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67640149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13-03-08
책 소개
목차
발간사
머리말
제1부 여성의 말
1. 여성의 말 : 총론
1) 예스베르센과 레이코프가 바라본 여성어의 특징
2) 표준발음과 비단정발화
여성의 표준발음지향성
신분상승이론과 표준발음지향성
의사소통적 기능과 비단정발화
3) 상승 억양과 의문문의 잦은 사용 32
여성의 상승 억양 지향성 33
여성에게 잦은 의문문의 사용
의사소통적 기능과 의사의문문
4) 소결
2. 여성의 말: 화용
1) 대중매체 속의 담화표지
대화에 사용된 다양한 담화표지
여성: 말 고르기의 담화표지
남성: 발언권 뺏기와 화제전환용 담화표지
2) 성차와 화행전략
거절화행과 간접화행
거절화행과 갈등의 해결 방식
거절화행 속에 구현된 성차 별 화행전략
3) 소결
■더 읽을거리: 담화표지
제2부 여성에 대한 말
1. 여성에 대한 말: 형태
1) 우리말의 생성방식
합성어는 구가 아니라 단어이다
파생어의 접사가 갖는 의미
우리말 내에서 한자어의 위치
2) 유표와 무표 그리고 여성어
여성무표어=여성차별어
남성무표어=남성존중어
여성단독어, 남성단독어
3) 시대별 어휘목록의 변화에 담긴 언중의 의식
전통적인 여성의 직업군
여성의 진출이 이루어진 직업군
4) 소결
■더 읽을거리: 신여성
2. 여성에 대한 말: 의미
1)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의 요소
여성/남성이 가져야 할 성질이나 특성
‘여성/남성다움’ 연상어휘의 분류
2)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의 의미장
(신체적)우월성 VS 수동성
여성다움을 둘러싼 사회, 문화적 함의
3) 소결
■더 읽을거리: 의미장
3. 여성에 대한 말: 인지의미
1) 여성 은유 표현
대상별 여성 은유 표현
근대 여성의 대명사, 신여성
신여성과 구식여성
신여성과 기생
신여성과 현대 여성
2) 성별 여성 은유 표현
3) 소결
■더 읽을거리: 은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역사적으로 성차를 변인으로 한 연구는 인류학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정치적인 목적이 수반된 인류학의 다수의 연구결과물과 다르게, 언어학은 비록 숫자는 적을지라도 언어체계적인 구조에 전착함으로써 오히려 더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결과물을 낳았다. 그 대표적인 예로 사회문화적으로 남녀의 역할차로 인해 언어체계에 변화가 있음을 보고한 사피어를 들 수 있다. 사피어(1929)는 ??야나어에서 남성과 여성의 발화형태??에서 남성항과 여성항에 형태상의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야나어에는 남성항에 비하여 여성항이 더 짧은 형태적 특징이 있다는 것인데, 즉 사람을 이르는 말이 남성은 ‘y?-na’, 여성은 ‘ya’이며, 노루는 남성이 ‘ba-na’, 여성이 ‘ba’이다. 이처럼 남성항은 어말 모음을 가지지만 여성항은 이것이 축소되는 형태적 특징이 있음을 기초로, 사피어는 형태소 ‘-na’를 ‘첨가된 남성 음절’이라 말하고 “남성형태는 완전하고 절대적이며 기본적인 형태이며, 여성형태는 축약된 것”(211쪽)으로 특징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