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유럽어문학
· ISBN : 9788968170270
· 쪽수 : 518쪽
· 출판일 : 2013-04-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V
■차례 / IX
제1부 문법론
제1장 스페인어 문법 (Grama?tica espan?ola) 3
1. 스페인어의 다양성 3
2. 표준 스페인어(Espa?ol est?ndar) 22
2.1. 스페인 왕립 한림원과 스페인어 한림원 연합회의 언어정책 22
2.2. 스페인어 표준어 23
2.3. 스페인어 한림원의 표준어 정책: 철자법 26
2.4. 스페인어 한림원의 표준어 정책: 문법 32
3. 우리말의 표준어 정책: 과잉 존대법의 경우 35
4. 규범문법과 기술문법 38
제2장 형태론 (Morfolog?a) 50
1. 형태론과 통사론 50
2. 형태론: 단어의 내적 구조(Estructura interna de la palabra) 60
2.1. 형태소(Morfemas)와 그 종류 60
2.2. 굴절과 파생(Flexio?n y derivacio?n) 62
2.3. 단어 63
2.3.1. 단어와 형태소 63
2.3.2. 단어 범주 64
2.3.3. 통사 범주와 통사적 기능 67
제3장 통사론 (Sintaxis) 72
1. 문장 구조론 72
1.1. 계층 구조 (Estructura jera?rquica) 72
1.2. 직접구성성분 분석(El an?lisis en constituyentes inmediatos) 74
1.3. 구 구조(Estructura de los sintagmas) 80
1.3.1. 핵(n?cleo)과 구(sintagma) 80
1.3.2. X'-구조: 보충어(complementos)와 부가어(adjuntos) 83
1.4. 통사 범주와 통사적 기능 (Categor?a sint?ctica y funci?n sint?ctica) 89
1.5. 스페인어의 문장 구조와 학습 방법 92
2. 문장 96
2.1. 문장과 발화 (oraci?n y enunciado) 96
2.2. 문장의 구조: SFlex와 SComp 97
2.3. 불완전한 문장과 완전한 문장: 생략(elipsis)과 영주어(sujeto nulo) 103
3. 주어와 술어(El sujeto y el predicado) 106
3.1. 술어와 논항(argumentos) 106
3.2. 심층구조(Estructura Profunda)와 표면구조(Estructura Superficial) 107
3.3. 의미역(papel tema?tico)과 통사적 기능(funcio?n sint??ctica) 112
3.4. 주어란 무엇인가? 120
3.5. 허사 주어(sujeto expletivo) 122
3.6. 두 종류의 자동사 구문: 순수 자동사와 비대격 동사 125
4. 통사론과 기타 접합부(otras interficies) 131
4.1. 통사론과 의미론(Sintaxis y sem?ntica) 132
4.1.1. 술어-논항 구조 132
4.1.2. 어휘 정보 모델 134
4.2. 통사론과 형태론(Sintaxis y morfolog?a) 135
4.2.1. 통사론과 파생 형태소 135
4.2.2. 약세 대명사 접어: 형태론과 통사론의 경계 137
4.3. 통사론과 음운론(Sintaxis y fonolog?a) 139
4.4. 통사론과 화용론(Sintaxis y pragm?tica) 141
4.4.1. 의미와 해석 141
4.4.2. 문장 간 연결사(conectores) 141
4.5. 통사론과 접속법 구문 143
4.5.1. 접속법이 사용되는 종속절의 분포 143
4.5.1.1. 명사절 (Subordinaci?n sustantiva) 143
4.5.1.2. 형용사절 (Subordinaci?n adjetiva) 144
4.5.1.3. 부사절(Subordinaci?n adverbial) 145
4.5.2. 종속절의 직설법과 접속법 구분 기준 146
4.5.3. 접속법 종속절: 통사적 접근 151
제2부 스페인어 통사론과 생성문법이론
제1장 [규칙]의 체계에서 [원리와 매개 변인]의 체계로 160
1. 생성문법이론의 철학적 배경 160
1.1. 보편문법과 생득설 160
1.2. 플라톤의 문제와 오웰의 문제 161
1.3.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162
1.4. 구조주의 언어학과 생성문법 163
1.5. 생성문법 이론의 연구 방법론: 단순성 165
2. 표준이론(Teor?a Est?ndar): 규칙의 체계, 파생주의적 모델(Modelo derivacional) 167
3. 지배결속이론: 원리와 매개변인 170
3.1. 표시 층위에 기반을 둔 문법 모델(Modelo representacional) 170
3.2. X'-이론(Teor?a de la X-con-barras) 176
3.2.1. 구절구조규칙의 제거 176
3.2.2. 성분 통어와 지배(El mando-c y la recci?n) 178
3.3. 의미역 이론(Teor?a de los papeles tem?ticos) 184
3.3.1. A-위치와 A'-위치 186
3.3.2. 외재논항과 내재논항 187
3.3.3. 심리동사와 논항구조 190
3.4. 격 이론(Teor?a del Caso) 198
3.4.1. 추상 격(Caso abstracto)과 격 여과(Filtro de Caso) 198
3.4.2. 구조 격과 내재 격 202
3.4.3. Burzio 정리 205
3.4.4. 중간태(비대격 동사)와 수동문 208
3.4.4.1. ‘se 중간태’: 일 논항 술어 [ se V tema] 209
3.4.4.2. ‘se 수동문’: 이 논항 술어 [(agente impl?cito) se V tema] 212
3.4.4.3. ‘ser 수동문’: 이 논항 술어 [(agente impl?cito) ser pp tema] 214
3.4.4.4. ‘Ser 수동문’과 ‘se 수동문’의 차이점 217
3.4.4.5. RAE에서의 능동태, 수동태, 중간태 분류 220
3.4.5. 비대격 동사의 구문적 특징 222
3.5. 결속이론(Teor?a del ligamiento) 224
3.6. 통제이론(Teor?a de Control) 230
3.7. 원리와 매개변인 이론의 몇 가지 핵심적 가설들 232
3.7.1. 기능 핵 가설(La hip?tesis de las categor?as funcionales como n?cleo) 233
3.7.1.1. 기능 핵으로서의 보문소(Complementante)와 굴절소(Flexi?n) 233
3.7.1.2. 한정사구 가설(Hip?tesis de la frase determinante) 238
3.7.1.3. 어휘 핵(N?cleo l?xico)과 기능 핵(N?cleo funcional) 2423
3.7.2. 동사구내 주어 가설(Hip?tesis del sujeto interno al sintagma verbal) 243
3.7.3. 경동사구 가설(Hip?tesis de la proyecci?n Sv) 248
3.8. 이동과 통사제약 253
3.8.1. 논항 이동과 비논항 이동의 차이점 255
3.8.2. 이동제약 260
3.8.3. 핵 이동(El movimiento de n?cleo) 267
3.8.4. 논리 형태부에서의 이동 273
3.9. 매개변인 277
3.10. 비논항 A'-이동 286
3.10.1. 스페인어와 한국어의 단문과 복문에서의 의문문 286
3.10.1.1. 단문에서의 의문사 이동 286
3.10.1.2. 복문에서의 의문사 이동 291
3.10.2. 스페인어 의문문의 구조 299
3.10.2.1. Rizzi(1996)의 의문사 기준(Criterio-Cu) 299
3.10.2.2. Su?er(1994)의 논항일치허가 조건 304
3.10.2.3. Plann(1982)의 이중 SComp 309
3.10.3. 스페인어의 주제화와 강조화 구문 313
3.11. 스페인어의 어순 326
3.11.1. 스페인어의 전치주어와 후치주어 326
3.11.2. 스페인어 어순과 확대투사원리 338
3.12. 생성문법이론을 통한 스페인어 교육방법론 343
3.12.1. pro-drop 현상 343
3.12.2. 논항과 부가어: ‘어떻게’의 번역 문제 355
제2장 최소주의 프로그램 359
1. 최소주의 프로그램: 단순성과 경제성 359
2. 지배결속이론과 최소주의 프로그램의 비교 360
3. 표시층위의 단순화: 심층구조와 표면구조의 제거 363
4. 논리형태와 결속원리 369
5. 격 이론과 자질점검 이론 379
5.1. 지배결속이론과 최소주의에서의 격 379
5.2. 최소주의에서의 격 점검 이론의 발전 391
5.2.1. 일치소(Conc; Agr)에 기초한 격 점검 391
5.2.2. 자질이동에 의한 격 점검 396
5.2.3. 일치(CONCORDANCIA; Agree)에 의한 격 점검 405
5.2.4. 일치이론에서의 문법모델: 국면과 다중 문자화 411
6. 의미역이론과 병합이론 415
6.1. 지배결속이론과 최소주의에서의 의미역 415
6.2. X'-구조와 병합이론 418
6.3. 성분통어와 병합이론 420
7. 결속이론과 해석원리 423
8. 통제이론과 최소주의에서의 PRO 431
9. 최소주의에서의 이동 436
9.1. 자질점검 이동 436
9.2. EPP와 격 438
9.3. 이동의 제약 444
9.4. 논리형태에서의 이동: 양화사 작용역 해석 451
10. 마무리하며 460
■참고문헌 / 465
■찾아보기 / 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