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

서상규 (지은이)
한국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음운론/어휘론
· ISBN : 9788968170461
· 쪽수 : 354쪽
· 출판일 : 2013-09-30

목차

제1부 한국어교육과 기본어휘

제1장 기본어휘에 관한 기초 논의
1. 머리말
2. 기본어휘에 관한 연구의 동향
2.1. 시기에 따른 용어 사용의 추이
2.2. 분야에 따른 용어 사용의 분포
3.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본어휘론
3.1. 주요 기본어휘 목록
3.2. 일본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 어휘 목록
3.3. 불특정 화자의 한국어 학습을 위한 범용 기본어휘 목록
3.4. 한국어 학습 사전과 기본어휘
4. 기본어휘 선정과 관련한 문제들
4.1. 기본어휘의 정의
4.2. 기본어휘의 규모
4.3. 기본어휘 선정 방법
4.4. 기본어휘와 사용률
4.5. 범주에 의한 기본어휘의 분류
4.6. 어휘의 등급화
4.7. 기본어휘와 의미의 문제
4.8. 낱말의 의미와 용법에 대한 대조언어학적 기술
5. 맺음말

제2장 기본어휘와 말뭉치 분석
1. 머리말
2. 말뭉치의 설계
3. 연세 말뭉치(Ysc)의 계량적 분석
3.1. 연세 말뭉치의 구성
3.2. 조사 방법
3.3. 빈도 구간별 분포
3.4. 품사별 분포
3.5. 사용률에 따른 낱말들의 분포
3.6. 낱말수와 사용률의 추이
4. 맺음말

제3장 한국어 교과서의 계량적 분석
1. 머리말
2. 한국어 교과서 말뭉치
2.1. 본문 말뭉치
2.2. 전문 말뭉치
3. 맺음말

제4장 한국어 학습 사전과 기본어휘
1. 머리말
2. 기본어휘의 선정과 검증
2.1. 기본어휘의 선정의 객관성과 주관성
2.2. 기본어휘의 선정 과정과 요소
3. 학습 사전 중요어휘의 선정과 표시 방법
3.1. 5개 말뭉치 공통 기본어휘
3.2. 한국어 교과서 공통 기본어휘
3.3. 어휘 목록과 학습 사전의 공통 기본어휘
3.4. 한국어 기본어휘 목록
4. 한국어 기본어휘와 그 분포적 특성
4.1. 출현 텍스트 수에 따른 기본어휘의 분포
4.2. 출현 빈도수에 따른 기본어휘의 분포
4.3. 목록 일치도에 따른 기본어휘의 분포
5. 맺음말

제2부 기본어휘의 의미 빈도와 그 활용

제5장 의미 빈도 사전 편찬의 방법론과 실제
1. 머리말
2. ‘의미 빈도 사전’을 위한 조사 방법론
3. 한국어교육 표준말뭉치의 구성과 주석
3.1. 한국어교육 표준말뭉치의 구성
3.2. 말뭉치에 나타난 형태 빈도의 분포
3.3. 말뭉치의 형태 정보 주석
3.4. 말뭉치의 의미 주석
4. 의미 빈도 사전의 구조
4.1. 올림말
4.2. 사용 빈도 및 중요도
4.3. 뜻풀이 구분 체계와 표시
4.4. 용례의 표시
5. 맺음말

제6장 의미 빈도 사전과 어휘 연구
1. 머리말
2. 의미 빈도 사전을 활용한 어휘 연구
2.1 품사통용어와 다의어의 의미 분포
2.2. 유의어와 반의어의 의미 대조
2.3. 준말과 본딧말의 의미 대조
2.4. 파생어 간의 의미 대조
3. 맺음말

제7장 높임법 특수 어휘의 용법과 그 사전 기술
1. 머리말
2. 높임법 체계에서의 특수 어휘
2.1. 높임법의 특수 어휘
2.2. 특수 어휘의 사전 기술 비교
3. 특수 어휘에 대한 사전 기술의 문제
3.1. ‘있다’의 높임말: 계시다
3.2. ‘먹다’의 높임말: 잡수시다(잡수다, 잡숫다), 자시다, 드시다(들다)
3.3. ‘아프다’의 높임말: 편찮으시다(편찮다)
3.4. ‘자다’의 높임말: 주무시다
3.5. ‘죽다’의 높임말: 돌아가시다
3.6. ‘말하다’의 높임말: 말씀하시다
3.7. ‘드리다’, ‘모시다’의 실제 용법의 분포
4. 맺음말

저자소개

서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전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원장 전 연세대 언어연구교육원 원장 연구 분야: 국어사, 통사론, 말뭉치언어학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1982년) 후,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석사 학위(1984년),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92년). 1988년~1993년 일본 동경외국어대학 조선어학과, 1993년~1995년 츠쿠바(筑波)대학의 문예언어학계 교수를 지내고 1995년 연세대학교 조교수로 부임하였다. 1995년~1996년 한국어 능력 시험(현재 TOPIK)을 위한 기초 연구와 모형 개발에 참여했으며, 1998년~2007년 문화관광부의 21세기 세종계획 국어정보화 기반 구축 사업의 국어 특수자료 구축 분과의 책임을 맡아서 한국어 구어 전사 말뭉치 과제를 수행하는 한편, 같은 기간 동안에 이루어진 한국어 해외 보급 사업에 참여하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등을 개발하였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국립국어원의 『기초 어휘 선정 및 어휘 등급화 연구』 사업의 책임을 맡아서 1~5등급의 기초 어휘 선정을 수행하였다. 『국어정보학입문』(공저 1998), 『한국어 구어 연구(1, 2)』(공편 2002, 2005), 『한국어교육과 학습사전』(2003),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공저 2004, 2006),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공저 2013), 『한국어 기본어휘 연구』(2013), 『한국어 구어 빈도 사전(1, 2)』(2015), 『한일대역 한국어 기본어휘 의미빈도 사전』(2017, 2019개정), 『최현배의 우리말본 연구(1, 2)』(2017, 2018), 『현대 한국어 어휘 빈도 사전(1, 2)』(2023) 등의 저서와, 한국어 어휘 문법 연구, 말뭉치언어학과 국어정보학, 학습 사전 편찬, 한국어 기본어휘 등과 관련된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1부
한국어교육과
기본어휘

제1장
기본어휘에 관한 기초 논의
1. 머리말

제1장은 한국어 기본어휘, 즉 한국어 교육과 학습의 장에서 필요로 하는 핵심적인 어휘를 둘러싼 제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서 먼저 현재까지 이루어진 기본어휘 연구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들 각각이 가진 특징, 즉 어휘 목록의 대상과 목적, 규모, 선정 방법, 실제적 활용 등을 밝힌 다음, 앞으로 나아가 해결해야 할 과제나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면서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논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의 ‘기본어휘’와 ‘기초어휘’1, ‘교육용 어휘’ 등에 대한 논저 목록을 작성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이제까지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본다.2 시기와 분야에 따른 분석을 통하여 이제까지 어떠한 용어들이 쓰였는지, 그리고 이들 용어가 실제 어떤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이들 개념과 용어가 이제는 국어교육이나 한국어교육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공유되고 있는 개념임을 밝히고자 한다.
둘째,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져 온 기본어휘의 선정과 학습 사전의 중요어 선정, 의미빈도 사전 편찬 등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구체적이고도 실제적인 기본어휘 선정의 과정, 절차, 고려되어야 할 요소 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셋째, 기본어휘의 선정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활용되어 온 어휘의 사용 빈도 정보와 관련하여, 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검토되고 고려되어야 할 주요한 문제와 요소에 대해서 검토하기로 한다.

2. 기본어휘에 관한 연구의 동향

이 주제와 관련해서, 지난 2003년 ??새국어생활?? 13권 3호(국립국어연구원)에서 “국어의 기초어휘와 기본어휘”라는 특집을 통해서, 그 개념과 중요성, 선정 방법론, 연구사, 현황과 과제, 각 외국어교육 분야에서의 연구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다룬 바 있다. 그 가운데 특히 참고가 되는 것이 “국어의 기초어휘 및 기본어휘 연구사”(이희자)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본어휘에 관한 연구를 크게 일반 기초어휘 선정, 학습용 기본어휘 선정, 교과서 수록 어휘 조사, 교육용 어휘 선정, ‘국어’과 지도 대상 어휘 선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기초어휘 선정, 1?2차 어휘 목록 작성 등과 같은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하며, 이를 토대로 연도별 관련 논저 목록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3
이후 10년 가까이 지난 최근까지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필자는 이희자(2003)의 목록에서 제목이나 내용에서 명시적으로 용어가 제시된 논저만을 추려내고,4 한편으로 국립국어원의 ??국어연감??의 목록을 통해, 이희자(2003) 이후에 발표된 성과를 조사하여 추가하는 동시에, 일본 중국 등 해외 지역에서 이루어진 한국어 기본(기초)어휘 연구에 관해 현재 파악 가능한 것들을 새롭게 포함하여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34년5 이후 2010년까지 모두 271편의 논저가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각 시기별로 어떠한 용어가 어느 정도로 활발하게 사용되어 왔는지, 그리고 어떠한 분야에서 어떤 용어를 어느 정도로 자주 사용해 왔는지를 각각 분석하여 각각의 추이와 분포를 살펴보면 <표 1>, <표 2>와 같다.

2.1. 시기에 따른 용어 사용의 추이


연도
용어
1934~
1960
1961~
1970
1971~
1980
1981~
1990
1991~
2000
2001~
2010
합계
비율
기초
기초어휘
1
2
7
4
25
17
56
26.3%
기초용어




1

1
0.5%
기초학습어휘





2
2
0.9%
기초한자어





1
1
0.5%
기초한자


8
4
5
3
20
9.4%
기본
기본어휘

3
5
7
14
36
65
30.5%
기본단어



1
2

3
1.4%
기본학습어휘


1



1
0.5%
기본동사


2


5
7
3.3%

기본형용사





2
2
0.9%
기본용언





1
1
0.5%
기본외래어




2

2
0.9%
기본숙어





1
1
0.5%

기본한자





2
2
0.9%
~

교육용 어휘



4
3
23
30
14.1%
학습용어휘




1
8
9
4.2%
수업용어휘





1
1
0.5%
기타
지도대상어휘




1

1
0.5%
대표어휘




1

1
0.5%
상용어휘





1
1
0.5%
일차어휘



1


1
0.5%
중요어휘





1
1
0.5%
필수어휘




1
1
2
0.9%
교육한자

1




1
0.5%
Essential Words





1
1
0.5%
용어 사용 논저 수
1
6
23
21
56
106
213
100%
어휘 조사 논저 수
18
2
11
7
12
12
62

논저 수 합계
19
8
34
28
68
118
275

비율
6.9%
2.9%
12.4%
10.2%
24.7%
42.9%
100%

<표 > 용어 사용의 연도별 분포


용어 구성의 측면에서 본다면 논저 목록에서는 총 25개의 용어가 수집되었는데, 크게 ‘기초 ~, 기본 ~, ~용 어휘, 기타’ 등으로 나뉘는데, 이 가운데 ‘기본 ~’형의 용어가 상대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시기에 따른 용어 사용의 양상으로 볼 때 ‘기초 ~’의 시초인 송지학의 ??朝鮮語基礎1500語??(1957)를 그 시초로 하여, 전체적으로는 ‘기초어휘’와 ‘기본어휘’의 용어가 대체로 비슷한 비중으로 사용되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 ‘교육용 어휘’ 등의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로 매우 다양한 용어들이 혼재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1990년대를 거치면서 ‘기초어휘’와 ‘기본어휘’의 사용 빈도가 역전되었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는 ‘기본어휘’가 가장 빈번히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교육용 어휘 조사로서 가장 이른 것은 1934~1937에 걸친 이호성의 “보통학교 조선어 독본 어휘조사(1~16)”로 나타났으며, 이후로도 기초적인 어휘 조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2.2. 분야에 따른 용어 사용의 분포


분야




용어
국어교육
한국어교육
대조연구
언어연대학
방언학
비교언어학
어휘론
언어병리학
자연언어처리
한문교육
교과교육
외국어교육
사전학
어휘
조사
합계
비율
기초
기초어휘
7
22
5
5
4
4
2
2



7

1
59
26.9%
기초용어

1












1
0.5%
기초학습어휘

2












2
0.9%
기초한자어

1












1
0.5%
기초한자
1








18




19
8.7%
기본
기본어휘
14
18
4





2


27
1

66
30.1%
기본단어

3












3
1.4%
기본학습어휘
1













1
0.5%
기본동사


6








1


7
3.2%
기본형용사

1
1











2
0.9%
기본용언

1












1
0.5%
기본외래어













2
2
0.9%
기본숙어












1

1
0.5%
기본한자

2












2
0.9%
~

교육용 어휘
16
15










1

32
14.6%
학습용어휘
1
4
2








1
1

9
4.1%
수업용어휘

1












1
0.5%
기타
지도대상어휘
1













1
0.5%
교과서어휘













1
1
0.5%
대표어휘
1













1
0.5%
상용어휘











1


1
0.5%
일차어휘
1













1
0.5%
중요어휘











1


1
0.5%
필수어휘
1










1


2
0.9%
교육한자
1













1
0.5%
Essential Words

1












1
0.5%
용어 사용 논저 수
45
72
18
5
4
4
2
2
2
18
0
39
4
4
219
100%
어휘 조사 논저 수
53
3







1
3
2


62

합계
98
75
18
5
4
4
2
2
2
19
3
41
4
4
2816

<표 > 용어 사용의 분야별 분포


<표 2>를 통해서 우리는 다음의 사실을 알 수 있다.
첫째, 사용 빈도수의 면에서 볼 때는 조사 대상 용어 중 “기초어휘(10개 분야 59회), 기본어휘(6개 분야 66회), 교육용 어휘(3개 분야 32회)”의 세 가지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사용된 분야 수의 면에서 본다면 조사 분야 중 5개 분야 이상에 걸쳐서 사용되는 “기초어휘(10개 분야), 기본어휘(6개 분야), 학습용 어휘(5개 분야)”가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실제 사용된 용어의 빈도수의 면에서는 ‘학습용 어휘’보다는 ‘교육용 어휘’가 특히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훨씬 자주 쓰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학습용 어휘’가 사용되는 ‘대조 연구’는 어떤 면에서는 한국어교육이나 외국어교육 모두에 포함될 수도 있으므로, 실제로는 ‘교육용 어휘’라는 것이 더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로, ‘기초어휘’나 ‘기본어휘’ 모두 주로 한국어의 교육(국어 및 한국어 교육)과 외국어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본어휘’는 주로 한국어교육, 외국어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밖에 일부 대조연구, 사전학, 자연언어처리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비해, ‘기초어휘’는 국어 교육, 한국어교육, 외국어교육 등의 교육 관련 분야에서 활발히 사용되는 한편으로, 대조연구, 언어연대학, 방언학, 비교언어학, 어휘론, 언어병리학 등 그 사용 영역이 ‘기본어휘’보다도 훨씬 넓은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어휘 조사는 전체의 약 85%가 국어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부분 교과서 혹은 학습자 및 아동의 어휘량 등에 대한 조사였다.
이와 같은 분포를 통해서 우리는 이제 기본어휘와 관련한 제반 용어들이 특정 연구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폭넓은 여러 영역에 걸쳐 공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본어휘론7

이제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본어휘’에 대한 그간의 중요한 성과를 찾아 그 특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기본어휘는 흔히 목록집의 형태로 발표되지만, 또 한편으로는 사전이나 교과서의 편찬 과정에서 작성되어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일정한 기준과 원칙에 의해 어휘 목록이 구성되어 공표된 것에 국한하여 다루기로 한다.8

3.1. 주요 기본어휘 목록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본어휘 연구는 대체로 1970년대로부터 시작되었으며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본격적인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최근까지도 한국어교육의 연구 영역의 확충에 따라 다양한 관점과 목적, 상이한 방법론에 의한 교육용 어휘의 선정이 시도되고 있다.
필자가 조사한 바에 의하자면, 한국어교육을 위해 편찬된 최초의 어휘집이라 할 수 있는 梅田博之의 ??現代朝鮮語基礎語彙集??(1971) 이래 최근까지 발표된 주요 어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梅田博之(1971), ??現代朝鮮語基礎語彙集??, 東京: 東京外?語大?アジアアフリカ言語文化?究所
?? 梅田博之(1976), ??例文活用基本?語集 韓?語??(I, II 2권), 東京: 三中堂
?? ?山秀夫?油谷幸利(1982), ??朝鮮語常用6000語??, 東京: 大?書林
?? ?山秀夫?油谷幸利(1982), ??朝鮮語基礎1500語??, 東京: 大?書林
?? 張銀英(1988), ??韓國語基本單語2000??,東京: 語硏
?? 金東漢(1997), ??韓?語基本?語+2000??, 東京: 語?
?? 한국어능력평가위원회(1997), ??한국어 능력 평가용 기본어휘표??, 서울: 한국학술진흥재단
?? 서상규?남윤진?진기호(1998).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 어휘 선정 ?? - 기초 어휘 빈도 조사 결과 -??, 서울: 문화관광부
?? 野間秀樹(1998), ??朝鮮語分類基礎語彙集??, 東京: 東京外?語大?
최길시(1998),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실제??,서울: 태학사
野間秀樹(1999), ??暮らしの?語集 韓?語??, 東京: ナツメ社
서상규?강현화?유현경(2000), ??한국어 교육 기초 어휘 의미 빈도 사전 개발??, 서울: 문화관광부
조현용(2000),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 서울: 박이정
김광해(2001), ??한국어의 등급별 총어휘- 낱말 V.2001??, 서울: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각주)-----------------
‘기본어휘’와 ‘기초어휘’라는 용어는 연구자들에 따라서는 같은 뜻으로 쓰기도 하고, 구별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이하, 편의상 ‘기본어휘’라는 용어로 대표하되, 이 글에서 다른 문헌을 인용할 때에는 원래 사용한 용어를 그대로 살려 인용하기로 한다.
이희자(2003)와 조남호(2003b)에서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국어교육 및 한국어교육 전반의 기본어휘와 기초어휘에 관한 연구 성과를 개괄하고 있어 참고가 된다.
이희자(2003:120-125)를 참조 바람.
예를 들어 문교부(1956)의 ??우리말 말수 사용의 잦기 조사??나 서상규(1998a)의 ??현대 한국어의 어휘 빈도(상?하)?? 같은 것은, 기본어휘의 설정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지 않고, 일반적이고 범용적인 목적으로 이루어진 어휘 조사의 결과이므로 이 목록에서는 제외하였다.
첫 교과서 어휘 조사라고 할 수 있는 이호성(1934~1937)의 “보통학교 조선어 독본(권1~4) 어휘조사(1~16)”(??한글?? 16~19집, 한글학회)를 시초로 잡은 것이다.
연도별 분포보다 합계수가 더 많아진 것은, “기초어휘, 교육용 어휘”가 각각 2개 분야에 걸쳐 사용된 일이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3장과 4장은 ??韓?語?育論講座 第1???(2007)에 실린 “基礎學習語彙論: 日本語話者のために”을 바탕으로, 이후 2012년까지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새롭게 고쳐 쓴 것이다.
교과서의 색인이나 사전의 중요어의 형태로 반영된 것도 매우 중요한 어휘 목록임에는 틀림없으나, 여기서는 각종 교과서에 색인 형태로 제시된 어휘 목록은 다루지 않기로 한다. 한국어 교과서의 사용 어휘에 관한 대규모 분석으로서는 서상규(2003a), 서상규(2006b), 長谷川由起子?李秀炅(2006) 등이 있다.

각주)-----------------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5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