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남아시아사
· ISBN : 9791187750062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7-04-28
책 소개
목차
시작하며: 하프와 공작새 5
Ⅰ. 서론 21
1. 미얀마 연구의 경향과 쟁점
2. 연구목적과 내용
3. 미얀마 정치현상의 보편성: 파벌주의와 종교적 상징주의
Ⅱ. 군부의 발전 경로와 역할 변화 65
1. 군부와 군부정치: 이론적 논의
2. 군부의 탄생과 독립(1941~48): 독립의 주체로서 혁명군부
3. 민간정권(1948~1962)시기 군부의 기능과 역할: 국가 수호자로서 집정관군부
4. 구군부정권시기(1962~1988) 군부의 기능과 역할: 이익집단으로서 신직업주의군부
5. 신군부정권기(1988~2011) 군부의 기능과 역할: 약탈자로서 신직업주의의 강화
6. 유사민간정권기(2011~2015) 군부의 기능과 역할: 생존전략의 변화
Ⅲ. 이데올로기의 발전과 변화 155
1. 이데올로기와 미얀마 이데올로기의 독창성: 이론적 논의
2. 사회주의의 도입: 온건주의 대 급진주의
3. 사회주의의 토착적 적용(1): 아웅산의 세속적 사회주의
4. 사회주의의 토착적 적용(2): 우 누의 불교사회주의
5. 급진적 사회주의의 실험과 실패: 버마식사회주의
6. 이데올로기의 종말?: 신군부의 전통주의와 신정부의 규율민주주의
Ⅳ. 정치에서 종교의 역할: 이념과 구도 239
1. 사회변동과 정치에서 종교: 이론적 논의
2. 미얀마 불교와 토속신앙: 내세와 현세의 딜레마
3. 민간정권(1948~1962)과 종교: 불교국가로의 복귀
4. 구군부정권(1962~1988)과 종교: 세속주의와 불교주의
5. 신군부정권(1988~2011)과 종교: 비술(秘術)의 정치
6. 유사민간정권(2011~2015)과 종교: 국민통합과 종교갈등
Ⅴ. 결론 323
1. 각 정권별 군부의 특성 비교
2. 미얀마 현대정치의 특성: 잠정적 결론
추가: 민간정부 출범과 정치발전의 미래 339
참고문헌 354
부록 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