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어어휘학습

영어어휘학습

신길호 (지은이)
한국문화사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1,150원
21,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400원 -10% 920원 15,640원 >

책 이미지

영어어휘학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어어휘학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영어영문학 > 기초영어
· ISBN : 9788968171871
· 쪽수 : 366쪽
· 출판일 : 2014-12-30

책 소개

2007년 출간된 <영어어휘연구>를 토대로 어휘의 개념과 유형, 형성과 차용, 의미 등을 알아 본 후에 학습 기법 및 평가 방법을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기본적인 설명과 더불어 가능한 많은 예를 제시하여 영어 어휘의 학습과 연구에 보탬을 주고자 한다.

목차

제1장 어휘교육의 역사와 중요성
1.1. 어휘교육의 역사
1.2. 어휘학습의 중요성

제2장 어휘의 개념과 구성, 유형
2.1. 어휘의 개념
2.2. 영어어휘의 구성
2.3. 영어어휘의 유형

제3장 영어어휘의 조어와 차용
3.1. 어원
3.2. 영어어휘의 조어
3.3. 영어어휘의 기능전환
3.4. 차용 영어어휘
3.5. 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어휘

제4장 영어어휘의 철자와 발음
4.1. 영어어휘의 철자
4.2. 영어어휘의 발음
4.3. 철자와 발음의 관계

제5장 영어어휘의 의미
5.1. 의미와 의미자질
5.1.1. 어휘의 의미
5.1.2. 의미자질
5.2. 다의성
5.3. 어휘장과 계층구조
5.3.1. 어휘장
5.3.2. 어휘의 계층구조
5.4. 어휘의 의미 변화

제6장 어휘와 문화 및 담화
6.1. 어휘와 문화
6.2. 완곡어법
6.3. 어휘와 담화
6.3.1. 결합성과 일관성
6.3.2. 연결사
6.4. 어휘의 스타일과 사용역

제7장 영어어휘의 규모와 학습어휘의 선정
7.1. 영어어휘의 규모
7.2. 핵심어휘와 학습어휘의 선정
7.2.1. 핵심어휘
7.2.2. 학습어휘의 선정
7.2.3. 학교급별 학습어휘

제8장 어휘능력과 어휘학습의 방향
8.1. 어휘능력
8.2. 어휘학습의 목표와 방향
8.3. 어휘의 문맥분리학습과 문맥통합학습

제9장 어휘학습기법 I
9.1. 번역을 통한 어휘학습
9.2. 설명을 통한 어휘학습
9.3. 어휘구성의 이해를 통한 학습
9.4. 의미자질의 분석을 통한 학습

제10장 어휘학습기법 II
10.1. 실물과 시각자료의 활용을 통한 학습
10.2. 신체 활동을 통한 학습
10.3. 멀티미디어를 통한 학습

제11장 어휘학습기법 III
11.1. 상황의 이해를 통한 학습
11.2. 의미관계의 이해를 통한 학습
11.3. 문맥단서의 활용을 통한 학습
11.3.1. 문맥을 통한 어휘의 이해
11.3.2. 문맥단서의 유형
11.3.3. 문맥확대연습과 무의미 어휘의 활용

제12장 어휘학습기법 IV
12.1. 과업활동을 통한 학습
12.2. 게임을 통한 학습
12.3. 노래를 통한 학습

제13장 연어의 학습
13.1. 연어의 개념과 특성
13.1.1. 연어의 개념
13.1.2. 연어의 특성
13.2. 연어 지식의 유용성
13.3. 연어의 유형
13.4. 연어의 학습기법

제14장 어휘학습전략과 사용전략의 학습
14.1. 어휘의 의미알기전략
14.2. 어휘의 기억강화전략
14.3. 어휘의 회상과 사용전략

제15장 구두법의 학습
15.1. 어휘 내부 구두법
15.2. 문장 내부 구두법
15.3. 문장 끝 구두법
15.4. 이탤릭체

제16장 사전과 코퍼스
16.1. 사전
16.1.1. 영어사전 편찬의 역사
16.1.2. 사전의 유형
16.1.3. 사전 활용의 학습
16.2. 코퍼스
16.2.1. 코퍼스의 역사와 유형
16.2.2. 코퍼스의 유용성
16.2.3. 코퍼스의 활용

제17장 영어어휘능력의 평가
17.1. 외국어능력 평가의 역사
17.2. 외국어능력 평가의 원리
17.3. 영어어휘 평가의 방향
17.4. 영어어휘 평가의 유형
17.4.1. 평가 목적에 따른 어휘평가 유형
17.4.2. 평가 분야에 따른 어휘평가 유형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신길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 (저서) 영어독해의 학습과 지도(2000) 영어어휘연구(2007) 영어과 교과교육학(2판, 2011) 연적지 산책(산문집, 2007) (주요 논문) A diachronic study of English passive construction(1982) Schema theory and EFL reading(1991) A study on the cloze procedure(2002)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의 분석과 제안(2005) TEE(영어로 진행하는 영어교육)의 실태분석과 개선방향(2010) 면담조사를 통한 EPIK제도의 운영분석과 개선방향 모색(2010) 대학생의 영어연어 사용능력에 대한 연구(2013) (주요 경력) 강원대학교 학생처장 한국중앙영어영문학회 회장 교육인적자원부 교원자격.양성제도 개편위원회 위원 Slippery Rock University of Pennsylvania 교환교수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연구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어휘교육의 역사와 중요성
제 1 장에서는 외국어 교육에서 어휘에 대한 관점의 역사적 변화를 알아보고 어휘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다루어 영어어휘의 학습에 관한 논의에 참고하고자 한다.


1.1. 어휘교육의 역사

외국어 교육에서 어휘 교육에 대한 관점과 비중은 교수법의 변천에 따라 변화해 왔다. 주요 교수법을 중심으로 어휘교육에 관한 관점을 보면 문법 ? 번역중심교수법(grammar-translation method)에서는 어휘가 언어학습의 중심에 있기는 했지만 문법지도와 문학작품의 번역에 치중하여 문법사항을 예증하는데 필요한 어휘를 대역목록(bilingual list)의 암기를 통하여 학습하게 하였다. 또한 학습의 대상이 되는 어휘는 실생활에 사용되는 어휘라기보다는 고전(古典)에 나타난 어휘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어휘의 비중은 크기는 했지만 학습자가 어휘를 실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의 신장에는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아울러 어휘의 지도와 학습은 상당한 기간 동안 등한시되거나 주변적이고 보조적인 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다 (Carter & McCarthy, 1988; Seal, 1991; Zimmerman, 1997 참고).
1930년대부터 대두되어온 직접교수법(direct method)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어휘를 모국어로 번역하지 않고 목표어(target language)만을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학습하게 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어휘는 그림, 행동, 실물(realia) 등을 통하여 의미를 이해하도록 하고 추상적인 어휘는 개념 연상 등을 통한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모국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가 어휘의 의미를 불명확하게 이해할 수도 있고 추상적인 어휘의 학습에는 비효율적인 면도 있었다.
1950년대 초에 소개된 청화중심교수법(audio-lingual method)에서는 정확한 발음과 구어능력은 강조하였지만 어휘의 학습은 문형연습(pattern practice)에 부수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다시 말하면 기본적인 문형을 학습하면 어휘력은 자동적으로 뒤따라온다고 보았다. 또한 구체적인 어휘학습기법이 제시되지는 못하였고 문형연습을 위해 쉽고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제한된 어휘들을 다루었다. 따라서 어휘는 크게 부각되지 못했으며 초기 단계에서 어휘 학습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면 학습자에게 과중한 부담을 주게 되어 언어교육의 목표 즉 습관 형성을 통해 언어구조 및 음운체계를 익히는데 방해가 된다고 보았다.
1970년대 이후 각광을 받기 시작한 의사소통중심교수법(communicative approach)과 의미?기능 중심의 교수요목(funtional-notional syllabus)에서는 담화(discourse), 개념과 기능, 언어의 적절한 사용 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어휘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았고 외국어/제2언어 학습에서도 어휘는 모국어 상황에서와 같이 언어사용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발달된다고 보았다.
1980년대에 제시된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에서는 어휘의 이해를 외국어학습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로 보고 있다.


Acquisition depends crucially on the input being comprehensible. And comprehensibility is dependent directly on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meaning of key elements in the utterance. Thus, acquisition will not take place without comprehension of vocabulary. (Krashen & Terrell, 1983, p. 155)

이 접근법에서는 흥미 있고 적절한 입력과 의사소통이 일어나는 상황을 중시하였으며 어휘의 장기 기억을 위하여 암기나 연습을 통한 의도적인 학습도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총체적 언어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에서는 인간은 언어를 전체적으로 자연스럽게 배운다고 보고 학습자가 어휘를 배경지식이나 상황, 주제와 연결시켜 어휘의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에 이해중심교수법(comprehension-based method)의 영향으로 외국어교육에서 어휘의 중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다.

Recently, methodologists and linguists have increasingly been turning their attention to vocabulary, stressing its importance in language teaching and reassessing some of the ways in which it is taught and learnt (Harmer, 1991, p. 154).

또한 목표어를 많이 접하면서 어휘를 습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보게 되었다.

It was assumed that good language habits, and exposure to the language itself, would eventually lead to an increased vocabulary (Coady, 1993, p. 4).

아울러 어휘를 알아야 언어의 기능과 구조를 이해하고 언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어휘력이 외국어 습득에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어휘의 선정과 배열이 교과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1990년대에 이르러 어휘접근법(lexical approach; Lewis, 1993, 1997; Nattinger & DeCarrico, 1992)이 소개되고 코퍼스 언어학(corpus linguistics) 및 전산언어학(computational linguistics)이 발달됨에 따라 언어의 상당 부분이 어휘구 혹은 다단어 조립식 뭉치말(multi-word prefabricated chunks)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어휘 지식은 주어진 개별 단어에 대한 지식 뿐 만 아니라 다단어 뭉치말과 단어들의 공기(co-occurrence) 가능성 즉 연어(連語, collocation)를 알아야 한다는 것을 포함한다고 보게 되었다(Nation, 2001, p. 56 참고). 다시 말하면 개별 어휘를 안다고 하더라도 함께 사용되는 어휘들의 연어 관계와 다단어 어휘를 모르면 정확하고 효과적인 이해와 표현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표 1-1> 주요 외국어교수법의 어휘교육에 대한 관점 비교
교수법
문법 ? 번역중심교수법
직접교수법
청화중심교수법
의사소통중심교수법
어휘접근법, 코퍼스언어학

지도 중점 어휘
문법사항의 예증에 필요한 어휘
일상생활의 어휘
문형연습을 위한 어휘
담화 속에서의 어휘
어휘구, 연어, 사용빈도 중시

어휘지도 방법
번역, 대역목록 활용 암기
목표어사용, 시각매체활용
문형연습에 포함 지도
자연스러운 어휘 학습
실제의 쓰임새 강조

우리나라 영어어휘교육은 전통적으로 어휘목록의 단순한 암기나 한국어로 해석하여 의미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어 왔으며 어휘는 읽기와 말하기의 부수적인 영역으로 인식해 온 면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의 신장을 강조하면서도 언어의 기본이 되는 어휘의 학습과 지도에는 관심이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영어의 이해능력과 표현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어휘학습을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어휘의 의미, 쓰임새 및 연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1.2. 어휘학습의 중요성

말과 글에서 어휘는 가장 필수적인 요소이며 어휘가 없다면 언어가 이루어 질 수 없다. 따라서 언어 연구와 외국어 학습에서 어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이다.
일상생활에서 어휘를 나열하기만 해도 최소한의 의사소통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어휘는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 전달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문장에서 핵심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어휘가 결여된 예문(a)보다는 한 단어로 이루어진 예문(b)가 더 효과적으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예 (a) I wonder if you could lend me your . . . .
(b) Pen?

또한 어휘를 많이 알수록 의사소통과정에서 이해와 이해시키기가 용이하다.

The more words you know, the better your chance of understanding or making yourself understood (Edge, 1993, p. 79).

아울러 문법지식이 부족하더라도 어휘를 알고 사용할 수 있으면 최소한의 단편적인 의사소통은 가능하다. 다음 예(a)와 같이 어휘 만 나열되었거나 (b)와 같이 문장의 문법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못한 경우도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

예 (a) Yesterday. Go disco. And friends. Dancing.
(b) *She go to school yesterday.

다시 말하면 언어학습에서 언어구조나 문법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어휘가 보다 더 중요한 의사전달의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Wilkins(1972)는 이 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While without grammar very little can be conveyed, without vocabulary nothing can be conveyed (p. 111).

따라서 영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휘의 학습이 문법의 학습보다 우선해야 한다.

If you spend most of your time studying grammar, your English will not improve very much. You will see most improvement if you learn more words and expressions. You can say very little with grammar, but you can say almost anything with words! (Thornbury, 2002, p. 13)

Rivers(1983)도 외국어 학습에서 적절한 어휘습득은 필수적이며 어휘력은 연령이 많아져도 감퇴되지 않고 어휘력의 증진에 따라 새로운 어휘의 습득이 더 용이해진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어휘의 오류는 문법적인 오류보다 의사소통에 더 많은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데 이 점에 관하여 Ellis(1994)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Research has shown that lexical errors tend to impede comprehension more than grammatical errors, and native-speaking judges tend to rate lexical errors as more serious than grammatical errors (p. 104).

최근 의사소통중심교수법에서도 학습초기 단계에서 문법보다 어휘의 효용가치를 더 인정하고 있는 추세이다. 어휘력이 부족하면 문법지식이 있더라고 언어를 구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어휘접근법(lexical approach)은 어휘 중심의 학습법을 말하며 의미는 일차적으로 어휘에 나타난다고 보는 견해로 어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Thornbury, 2002 참고). 아울러 어휘력은 전반적인 언어능력과 상관관계(correlation)가 높다. Alderson (2005)은 어휘력은 문법능력과 .64, 듣기능력과 .61 ∼ .65, 독해능력과 .64, 쓰기능력과 .70 ∼ .79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제2장어휘의 개념과 구성, 유형
제 2 장에서는 어휘의 개념 및 구성에 관해 알아보고 표준성, 의미, 다의성 등에 따른 어휘의 다양한 유형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2.1. 어휘의 개념

어휘(vocabulary)는 언어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의 총체 혹은 특정한 사람이나 특정한 사회의 구성원들이 알고 있는 모든 단어들을 말하며 개별 단어(낱말, word)와 숙어(익은 말, 덩어리 어휘, lexical chunk)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또한 동일한 의미를 지닌 어휘들에도 단어, 구동사, 관용어 등의 다양한 유형들이 있는데 다음 예들은 모두 ‘to die’의 의미를 지닌 동의어(synonym)로 예(a)의 ‘to die’와 ‘to expire’는 단어, (b)의 ‘to pass away’는 구동사, (c)는 관용어이다.

예 (a) to die, to expire
(b) to pass way
(c) to bite the dust, to give up the ghost, to go to one’s eternal home, to kick the bucket,

또한 어휘는 한 단위로 습득되고 사전의 표제어가 된다.

vocabulary: a word or group of words with a meaning that needs to be learnt as a unitary whole - that would need a separate entry in a dictionary (Nuttall, 1996, p. 63).

일반적으로 ‘어휘’와 ‘단어’, ‘어휘목록’, ‘어형’은 다소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단어(word)는 양쪽에 띄어쓰기로 구분되어진 언어 단위(unit of language)로 ‘낱말’을 뜻한다. 또한 단어는 언어의 기본적인 요소 중의 하나로 일정한 의미와 쓰임새를 가지고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예로 ‘childish’는 ‘child’와 접미사 ‘-ish’로 구성되어있는데 ‘child’는 독립하여 사용될 수 있고 일정한 의미를 지니므로 하나의 단어이지만 접미사 ‘-ish’는 ‘having the qualities of’라는 의미는 가지고 있지만 독립하여 사용될 수 없으므로 하나의 단어라고 할 수 없다.
어형(word form)은 하나의 단어가 실제로 사용될 때의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구체적인 형태를 말하는데, 예를 들면 ‘leap’는 ‘leap’, ‘leaps’, ‘leapt’, ‘leaping’과 같은 형태로도 사용되며 이러한 각각의 형태를 어형이라고 한다.
어휘목록(lexicon)에 대하여는 다양한 정의가 있을 수 있지만 대체적으로 단어집(word list)을 말하며 사전(dictionary)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어휘정보(lexical entry)는 어휘목록에 수록된 어휘항목(lexical item)의 내용을 말하며 음운적, 통사적, 의미적 정보 등이 포함된다.

어휘의 개념과 관련하여 어휘소와 단어군에 대해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1) 어휘소
어휘소(語彙素, lexemes)는 문법범주와 문법적 어미가 다른 어휘 변이형(variants)들의 기저에 있는 추상적인 단위로 특정한 의미를 지니며 관련된 여러 형태의 어휘들을 대표할 수 있고 사전에서 독립된 표제어로 기재된다.

예 (a) BRING : bring, brings, brought, bringing
(b) WALK : walk, walks, walked, walking
(c) I : I, me, my, mine

어형은 동일하지만 의미가 각기 다른 단어의 어휘소는 다른 어휘소에 해당된다. 다음의 예에서 ‘bat’는 ‘방망이, a strong solid stick’와 ‘박쥐, any of several kinds of flying mouse’의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의미에 따라 각각 다른 어휘소에 해당된다.

예 There is a bat.

또한 ‘KICK THE BUCKET’은 세 개의 형태소, 세 개의 단어로 이루어졌으나 하나의 어휘소이며 사전에 단일 표제어로 기재될 수 있다.

2) 단어군
단어군(어휘군, 語彙群, word families)은 기본적인 단어와 굴절(屈折, inflection)에 의해 생겨난 단어들을 말하며 의미상으로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굴절은 시제, 인칭, 수, 성, 서법(mood), 태(voice) 및 격(case)을 표시하기 위하여 접사(affix)를 붙이거나 ‘man-men’ 등과 같이 모음변이(mutation)에 의하여 혹은, ‘child- children’ 등과 같이 형태음소교체에 의하여 한 낱말의 형태가 변하는 것을 말한다.
굴절형이 아닌 파생된 형태(derived forms)인 경우도 공통된 의미를 갖는 단어들이라면 단어군으로 간주될 수 있다.

A word family consists of a headword, its inflected forms, and its closely related derived forms (Nation, 2001, p. 8).

다음의 예는 ‘understand’의 단어군이다.

예 understand, misunderstand, understanding, understood, understandable

어휘력은 단어의 수보다는 알고 있는 단어군의 양에 달려있다.


2.2. 영어어휘의 구성

어휘는 하나의 형태소(morpheme) 혹은 두 개 이상의 형태소 결합으로 구성되어지며 이러한 어휘의 구성에 대한 지식은 어휘의 의미파악 및 어휘지식의 확장에 유용하다. 예로 ‘transport’가 {trans}와 {port}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의미가 ‘across’, ‘carry’임을 이해하면 이 어휘의 어원적 의미가 ‘carry across’임을 알게 되고 그 의미가 ‘to carry one place to another’임을 유추해 낼 수 있다. 또한 ‘port’에서 ‘portable’로 어휘 지식을 확장할 수 있고 그 의미가 ’carryable’임도 알아 낼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6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