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2011년 고시된 초등영어과교육과정 반영, 개정판)

김진석 (지은이)
한국문화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2011년 고시된 초등영어과교육과정 반영,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68170218
· 쪽수 : 427쪽
· 출판일 : 2013-03-03

책 소개

수업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내용을 재구성하거나 보조교재를 사용해야 한다. 이 책은 교실 수업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계획하고 구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준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초등영어과고육과정

제1장 초등영어과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1. 언어 발달 이론과 영어교수법
2. 학습자의 연령별 언어발달
3. 초등학교 학습자의 특성
4. 학습자중심교육과정
5. 교육과정의 성격
6. 교육과정의 목표
교실상황: 문법-번역식 교수법, 직접식 교수법, 청각-구두식교수법
연습문제

제2장 초등영어과교육과정의 내용체계
1. 교수요목
2. 내용
3. 성취기준
교실상황: 전신반응교수법
연습문제

제3장 초등영어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1. 교수-학습에 필요한 요소
2. MALI 수업 단계
3. 교수-학습 방법
4. 평가
교실상황: 암시적 교수법, 침묵식 교수법
연습문제

제2부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에서의 4기능 지도 방법

제4장 교육과정에서의 듣기 지도 방법
1. 듣기의 특성
2. 교수-학습 방법
3.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4. 평가
교실상황: 의사소통중심교수법
연습문제

제5장 교육과정에서의 말하기 지도 방법
1. 말하기의 특성
2. 교수-학습방법
3.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4. 평가
교실상황: 자연식교수법
연습문제

제6장 교육과정에서의 읽기 지도 방법
1. 읽기의 특성
2. 교수-학습 방법
3.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4. 평가
교실상황: 총체적언어접근법
연습문제

제7장 교육과정에서의 쓰기 지도 방법
1. 쓰기의 특성
2. 교수-학습 방법
3.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4. 평가
교실상황: 과제중심교수법
연습문제

제8장 교육과정에서의 어휘 지도 방법
1. 어휘 지식의 특성
2. 교수-학습 방법
3. 평가
교실상황: 소집단중심교수법
연습문제

제9장 교육과정에서의 문법 지도 방법
1. 문법적 능력과 의사소통능력
2. 문법지도 방법
3. 교육과정에서의 성취기준
4. 평가
교실상황: 교수법 비교(1)
연습문제

제3부 4기능 통합 지도방법

제10장 초등영어 문화 지도
1. 문화의 정의와 특성
2. 문화 지도의 내용
3. 문화지도의 방법
4. 평가
교실상황: 교수법 비교(2)
연습문제

제11장 극화활동과 스토리텔링
1. 극화활동
2. 스토리텔링
교실상황: 교수법 비교(3)
연습문제

참고문헌

부록 <1> 2011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학습활동 (예시) <2> 모범 정답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글로벌국제교육전공, 인공지능융합교육전공 교수 약력 부산대학교 영어교육과 졸업 부산대학교 대학원(석·박사) 전) 학장여자중학교, 중앙여자고등학교 교사 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대학수학능력시험본부 부장) 전) 서울교육대학교 기획처장, 교무처장, 연구처장 겸 산학협력단장 현) 글로벌교육연구학회 회장 저서 •문화(다문화) 관련 저서: 글로벌 시대 문화 다양성 이해, 문화지능 기반 글로벌시민교육,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과 다문화교육(문화관광부 세종우수도서), 문화 속의 영어, 영어 속의 문화(공저) •리터러시 관련 저서: Multicultural Literacy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인공지능 리터러시의 이해와 실제(공저), 다문화 사회와 리터러시 이해(공저) •교육과정 및 평가 관련 저서: 영어과 교육과정 기반 교육평가의 이해, 영어과 교육과정 및 평가(개정판), 초등영어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개정 4판), 초등영어교육 및 평가(공저) •언어학과 교수-학습방법 관련 저서: 상호작용 의미 화용론, 담화분석과 영어교육, 초등영어교육과 영어학(공저), 영어로 수업하는 영어수업인증제(공저)
펼치기

책속에서

초등영어과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

교육과정은 거주자의 요구 조건에 알맞은 집을 짓는 과정과 유사하게 개발된다.
- White(1988), The ELT curriculum.


교육과정은 거주자의 요구조건에 알맞은 집을 짓는 과정과 유사하게 학습자의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학습자가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언어 발달 단계나 특성을 바탕으로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구현되면, 학습자는 교실수업에 참여도가 높아지게 되고 학습 동기(motivation)가 활발하게 유발되어 실질적인 의사소통(real communication)이 활성화(activation)된다. 또한, 영어를 더욱 심도있게 이해(in-depth understanding)하게 되고,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이나 학생 상호간 신뢰와 존중의 태도뿐만 아니라 정확성도 증가하게 된다(Assinder, 1991). 동기 유발이 된 학습자가 새로운 정보(new information)를 접하게 되면, 이미 알고 있는 정보(old information)와 제대로 연결 지으면서 정보를 계열화하고 조직화한다. 다시 말해서, 학습자는 이해 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을 자신의 감각과 경험에 맞게 내재화(internalization)함으로써 신정보를 장기기억(long-term memory)하게 된다. 이런 측면을 고려하여 초등영어과교육과정은 수정?보완 되어 가고 있다. 이 장에서는 교육과정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언어 발달 이론 및 학습자의 언어적 특성을 먼저 제시하고,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과 2011년 고시된 2009개정영어과교육과정의 성격?목표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언어 발달 이론과 영어교수법

교육과정은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개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역동적으로 다변화되어 가고 있는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가 설정된다. 예를 들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에서는 미국영어가 아니라 국제어로, 원어민 화자(native speaker)가 아니라 문화간 화자(intercultural speaker)로 규정하였다. 이는 기본적 의사소통능력을 실질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해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시대적?사회적 요구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학습자의 요구, 언어 수준, 언어 발달 특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언어발달 이론은 학습자들이 언어를 어떤 과정으로 습득하며, 아울러 그들을 바탕으로 어떻게 언어를 지도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먼저 영어교육에 영향을 주었던 언어발달 이론들을 살펴보자. 행동주의(behaviorism)를 대중화시킨 Skinner(1904~1990)의 이론에 따르면, 학습은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에 의해 이루어진다. 조작적 조건화에 의해 강화를 받는 행동은 증진되고 처벌을 받는 행동은 억압된다. 이러한 언어학습 방법은 인간이 일상적으로 배울 수 있는 다른 행동들과 다를 바가 없다.
행동주의 이론에서는 선천적으로 언어적 능력이 전혀 없는 백지상태(tabular rasa)에서 아이가 태어나서 다양한 언어과제를 직면하게 된다. 아이는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stimulus)에 반응(response)을 보이게 되고 강화(reinforcement)를 통해 언어를 학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모방과 기억을 강조하는 연습(mimicry-memorization drill)과 같이 교사의 자극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을 보여 주도록 요구하는 기계적인 연습(mechanical drill)활동이 교실수업에서 구현된다.
Skinner의 견해와 달리, 아이가 2세경이 되면 언어능력과 일반인지 능력 간에는 별도의 다른 처리능력이 발달된다고 주장하는 Vygotsky (1896~ 1934)는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언어 지식의 모든 개념들이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을 통해 도입된다는 초기단계의 사회적 층위(social plane)에서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리적으로 내면화되는 심리적 층위(psychological plane)를 거친다고 주장한다.
Vygotsky에 따르면, 아동들은 성인이나 또래와의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 예를 들어, Lorry는 그림책 속의 운이 맞는 낱말(rhyming words)에 관해 그녀의 4살 박이 아들 Alexander와 대화를 나누면서, 그에게 “이 페이지에서 cat과 같은 운을 갖고 있는 낱말은 무얼까?”라는 질문하였다. 처음에는 운이 같은 낱말을 찾지 못했지만, Lorry가 cat과 동일한 운을 가진 낱말을 3개(bat, fat, mat)를 말해 주었더니 rat을 찾아 답하였다. Alexander의 실질적인 문제해결 능력과 Lorry의 도움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간에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수준 사이의 간극을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이라 한다. 다시 말해서, ZPD는 아이의 독립적인 문제해결 능력에서 나타나는 실질적인 발달수준과 성인이나 또래와의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에서의 수준 간의 간극을 말한다. ZPD는 성숙과정에 있는 아이들의 능력을 기술함으로써 언어의 발달이 역동적인 특성이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결국 아이는 성인이나 또래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그들의 중개된 도움을 받아 언어의 능력을 신장한다.
Piaget(1896~1980)의 인지발달 이론은 Vygotsky와 달리 인지적 성취가 이루어진 후에 언어적 성취가 달성된다는 관점을 취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Vygotsky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언어를 학습함에 따라서 일반적인 인지능력도 향상된다고 주장한 반면에, 피아제는 언어를 인지의 부차적인 요인으로 간주하였다. 이는 특정한 인지적 성취가 언어적 성취에 선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지각적, 인지적, 사회적 처리 과정 등의 능력이 발달된 후, 그것을 반영하여 언어적 능력이 발달된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아이들의 언어적 능력을 특별한 능력이라고 간주하지 않는다.
Piaget의 인지발달 과정은 스키마(schema)와 동화·조절 등의 개념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스키마란 세상을 이해하는 틀을 의미하고, 동화·조절은 그런 틀을 변형하거나 만들어 나의 것으로 소화하는 순응과정을 말한다. Piaget는 갓난아이들의 성장을 관찰하면서, 아동을 언어에 대한 이해를 스스로 구축하는 능동적인 주체로 보았다. 그래서 아동들은 다음의 대화에서와 같이 자아 중심적 말(egocentric speech)을 하게 된다.

Kevin: Watch me score a goal!
Peter: The ground is squishy and muddy.
Kevin: Ok, here goes. Are you watching?
Peter: My socks are getting wet!

Kevin과 Peter간의 대화를 살펴보면, 서로의 관점을 고려하는 것 없이 자아 중심적 말만 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협상(negotiation of meaning)이 자연스럽게 일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아동의 인지 발달이 언어적 의사소통능력의 발달보다 선행하고 있음을 입증한다.
Piaget는 인간의 행동구조를 생물학적인 배경과 인식론에 근거한 철학적 관심을 바탕으로 출생에서부터 2세까지 감각 운동기(sensory-motor stage), 2세에서 7세까지를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7세부터 11세까지를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11세부터 16세까지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로 세분하였다(Cranston, 1995).


1) 감각운동기(Sensory-motor Period, 0~2세) 아이들은 감각과 동작을 통해 학습하는 시기이므로, 반복적인 접촉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주변 세계를 탐색해 나가는 시기다. 아이는 새로운 지식이나 경험을 찾기 위해 자신의 감각과 운동능력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지각능력이나 운동능력이 발달된다.

2) 전조작기(Pre-operational period, 2~7세)이 시기는 전 개념기(2~4세)와 직관적 사고기(4~7세)로 다시 세분된다. 전 개념기는 유아가 개념발달을 위해서 다양한 언어활동과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시기다. 이 시기의 유아들은 자기중심적이어서 잘못된 개념들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직관적 사고기는 언어가 개입되지 않은 직관에 의존하기 때문에 사물에 대한 판단이 흔히 잘못된 경우가 많다.

3)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eriod, 7~11세)이 시기부터는 자기 중심적 사고가 약화되고, 직접적인 경험이 중요하며,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논리적 사고가 가능한 시기이다. 특정 사실이나 위계에 따라 사물을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4)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eriod, 11~16세)이 시기에는 추상적인 사물에 대하여 논리적 사고가 가능하다. 추상적 사고란 융통성 있는 사고, 효율적인 사고, 복잡한 추리, 가설을 세우고 체계적으로 검증하는 일, 직면한 문제 사태에서 해결 가능한 모든 방안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는 일 등과 같은 것을 말한다. 학습자들은 자료를 조직화하여 과학적인 추리를 할 수 있고 가설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원의 지도를 설명하거나 그림들 간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묘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각 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 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각 단계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Piaget의 발달단계

단계

나이

특징





1단계
(감각 운동기)

출생~2세

? 급속한 뇌 발달, 언어 발달 기초단계, 문제 상황에 대한 반응에서 감각적인 해결로 발달해 감, 행동보다 머릿속에서 생각으로 실험(내적 표상)해 보는 것이 많음


??




2단계
(전조작기)

2세~7세

? 문제 상황이 표출되어 해결됨, 언어 발달, 자기 중심적 사고, 실제적인 사회적 행동이 시작됨, 도덕적 사고 형성


??




3단계
(구체적 조작기)

7세~11세

? 논리적 조작이 발달하여 구체적 문제에 적용, 복잡한 언어나 가설 문제는 해결하지 못함, 의지 발달, 자주성 발현 시작


??




4단계
(형식적 조작기)

11세~ 16세

? 모든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 과학적 사고, 복잡한 언어, 가설 등을 설정, 관념적 정서 발현, 인격형성




위의 표에서와 같이, 행동보다는 생각으로 실험해 보는 언어발달의 초기 단계인 감각 운동기부터 언어가 발달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하는 전조작기, 논리적 조작이 발달하여 구체적 문제에 적용해 보는 구체적 조작기를 거쳐 모든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는 과학적 사고의 시기인 형식적 조작기에 이르게 된다(김진석, 2009).
출생 때부터 언어발달의 기초단계가 시작된다는 Piaget의 관점은 Skinner의 행동주의와는 다르게 언어교육을 접근하였고, 이런 흐름에서, Chomsky (1965)는 아이가 태어나면서 언어습득장치(Language Acquisition Device: LAD)를 갖고 태어나며, 전 세계 모든 언어에는 공통적인 속성(property)들을 갖고 있다는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 UG)을 대중화시켰다. LAD를 갖고 태어난 인간은 다음 도식과 같이 어떤 언어의 매개변수(parameter)가 입력을 통해 고정되면 개별언어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그림 1> 언어습득과정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아이들은 모든 언어에 내재되어 있는 문법 규칙 및 문법범주를 가지고 있어서 특정언어의 매개변인(parameter)을 입력하면 LAD에서 그 언어의 특성을 습득함으로써 유한한 규칙으로 무한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는 개별언어의 능력을 갖추게 된다.
아이들이 문장을 생성할 때 발생되는 실수(mistake)나 생략 등은 언어수행(linguistic performance)상에 나타나는 어려움이지 언어능력(linguistic competence)상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를 바탕으로 하는 인지적 교수법(cognitive language learning)은 인간의 언어능력이 최대한 나타날 수 있도록 입력과 활동을 제공하면 언어학습이 제대로 일어나게 된다는 입장이다. 좀 더 살펴보면, 언어는 규칙 지배되는 창의력(rule-governed creativity)의 특성을 갖고 있고, 문법규칙은 심리적으로 실재(psychological real)한다. 아울러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특별한 언어 학습 능력을 갖추고 있다(Diller, 1978).
Chomsky에 의하면, 아이들은 생후 첫해부터 옹알이 등을 통해 자신의 의도를 표현하는 방법을 배운다. 예를 들어, 유아는 생후 첫해 동안에 타인과 공동으로 지속적인 주의하기(sustained joint attention)에 참여하고,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특정 사건이나 사물로 이끌기도 하며, 아울러 다양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의사소통의 의도를 보이기 시작한다. 유아기에 타인의 의도나 정신 상태를 인식하는 아동의 ‘의도읽기(intention reading)’를 전제로 한다(Tomasello, 2003). 이는 아이가 자신의 의도를 말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언어를 배운다는 사용기반 이론(usage-based theory)을 전제로 하고 있다. 즉, 언어 전(pre-linguistic) 단계의 아이들부터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타인과의 의사소통능력이 증가하게 되고, 나아가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서 일반적인 언어 능력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Vygotsky, Piaget, Chomsky, Tomasello 등의 주장을 보면, 약간의 견해 차이는 있지만, 아동의 언어 능력, 감정 표현, 인지, 사회적 상호작용, 놀이는 밀접한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Vygotsky와 Tomasello에서는 학습자의 언어 발달에 가장 중요한 영향력을 주는 요인으로 아동이 속한 환경이나 또래 집단과의 상호작용을 들고 있다. 이런 입장은 최근 Pence와 Justice(2008)의 주장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Pence와 Justice에 따르면, 아동이 생각하고 있는 것과 주변이나 또래들이 생각하는 것이 서로 다를 때 언어습득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아이가 목이 마르거나 배가 고플 때 아이의 생각을 엄마가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언어를 이용하여 물이나 밥을 달라고 하는 의도(intention)를 표현하는 방법을 배워야만 한다. 결국, 아이들은 자신의 언어발달 능력에 맞는 1어 발화(one-word utterance), 2어 발화(two-word utterance), 3어 발화(three-word utterance) 등의 상호작용을 거치면서 자신의 의도를 완전한 문장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이상의 이론들은 행동주의, 인지주의, 인본주의, 구성주의 등에 영향을 주었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법이 창안되었다. 다시 말해서, Skinner는 청각구두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에, Chomsky는 인지적 교수법(cognitive language learning)에, Piaget, Vygotsky, Tomasello 등은 자연식 교수법(Natural Approach), 암시적 교수법(suggestopedia), 의사소통중심 교수법, 소집단 중심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Learning), 과제기반교수법(Task-based Approach) 등에 영향을 주었다(교수법들은 각 장의 마지막 절에 제시함).


2. 학습자의 연령별 언어발달

모국어 습득과 제2언어 습득 과정은 화석화 현상1)(fossilization)이나 직관형성(intuition)의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주장(Bley-Vroman, 1988)과 과잉일반화(overgeneralization), 형태소 습득 순서, 침묵기(silent period) 등의 측면에서 유사성이 있다는 주장(Dulay와 Burt, 1974; Tylor, 1980)이 있다. 여기서는 후자의 입장에서 학습자의 연령별 언어발달을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으로 세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학습자가 제2언어로서 영어를 어떻게 습득하는지의 습득과정을 이해하도록 하고, 아울러 전반적인 영어교육의 기본 방향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계획하는 데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노경희, 2007).
아이들은 학령기와 청소년기를 향해 성장해 감에 따라 언어의 내용, 언어의 형식, 언어의 사용 등에서 두드러진 발달을 보이고 있다(Pence와 Justice, 2008). 먼저 음절들을 분절하거나 낱말 내의 소리들을 합성하거나 조직해 내는 음운론적(phonological) 능력에서 볼 때, 5~6세경에는 복수형태소 /s/, /z/, /iz/ 등과 같은 형태 음운론적 규칙을 숙달하고, 낱말 내의 음소를 조작할 수 있으며, 개별 말소리들을 합성하거나 분절할 수 있



각주)-----------------
화석화 현상은 불완전한 언어형태가 고착되어서 더 이상 발달하지 않는 것으로 제2언어 습득에서 흔히 관찰된다.

각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