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67640118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일러두기
약어풀이
제1장 서론: 미얀마와 그 가치
버마와 미얀마: 국명과 관련된 논쟁
미얀마의 지정학적 가치: 패권 경쟁의 각축장
미얀마의 경제적 가치: 자원의 보고인 신흥시장
미얀마의 사회문화적 가치: 불교와 한류문화
자연환경
인문환경
제2장 현대 미얀마의 발전 과정과 특징
1. 불교문화와 정치경제의 발전 양상
사회주의의 태동: 제국주의의 청산을 위한 이념
불교와 사회주의의 결합: 불교도경제
우 누의 복지국가론: 버마식 불교도경제
네윈의 버마식사회주의: 수정된 급진적 사회주의
군부권위주의를 위한 구조적 사회주의의 지속 : 개인적 정권의 강화
2. 국민통합에 대한 두 가지 시각
불교도와 비불교도: 갈등의 기원과 전개
버마족화?: 내부식민지의 형성과 전개
3. 신군부 정권기(1988-2010) 정치경제 및 외교관계
정치동향
경제동향
대외관계
4. 개혁개방의 원인과 배경
국내적 요인
국외적 요인
제3장 미얀마 정치개혁과 과제
1. 선거와 정치변동
역대 총선과 특징
신헌법 작성과 국민투표
2. 총선(2010) 및 보궐선거(2012)와 그 의의
총선 준비: 총선법령 및 제도
군부의 선거 참여
NLD의 선택과 파장
총선결과 분석
총선결과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
보궐선거와 NLD의 의회 입성
3. 정치적 자유화와 국민통합
아웅산수찌의 역할과 평가
정치범 석방과 인권의 강화
국민화해와 국가통합
4. 향후 과제
행정부와 군부 내 후견주의 청산
정당정치의 정상화와 당내 민주화의 실현
상호 신뢰에 입각한 평화적 정전협정을 통한 국민화해
개인의 자유와 권리 보장
헌법 개정과 군부의 병영 복귀
제4장 미얀마 경제개혁과 과제
1. 미얀마 경제의 특성 및 장단점
산업구조 및 주요 경제정책
미얀마 경제의 장점
미얀마 경제의 단점
2. 국영기업의 민영화 추진과 전망
국영기업과 군부의 경제권 장악
국영기업의 민영화 추진 현황
민영화 평가와 전망
3. 경제 자유화와 제도 개혁
경제특구 지정 및 경제특구법 제정
외국인투자법의 개정과 외국인투자 추이
환율 및 금융개혁
4. 미얀마 경제의 개혁 과제
시장친화적 제도 도입과 의식적 전환
산업구조의 전환과 근대화
제5장 한국―미얀마 관계와 진출전략
정치 및 외교동향
교역 동향 및 전망
한국의 대응 및 진출전략 설정
진출 유망분야 및 전략 점검: 투자자를 위한 제언
제6장 결론: 미얀마의 미래
첫 번째 시나리오: 안정적인 정치.경제발전
두 번째 시나리오: 군사평의회로의 회귀
세 번째 시나리오: 국제적 고립과 친중화
항구적 과제: 디아스포라의 귀환과 국민통합
참고문헌
부록 1: 정치
부록2: 경제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2011년부터 급속한 변화의 과정을 겪고 있는 미얀마의 개혁개방을 정치와 경제로 양분하여 그 내용과 함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얀마의 미래를 예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언급했지만 이 책은 저자가 참여한 연구보고서를 토대로 작성되었으나 하루가 멀다하고 변화의 과정을 걷는 미얀마의 진면목을 추출하기 위해 최근 상황을 중심으로 모든 통계와 자료 등을 업데이트했다. 또한 한국의 대 미얀마 외교 전략 수립, 기업인들의 성공적인 미얀마 진출을 돕는 차원에서 한국과 미얀마 관계를 수록하여 한국(인)의 관점에서 본 미얀마의 가치를 조명하려고 시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