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문법
· ISBN : 9788968172014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15-02-27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문법 기초
1.1 문장 성분(Constituents)
1.2 절, 구와 단어(Clauses, Phrases and Words)
1.3 기능과 범주(Functions and Categories)
1.4 단어와 통사범주(Words and Categories)
1.4.1 명사(nouns)
1.4.2 동사(verbs)
1.4.3 형용사(Adjectives)
1.4.4 부사(Adverbs)
1.4.5 전치사(Prepositions)
1.4.6 한정사(Determinatives)
1.4.7 등위접속사(Coordinators)
1.4.8 종속접속사(Subordinators)
1.5 절(clause)
1.5.1 절의 유형(clause type)
1.5.2 종속성 (subordination)
1.5.3 등위성(Coordination)
1.5.4 정보 패키지(Information Packaging)
제2장 절의 구조
2.1 술어자(predicator)
2.2 보충어로서의 주어
2.3 주어(subject)
2.4 목적어(object)
2.5 술어적 보어(predicative complements)
2.5.1 술어적 보어와 목적어
2.5.2 술어적 보어의 통사적 특징
2.5.3 두 종류의 술어적 보어
2.5.4 be동사의 두 가지 용법
2.6. 부가어(Adjuncts)
제3장 동사(Verbs)
3.1 동사의 형태적 특징
3.1.1 한정 동사와 비한정 동사(Finite vs. Nonfinite Forms)
3.2 동사의 의미적 특징: 어휘적 상(Lexical aspect)
3.2.1 상태동사(Stative Verbs)
3.2.2 동작동사(Dynamic verbs)
3.2.3 하나 이상의 유형에 속하는 동사
3.2.4 어휘적 상(aspect)의 효과
3.3 문장 유형
3.3.1 자동사와 타동사
3.3.2 능격동사(Ergative Verbs)
3.3.3 비대격동사(Unaccusative verbs)와 비능격동사(Unergative verbs)의 비교
3.3.4 중간동사(Middle Verbs)
3.3.5 작용동사(Conative Verbs)
제4장 대명사(Pronouns)
4.1 대용(anaphor) 관계와 인칭대명사(personal pronouns)
4.2 인칭대명사의 다양성
4.3 재귀 대명사(Reflexive Pronouns)
4.3.1 비강조 기능(nonemphatic function)
4.3.2 강조 기능(Emphatic Functions)
4.4 상호대명사(Reciprocal Pronouns)
4.5 소유대명사(Possessive Pronouns)
4.6 부정대명사(Indefinite Pronouns)
4.6.1 부정대명사와 일치현상
4.7 지시 대명사(Demonstrative Pronouns)
제5장 한정사(Determiners)
5.1 한정사와 순서
5.1.1 유형
5.1.2 명사구 내에서의 위치
5.2 한정사의 종류(Types of Determiners)
5.2.1 수, 분수, 배수(numbers, fractions, multipliers)
5.2.2 지시 한정사(demonstrative determiners)
5.2.3 양화사(quantifiers)
5.2.4 부분사(Partitives)
5.2.5 소유격 한정사(Possessive determiners)
제6장 관사(Article)
6.1 관사의 유형
6.2 관사 용법
6.2.1 정관사(Definite article)
6.2.2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
6.2.3 무관사(Zero Article)
6.3 담화상의 한정사 선택
6.3.1 정관사 선택 문맥
6.3.2 문법적 정관사 선택
6.3.3 숙어적 정관사
제7장 형용사와 부사(Adjectives and Adverbs)
7.1 형용사
7.1.1 형용사와 명사
7.1.2 형용사와 동사(adjectives and verbs)
7.1.3 정도 및 비정도 형용사(gradable and non-gradable adjectives)
7.1.4 형용사구의 구조
7.1.5 한정적 또는 술어적 기능의 제약
7.2 부사(adverbs)
7.2.1 부사 유형
제8장 전치사(Prepositions)
8.1 전통적 분류
8.2 전치사의 기능
8.2.1 문법기능 전치사
8.2.2 장소 및 시간 전치사
8.3 전치사의 전치 이동(preposition fronting)
8.4 전치사구의 구조
8.5 전치사구의 수식어
8.6 전치사의 의미
8.6.1 의미 역할(thematic roles)
8.6.2 문법기능 전치사의 의미
8.6.3 공간 및 시간 전치사의 의미
8.6.4 도구의 의미 역할
8.6.5 동반 의미 역할(comitative)
제9장 서법 조동사(Modal Verbs)
9.1 서법 조동사의 특징
9.2 서법 조동사의 유형
9.2.1 형태에 따른 서법 조동사
9.2.2 서법 조동사의 의미
9.3 능력, 허락, 가능성의 서법 조동사
9.3.1 CAN
9.3.2 COULD
9.3.3 MAY
9.3.4 MIGHT
9.4 충고(advice) 및 필요성(necessity)의 조동사
9.4.1 SHOULD
9.4.2 MUST
9.5 충고와 필요의 한계 서법 조동사와 준조동사
9.5.1 DARE
9.5.2 NEED
9.5.3 OUGHT TO
9.5.4 HAD BETTER and HAD BEST
9.5.5 HAVE GOT TO
9.5.6 BE SUPPOSED TO
9.6 미래 시간을 표현하는 서법 조동사
9.6.1 WILL
9.6.2 SHALL
9.6.3 WOULD
9.6.4 BE GOING TO
제10장 시제와 상(Tense and Aspect)
10.1 기본 개념: 시제와 상
10.1.1 시제
10.1.2 상(aspect)
10.1.3 어휘적 상(lexical aspect)
10.2 영어의 시제
10.2.1 단순 현재 시제(Simple Present Tense)
10.2.2 단순 과거 시제(Simple Past Tense)
10.2.3 단순 미래 시제(Simple Future Tense)
10.2.4 현재 진행형(Present Progressive Aspect)
10.2.5 과거 진행형(Past Progressive Aspect)
10.2.6 미래 진행형(Future Progressive Aspect)
10.2.7 현재 완료형(Present Perfect Aspect)
10.2.8 과거 완료형(Past Perfect Aspect)
10.2.9 미래 완료형(Future Perfect Aspect)
10.2.10 완료 및 진행상(Perfect and Progressive)
제11장 다어 동사(Multiword Verbs)
11.1 구동사(Phrasal verbs)
11.1.1 타동사형 구동사(Transitive Phrasal Verbs)
11.1.2 자동사형 구동사(Intransitive Phrasal Verbs)
11.2 전치사적 동사(Prepositional verbs)
11.2.1 구동사와 전치사 동사 구분법
11.2.2 유사 전치사적 동사 구문
11.3 구전치사적 동사(Phrasal Prepositional Verbs)
11.4 자유 결합형 구동사(Free Combinations of verb + preposition)
제12장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s)
12.1 두 가지 유형의 간접 목적어
12.1.1 전치사 유형(Prepositional pattern)
12.1.2 여격 이동 형태(Dative movement pattern)
12.2 두 가지 제약
12.3 한 형태만이 가능한 동사
12.4 담화상에서 간접 목적어
제13장 수동태(Passive Sentences)
13.1 수동태 문장 형성
13.1.1 수동태의 주어
13.1.2 두 가지 유형의 수동태
13.2 수동태 제약
13.2.1 상태동사(stative verbs)
13.2.2 다어 동사 제약(multiword verbs)
13.2.3 For간접 목적어 동사(For Dative Verbs)
13.3 수동태 유사구문
13.4 Get 수동태(Get passives)
13.4.1 Get 수동태의 특징
13.4.2 유사 Get 수동태
13.5 기타 수동태 구문
제14장 부정문(Negation)
14.1 동사 부정(verbal negation)
14.1.1 동사 부정 유형
14.1.2 부정극어와 동사부정(Negative Polarity Items and Verbal Negation)
14.1.3 비한정 동사 부정(nonfinite verbal negation)
14.1.4 부정어 상승(Negative Raising)
14.1.5 다중 동사 부정문(Multiple Negation)
14.1.6 부정의 범위(Scope of Negation)
14.2 비동사 부정(nonverbal Negation)
14.2.1 비동사 부정 표시자
14.2.2 비동사 부정 표시자 not (as a nonverbal negator)
14.2.3 이중 부정어(Double Negatives)
제15장 명령문(Imperatives)
15.1 명령문의 형태
15.1.1 기본 형태
15.1.2 강조 명령문 형태
15.1.3 명령문 대명사 형태
15.1.4 호격 명령문(Vocative imperatives)
15.1.5 I need you명령문
15.1.6 Let’s명령문
15.2 명령문의 의미
15.2.1 지시 및 요구(commands, orders, and demands)
15.2.2 요청(Requests)
15.2.3 충고 및 경고(advice, recommendations, warnings)
15.2.4 지시(instructions and expository directives)
15.2.5 초청(invitations)
15.2.6 허락(permission)
15.2.7 용인(acceptance)
15.2.8 소망(wishes)
15.2.9 조건절 의미 명령문
15.3 주어 실현 명령문
제16장 의문문(Questions)
16.1 예/아니오 의문문(yes/no questions)
16.1.1 주어 조동사 도치
16.1.2 부정형 예/아니오 의문문(Negative Yes/No Questions)
16.1.3 축약형 예/아니오 의문문(reduced yes/no question)
16.2 부가 의문문(Tag Questions)
16.2.1 반대극 부가 의문문(Opposite Polarity Tag Questions)
16.2.2 동일극 부가 의문문(Same Polarity Tag Questions)
16.2.3 감탄문의 형태를 한 부가 의문문
16.3 Wh-의문문(Wh-Questions)
16.3.1 Wh-의문문 형성
16.3.2 Wh-의문문의 유형
16.4 기타 유형의 의문문들
16.4.1 선택 의문문(alternative questions)
16.4.2 메아리 의문문(Eco Questions)
16.4.3 감탄 의문문(Exclamatory Questions)
16.4.4 수사 의문문(Rhetorical Questions)
16.4.5 제시형 의문문(Display Questions)
제17장 허사
17.1 비지시형 IT
17.2 비지시형 THERE
17.2.1 비지시 THERE 구문 특징
17.2.2 주어-동사 일치 현상
17.2.3 기타
제18장 관계절(Relative Clauses)
18.1 형태와 기능
18.2 제한 관계절(Restrictive Relative Clauses)
18.2.1 주어 관계절(Subject Relative Clauses)
18.2.2 목적어 관계절(Object Relative Clauses)
18.2.3 간접 목적어 관계절(Indirect Object Relative Clauses)
18.2.4 전치사의 목적어 관계절(Object of the Preposition)
18.2.5 소유 관계절(Possessive Relative Clauses)
18.2.6 비교 목적어 관계절(Object of Comparison)
18.2.7 What 관계절
18.3 제한 관계절의 위치와 축약형
18.3.1 외치 관계절(Extraposed Relative Clauses)
18.3.2 중첩현상(Stacking)
18.3.3 주어 관계 대명사의 생략(Omission of Nonsubject Rlative Pronouns)
18.3.4 주어 관계절의 축약(Reduction in Subject Relative Clauses)
18.3.5 상태동사와 현재 분사형
18.4 기타 유형의 제한 관계절
18.4.1 부정사 관계절(Infinitival Relative Clauses)
18.4.2 부사 관계절(Adverbial Relative Clauses)
18.4.3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s)
18.5 비제한 관계절(Nonrestricitive Relative Clauses)
제19장 조건문(Conditional Sentences)
19.1 조건문의 형태
19.2 현실 조건문(Real Conditionals)
19.2.1 총칭 조건문(Generic Conditionals)
19.2.2 상용 조건문(Habitual Conditionals)
19.2.3 추론 조건문(Inference Conditionals)
19.2.4 미래 조건문(Future Conditionals)
19.3 비현실 조건문(Unreal Conditionals)
19.3.1 가상 조건문(Hypothetical Conditionals)
19.3.2 반사실적 조건문(Counterfactual Conditionals)
19.3.3 다른 형태의 비현실 조건문
제20장 주어절(Subject Clauses)
20.1 주어절의 유형
20.1.1 부정사절(Infinitive Clauses)
20.1.2 동명사절(Gerund Clauses)
20.1.3 That-절
20.1.4 의문사절(Interrogative Clauses)
20.2 담화상에서 주어절(Subject Clauses in Discourse)
20.3 주어절의 이동(Movement of Subject Clauses)
20.3.1 외치 유형
20.3.2 외치 구문 용법
20.4 명사구 주어 관련 구문
20.4.1 Tough 이동구문
20.5 주어상승 구문(Subject Raising Sentences)
20.5.1 주어상승 구문유형
20.5.2 주어상승 구문 용법
20.5.3 기타 유사 구문
제21장 보충어(Complements)
21.1 That 보충어
21.2 부정사 보충어(Infinitive Complements)
21.2.1 Persuade 동사 유형
21.2.2 Want 동사 종류
21.2.3 Believe 동사 유형
21.2.4 Make 동사 유형
21.2.5 기타 유사구문
21.3 동명사 보충어(Gerund Complements)
21.4 동명사 및 부정사 보충어 취하는 동사
21.5 동명사와 원형 부정사 보충어절을 취하는 동사
제22장 부사절(Adverbial Subordinate Clauses)
22.1 종속접속사가 있는 부사절
22.1.1 형태
22.1.2 의미
22.2 태도의 절(Clauses of Manner)
22.3 원인절(Clauses of Cause)
22.4 목적절(Clauses of purpose)
22.5 회피의 목적절 (Purpose Clauses of Avoidance)
22.6 이유의 절(Clauses of Reason)
22.7 결과절(Clauses of Result)
22.8 양보의 절(Clauses of Result)
22.9 자유 부가어(Free Adjuncts)
22.9.1 형태
22.9.2 의미
22.9.3 용법
제23장 비교 구문(Comparisons)
23.1 비교 구문의 유형
23.1.1 비동등 비교(inequality comparisons)
23.1.2 동등 비교(equality comparisons)
23.2 형용사와 부사의 비교
23.3 비교급 문장의 형태
23.3.1 비동등 비교문(inequality comparisons)
23.3.2 동등 비교문(equality comparisons)
23.4 최상급 형태(Superlative Forms)
제24장 등위구문(Coordination)
24.1 단일어 등위접속사(single-word coordinators)
24.1.1 And
24.1.2 OR
24.1.3 NOR
24.1.4 But 과 Yet
24.2 다어 등위접속사(Multiword Coordinators)
24.2.1 부가(addition)
24.2.2 대안(alternatives)
24.2.3 대조(Contrast)
24.2.4 양보(Concession)
24.3 등위접속사 관련 구문
24.3.1 등위구조문 축소(Conjunction Reduction)
24.3.2 동사구 생략(Verb Phrase Ellipsis)
24.3.3 우분지 상승 구문
24.3.4 공소 현상(Gapping)
24.4 추가 구문들
제25장 초점 구문(Focus Structures)
25.1 분열 문장(cleft Sentences)
25.2 분열 문장의 용법
25.2.1 It-분열구문
25.2.2 Wh-분열구문
25.3 전치(Fronting) 구문
25.3.1 전치 현상 용법
25.4 도치현상(Inversions)
25.4.1 어휘적 도치현상(Lexical Inversions)
25.4.2 스타일상 도치(Stylistic Inversions)
25.4.3 정보 패키징 도치현상(Information Packing Inversions)
25.5 강화사 전치(Intensifier Fronting)
참고문헌
추천해답
찾아보기
책속에서
서문
인간이 모국어를 사용하는 능력은 타고났지만, 제2외국어를 모국어처럼 사용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영어는 한국어와 달리 언어적 속성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영어를 학습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최근 영어 교육이나 학습 현장에서 강조되는 것은 대화중심 학습법이지만, 영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배우려면 기본적 문법 지식 없이는 사상누각에 불가하다.
본서는 올바른 영어사용자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영어문법을 담고 있다. 본서에서 제시된 영어문법지식은 영미의 학교영어 교육에서도 중요시되는 문법지식이라는 점에서,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 학생들에게 필수 문법지식이라 할 수 있다.
본서에서 제시되는 학교영문법 지식은 토플, 토익 등 각종 영어관련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이나 영어교사를 꿈꾸는 임용고시 준비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학교영문법을 학습하는 영어전공자들에게도 영어의 규범문법을 다지는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