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67640033
· 쪽수 : 340쪽
· 출판일 : 2012-11-21
책 소개
목차
서문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검토
1) 김소월의 경우
2) 백석의 경우
3. 연구 방법
Ⅱ. 김소월과 백석의 전기적 고찰
1. 김소월의 경우 33
1) 시대적 상황
2) 고향 및 가족 관계
3) 출신학교 및 교우 관계
4) 직업 및 사회 활동
2. 백석의 경우
1) 시대적 상황
2) 고향 및 가족 관계
3) 출신학교 및 교우 관계
4) 직업 및 사회 활동
Ⅲ. 김소월과 백석의 시어 및 소재에 나타난 민족의식
1. 김소월 시의 경우
1) 방언 및 조어를 통한 민족의식
2) 민속적 소재를 통한 민족의식
2. 백석의 경우
1) 방언 및 조어를 통한 민족의식
2) 음식 및 민속적 소재를 통한 민족의식
Ⅳ. 김소월과 백석 시의 화자와 어조
1. 김소월의 경우
1) 초기 시의 화자와 어조
2) 후기 시의 화자와 어조
2. 백석의 경우
1) 초기 시의 화자와 어조
2) 후기 시의 화자와 어조
Ⅴ. 역사 및 사회 현실을 소재로 한 민족의식
1. 김소월의 경우
2. 백석의 경우
Ⅵ. 결론
참고문헌: 김소월 / 참고문헌: 백석
부록 1. 김소월 연보 / 김소월 시 연보
부록 2. 백석 연보 / 백석 시 연보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김소월(1902~1934)과 백석(1912~1995?)이 시작(詩作) 활동을 했던 시기는 일제강점기로 민족의 존엄성이 추락하고 문화적으로는 나라의 말과 글이 위기에 빠져 들던 시기이다. 그리고 사회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가 정착, 심화되어 가며 이에 따른 민중들의 삶이 각박해져 가던 시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제강점기에 등장한 김소월 시와 백석 시에 나타난 민족의식을 비교·연구해보기로 한다. 이 시기를 살았던 지식인 또는 문인이라면 대부분 일제에 대한 저항의식과 이에 따른 민족의식을 갖지 않을 수 없었으며, 그들의 글과 문학 작품에 그것이 어떤 때는 노골적으로 어떤 경우에는 암시적으로 나타난다. 김소월과 백석의 시도 여기서 예외일 수는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