 치르고 잡았지요?
순장은 무엇인가요?
화장은 언제부터 했어요?
제사는 언제부터 지냈나요?
고사는 왜 지냈어요?
예전에는 무명옷만 있었나요?
단발과 파마는 언제부터 했지요?
구두와 고무신은 언제부터 신었어요?
윷놀이는 언제부터 했나요?
씨름과 그네뛰기는 언제 해요?
초가와 기와집은 어떻게 지었나요?
구들은 언제부터 깔았어요?
아파트는 언제부터 지었는지 궁금해요
설날과 추석은 왜 2대 명절인가요?
왜 대보름에는 잡곡밥, 동지에는 팥죽을 먹어요?
고래잡이는 언제 했나요?
낙타와 코끼리는 언제 들어왔나요?
두레는 무슨 일을 해요?
돈은 언제부터 사용했어요?
회사는 언제부터 다녔나요?
은행은 언제부터 이용했어요?
통행금지는 언제부터 실시했나요?
고속도로와 지하철은 언제부터 개통했나요?
금강산 관광은 왜 중지했어요?

저자소개

이이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7년 대구에서 주역의 대가이신 야산(也山) 이달(李達)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학교에 보내 주지 않아 소년 시절 몰래 가출을 해서 고학을 하였습니다. 한때 문학에 열중하기도 했으나 청년이 되어 우리나라 역사 공부에 열중한 이후 살아생전 우리나라 역사에 일생을 헌신했습니다. 우리나라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어떻게 고난을 겪었는지를 쉽게 들려주는 역사책을 주로 쓴 결과 《한국사 이야기》 22권과 《만화 한국사》 9권 등을 펴냈고 《찬란했던 700년 역사, 고구려》 《허균의 생각》 《동학농민운동》 등을 지었습니다.
펼치기
이명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햇살이 강렬한 휴가지에서 노릇노릇 구워지는 순간을 좋아하며 그 열기에 기대어 하루하루를 살아갑니다. 작은 책상에 앉아 소소한 이야기를 쓰고 그리며 아이들과 더불어 그림으로 소통합니다. BIB 황금사과상·황금패상, 나미 콩쿠르 은상, 대한민국 그림책상 특별상을 수상했으며, 볼로냐 올해의 일러스트레이터로 2회 선정되었습니다. 그림책 《플라스틱 섬》, 《10초》, 《내일은 맑겠습니다》, 《휴가》, 《꽃》, 《휘슬이 두 번 울릴 때까지》를 쓰고 그렸고, 《물개 할망》, 《신통방통 홈쇼핑》, 《코딱지 할아버지》, 《내가 예쁘다고?》 등 여러 책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네, 좋은 질문이네요. 우리나라 사람은 하루 세 끼 쌀밥을 거르지 않고 먹으면서도 정작 어느 때부터 쌀밥을 먹었는지 잘 모릅니다. 늘 그저 먹어온 줄만 알았지요.

근래에 신석기시대의 밭 유적이 동해 바닷가인 고성에서 발굴됐습니다. 지금부터 5,000년 전에 밭농사를 지었다는 증거가 나왔어요. 그전에 신석기시대에 벼를 재배했다는 증거로 한강의 김포평야, 영산강의 들판 등 여러 곳이 있습니다. 이런 곳에서는 지층(地層, 땅껍질에 모래 진흙 화산재 따위가 쌓여 어우러져서 생긴 켜)에서 시커멓게 그을린 쌀이 발견됐습니다.
―3권 본문 10쪽 ‘쌀밥은 언제부터 먹었나요?’ 중에서


여기에서는 강제로 순장한 게 아니라 스스로 따라 죽었음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구려의 순장은 신라보다 250년쯤 앞서 금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편, 백제도 불교를 수용하고 나서 순장을 금지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백제의 무덤에서는 순장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습니다. 5세기에 조성된 공주의 무령왕릉에는 순장한 흔적이 전혀 없어요. 백제의 수도였던 오늘날 충청도 부여의 왕릉에서도 마찬가지로 순장과 관련되는 유물이 발굴되지 않았습니다.
―3권 본문 97쪽 ‘순장은 무엇인가요?’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734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