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의미론/화용론
· ISBN : 9791169192798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24-12-31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상호작용 의미 화용론 개관
제1장 상호작용 의미·화용론: 개념과 프레임워크
1. 상호작용 의미·화용론: 개념
2. 사회이론과 민족지학적 이론
3. 상호작용 의미·화용론: 구성과 가정
4. 상호작용 의미·화용론: 층위별 형성화·맥락화
4.1. 개인 내적 층위의 형성화
4.2. 대인 간 층위의 맥락화
제2장 상호작용 의미·화용론: 맥락화의 과정
1. 상황 맥락과 사회·문화 맥락
2. 상호작용의 자질들과 맥락화
3. 거시·미시 계획과 맥락화
4. 맥락 구축·수정·확대
제3장 담화구조와 상호작용
1. 상호작용: 행위, 이동, 그리고 교환
2. 담화구조의 틀
2.1. 순서교대
2.2. 인접쌍
2.3. IRE/IRF
2.4. 정보구조
3. 상호작용과 근접발달영역
4. 상호작용과 협동원리
2부 단일문장의 의미·화용
제4장 사건 간 시간해석
1. 사건진전 요인: 어휘상
2. 사건 진전 요인: 부사와 문맥정보
2.1. 부사
2.2. 문맥정보
3. 사건진전양상과 사건진전층위
3.1. 사건진전 양상
3.2. 사건진전양상과 층위
4. 담화의 시간 체계와 시제 및 관점상의 의미해석
4.1. 담화의 시간체계와 시제의 의미
4.2. 관점상의 의미와 통사: 완료상과 진행상
제5장 보문절의 의미해석
1. 보문절의 시간해석 및 분석의 문제
2. 보문소의 종류와 특성
3. [that-t]효과
4. 보문절의 역동적 의미해석
4.1. 통사론적 접근
4.2. 형식의미론적 접근
4.3. 보문절의 역동적 해석
제6장 등위접속 요소들 간 의미해석
1. 등위접속 요소들 간 시간 관련성
2. 등위접속 요소들 간 상호작용 의미·화용
3. 어휘상과 등위접속 요소들 간 의미
4. 문맥을 고려한 등위접속 요소들 간 의미해석
5. 등위접속 요소들 간 역동적 의미해석
3부 문장들 간 의미·화용
제7장 장르별 텍스트 분석
1. 텍스트에서의 사건진전체계
2. 장르별 텍스트 분석
2.1. 설화 텍스트
2.2. 에세이
2.3. 신 문
2.4. 연설문
3. 장르별 텍스트 비교 분석
제8장 거시 텍스트 구조: 사건 간 의미해석과 전경
1. 거시 텍스트에서의 사건진전체계와 가설
2. 전경
3. 거시 텍스트 구조
4. 거시 텍스트에서의 사건진전과 전경
제9장 연설문에서의 헤지(hedge) 표현
1. 헤지란 무엇인가?
2. 어휘 측면에서의 헤지
2.1 완화어
2.2 서법성
3. 통사적 측면에서의 헤지
3.1. 인칭구문
3.2. 비인칭구문
3.3 수동태
4. 연설자들 간의 헤지 비교 분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1장
상호작용 의미·화용론: 개념과 프레임워크
대화 참여자들 간 상호작용의 핵심은 의미 해석이다.
- Deppermann (2011)
생각하기
1. 상호작용 의미·화용론은 의미론이나 화용론과 어떤 차이가 있는가?
2. 사회이론과 민족지학적 이론은 상호작용 의미·화용론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
3. 상호작용에서 의미가 생성되고 복원되는 방식을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우리는 사회적 존재로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협력하며 살아간다. 대화 참여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상호 주관적 관점을 갖고 서로의 생각이나 감정을 말이나 글, 문자, 상징 등으로 표현하면서 공동의 정보(common ground)를 구축한다. 자기 주도적으로 상황을 인지·판단하고 능동적으로 행동하는 주체자로 살아가야 하는 AI시대에서, 대화 참여자들은 끊임없이 상호 주관적으로 의미를 형성화·맥락화하고 위계적·비위계적 개념들 간 네트워킹하면서 효과적이고 적절하게 상호작용해야 한다. 이 장에서는 상호작용 의미·화용론의 개념과 그 틀을 살펴보고, 대화 참여자들이 그 틀을 바탕으로 서로 전달하고 공유하려는 의미를 어떻게 형성화(formulation)하고, 그것을 어떻게 맥락화(contextualization)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상호작용 의미·화용론: 개념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생각, 감정, 의견을 언어적·비언어적으로 표현하며 살아간다. 대화 참여자들 간 의사소통 시, 화자는 청자에게 의도(intention)하는 것을 표현하고, 청자는 화자가 의도하는 것을 해석하면서 응답한다. 다음 부부 간 대화를 살펴보자.
(1) 아내: 어제 그 책이 어디 있지요?
남편: 그 책상 위에 놓았어요.
어제 아내가 서점에서 흥미로운 책을 샀다며 남편에게 보여주었고 남편이 재미있게 책을 읽고 있었던 장면을 떠올리며 물어보고 있는 상황이다. 굳이 책의 제목을 말하지 않아도 ‘그 책’이 가리키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거실에 있는 ‘책상’이라는 것을 말하지 않아도 ‘책상’이 어디에 있는지를 알면서 서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아내는 ‘책’을 가리킬 수 있는 여러 가능한 의미들의 집합(책꽂이에 있는 책, 책상에 놓여있는 책, 거실에 있는 책 등)을 살펴보고, ‘책’이 거실의 책상 위에 있는 책을 지시한다는 것을 인지한다. 이렇게 표현(expression)과 실세계에서의 대상물(object) 간 관련성(relationship)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를 해석하는 데 필수적이다. 물론, 대상물은 실물이 될 수도 있고, 심리적 실재물(mental object)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 의미론(semantics)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