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88967641795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22-02-04
책 소개
목차
머리말•3
『삼국유사』와 이 책의 구성•9
Ⅰ. 삼국유사의 시간 속 만남 19
사라진 건국 신화 속 여신들과의 만남•21
1. 주목받지 못했던 건국 영웅들•21
2. 북방신화에서 모계의 인성과 신성•24
3. 한반도 남부의 성모와 형제 출산•31
4. 여신 형상의 문화사적 의미•43
한 왕국 속 서로 다른 시조들과의 만남•45
1. 하나일 수 없었던 가문의 시조들•45
2. 성군과 예언자로서 박혁거세•49
3. 행동하는 시조 영웅 석탈해•55
4. 양자이며 연결자인 김알지•62
5. 여신의 위축과 남성 건국시조의 기원•65
6. 초월적 시조에서 현실적 영웅으로•70
고유 사상과 동아시아 여러 사상의 만남•71
1. 위대한 고유 사상, 풍류는 실체였던가•71
2. 최치원의 풍류 관념-포함삼교(包含三敎)의 이론과 접화군생(接化羣生)의 실천•74
3. 화랑단의 행적에 나타난 풍류의 여러 양상•82
4. 하나이며 여럿인 풍류 개념•100
Ⅱ. 삼국유사의 현장 속 사람들 103
바다 저편을 오고 가며 소통한 사람들•105
1. 떠난 자와 들어온 자•105
2. 수로 유형과 이향(異鄕)을 향한 바다•109
3. 처용 유형과 도래의 통로로서 바다•117
4. 다시 찾는 해양 문화•127
다른 세상에 속한 존재들을 사랑한 동아시아 사람들•128
1. 이류를 만나 교유하기•128
2. 이류 교유의 제 양상과 구분•131
3. 이류와의 애욕의 의미•145
4.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158
번역과 대중화를 통해 현장을 재현하는 사람들•161
1. 현대인이 『삼국유사』의 현장에 가려면•161
2. 주석에 따른 현대역의 유형•164
3. 현대역 유형에 따른 대중화 경향•176
4. 또 다른 『삼국유사』를 만들자•189
Ⅲ. 삼국유사의 세상 속 체험 191
다른 세상에 속한 이들을 만나는 체험•193
1. 신님, 부처님, 여신님•193
2. 신불(神佛)과 현실의 만남•197
3. 여신을 잊은 역사•209
4. 다양성, 다원성, 다문화•223
성자와 범인의 경계를 넘나드는 체험•225
1. 원효의 성과 속 마주보기•225
2. 깨달음의 주체 혹은 비교의 대상으로서 원효•230
3. 긍정 또는 비판의 시선과 그 의미•242
4. 오만과 참회에 관하여•249
이승과 저승에 얽힌 종교적 체험•252
1. 내세와 정토 그리고 왕생•252
2. 『삼국유사』의 내세 관념•254
3. 향가에 나타난 내세 관념의 사례•263
4. 영원한 삶도, 영원한 죽음도•282
Ⅳ. 만나다, 사람들을, 체험을 통해 283
(부록) 고대시가와 향가의 이해•297
1. 향가까지 천년•297
2. 고대시가의 일면•298
3. 고구려와 백제의 속악•304
4. 향가의 범위와 형식적 특징•307
5. 향가의 주제와 역사적 전개•313
6. 향가 이후 천년, 그리고•330
참고문헌•331
찾아보기•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