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문법
· ISBN : 9788968177361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9-02-27
책 소개
목차
· 서문_v
제1장 문법 기초
1.1 문장 성분(Constituents)
1.2 문법기능과 통사범주(Functions and Categories)
1.3 단어와 통사범주(Words and Categories)
1. 명사(Nouns)
2. 동사(Verbs)
3. 형용사(Adjectives)
4. 부사(Adverbs)
5. 전치사(Prepositions)
6. 한정사(Determinatives)
7. 등위접속사(Coordinators)
8. 종속접속사(Subordinators)
1.4 절(Clause)
1. 절의 유형(Clause Type)
2. 종속성 (Subordination)
3. 등위성(Coordination)
4. 정보 패키지(Information Packaging)
1.5 절의 내부구조(Internal Structure)
1. 술어자(Predicator)
2. 보충어로서 주어(Subject as a Complement)
3. 주어(Subject)
4. 목적어(Object)
5. 술어적 보어(Predicative Complements)
A. 술어적 보어와 목적어
B. 술어적 보어의 통사적 특징
C. 두 종류의 술어적 보어
D. be동사의 두 가지 용법
6. 부가어
제2장 동사(Verbs)
2.1 동사 형태소와 위치
1. 한정 동사와 비한정 동사(Finite vs. Nonfinite Forms)
2.2 동사의 의미적 특징: 어휘적 상(Lexical Aspect)
1. 상태동사(Stative Verbs)
2. 동작동사(Dynamic Verbs)
3. 중의적 용법
4. 어휘적 상(Aspect)의 효과
2.3 문장 유형
1. 자동사와 타동사
2. 능격동사(Ergative Verbs)
3. 비대격동사(Unaccusative Verbs)와 비능격동사(Unergative Verbs)의 비교
4. 중간동사(Middle Verbs)
5. 작용동사(Conative Verbs)
2.4 문장 유형의 확대(Extended Sentence Structures)
1. 자동사 구문(Intransitive Verbs Construction)
2. 타동사 구문(Transitive Construction)
3. Time Away Construction
4. The Way Construction
5. Sound Emission Construction
6. Sluice-Stranding
7. Nominal Extraposition
8. Syntactic Amalgam
제3장 대명사(Pronouns)
3.1 대용(Anaphor) 관계와 인칭대명사(Personal Pronouns)
3.2 인칭대명사의 다양성
3.3 재귀 대명사(Reflexive Pronouns)
1. 비강조 기능(Nonemphatic Function)
2. 강조 기능(Emphatic Functions)
3.4 상호대명사(Reciprocal Pronouns)
3.5 소유대명사(Possessive Pronouns)
3.6 부정대명사(Indefinite Pronouns)
1. 부정대명사와 일치현상
3.7 지시대명사(Demonstrative Pronouns)
제4장 한정사(Determiners)
4.1 한정사와 순서
1. 유형
2. 명사구 내에서의 위치
4.2 한정사의 종류(Types of Determiners)
1. 수, 분수, 배수(Numbers, Fractions, Multipliers)
2. 지시 한정사(Demonstrative Determiners)
3. 양화사(Quantifiers)
4. 부분사(Partitives)
5. 소유격 한정사(Possessive Determiners)
제5장 관사(Article)
5.1 관사의 유형
5.2 관사 용법
1. 정관사(Definite Article)
2. 부정관사(Indefinite Article)
3. 무관사(Zero Article)
5.3 담화상의 한정사 선택
1. 정관사 선택 문맥
2. 문법적 정관사 선택
3. 숙어적 정관사
제6장 형용사와 부사(Adjectives and Adverbs)
6.1 형용사(Adjectives)
1. 형용사와 명사
2. 형용사와 동사
3. 정도 및 비정도 형용사(Gradable and Non-gradable Adjectives)
4. 형용사구의 구조
5. 한정적 또는 술어적 기능의 제약
6.2 부사(Adverbs)
1. 부사 유형
제7장 전치사(Prepositions)
7.1 전통적 분류에 따른 특징
7.2 전치사의 기능
1. 문법기능 전치사
2. 장소 및 시간 전치사
7.3 전치사의 전치 이동(Preposition Fronting)
7.4 전치사구의 구조
7.5 전치사구의 수식어
7.6 전치사의 생략(Deletion of Prepositions)
7.7 전치사의 의미
1. 의미 역할(Thematic Roles)
2. 문법기능 전치사의 의미
3. 공간 및 시간 전치사의 의미
4. 도구의 의미 역할
5. 동반 의미 역할(Comitative)
제8장 서법 조동사(Modal Verbs)
8.1 서법 조동사의 특징
8.2 서법 조동사의 유형
1. 형태에 따른 서법 조동사
2. 서법 조동사의 의미
8.3 능력, 허락, 가능성의 서법 조동사
1. CAN
2. COULD
3. MAY
4. MIGHT
8.4 충고(Advice) 및 필요성(Necessity)의 조동사
1. SHOULD
2. MUST
8.5 충고와 필요의 한계 서법 조동사와 준조동사
1. DARE
2. NEED
3. OUGHT TO
4. HAD BETTER and HAD BEST
5. HAVE GOT TO
6. BE SUPPOSED TO
8.6 미래 시간을 표현하는 서법 조동사
1. WILL
2. SHALL
3. WOULD
4. BE GOING TO
8.7 과거를 표현하는 서법 조동사
제9장 시제와 상(Tense and Aspect)
9.1 기본 개념: 시제와 상
1. 시제(단순상)
2. 상(Aspect)
3. 어휘적 상(Lexical Aspect)
9.2 영어의 시제 형태(Tense Form)
9.3 영어의 시제
1. 단순 현재 시제(Simple Present Tense)
2. 단순 과거 시제(Simple Past Tense)
3. 단순 미래 시제(Simple Future Tense)
4. 현재 진행형(Present Progressive Aspect)
5. 과거 진행형(Past Progressive Aspect)
6. 미래 진행형(Future Progressive Aspect)
7. 현재 완료형(Present Perfect Aspect)
8. 과거 완료형(Past Perfect Aspect)
9. 미래 완료형(Future Perfect Aspect)
10. 완료 및 진행상(Perfect and Progressive)
11. 단순상, 완료상, 어휘상의 결합
12. 시제와 상(aspect)의 비교 및 대조
제10장 다어 동사(Multiword Verbs)
10.1 구동사(Phrasal Verbs)
1. 타동사형 구동사(Transitive Phrasal Verbs)
2. 자동사형 구동사(Intransitive Phrasal Verbs)
10.2 전치사성 동사(Prepositional Verbs)
1. 구동사와 전치사 동사 구분법
2. 유사 전치사성 동사 구문
10.3 전치사성 구동사(Phrasal Prepositional Verbs)
10.4 자유 결합형 구동사(Free Combinations of Verb + Preposition)
10.5 불변화사에 나타난 상의(Aspectual) 의미
10.6 수여동사로서의 구동사
제11장 간접 목적어(Indirect Objects)
11.1 두 유형의 간접 목적어
1. 전치사 유형(Prepositional Pattern)
2. 여격 이동 유형(Dative Movement Pattern)
11.2 간접목적어의 의미적 특징
11.3 유형별 전용 동사
11.4 간접목적어 구문의 형태와 의미
11.5 담화상에서 간접 목적어
11.6 담화상에서 소유(Possession)의 의미
제12장 수동태(Passive Sentences)
12.1 수동태 문장 형성
1. 수동태의 주어
2. 두 가지 유형의 수동태
12.2 수동태 제약
1. 상태동사(Stative Verbs)
2. 다어 동사 제약(Multiword Verbs)
3. For 간접 목적어 동사(For Dative Verbs)
12.3 수동태 유사구문
12.4 Get 수동태(Get Passives)
1. Get 수동태의 특징
2. 유사 Get 수동태
12.5 기타 수동태 구문
제13장 부정문(Negation)
13.1 동사 부정(Verbal Negation)
1. 동사 부정 유형
2. 부정극어와 동사부정(Negative Polarity Items andVerbal Negation)
3. 비한정 동사 부정(Nonfinite Verbal Negation)
4. 부정어 상승(Negative Raising)
5. 다중 동사 부정문(Multiple Negation)
6. 부정의 범위(Scope of Negation)
13.2 동사외 구성소 부정(Nonverbal Negation)
1. 동사외 구성소 부정 표시자
2. 동사외 구성소 부정 표시자 not (As a Nonverbal Negator)
3. 부정과 도치(Negative Inversion)
4. 이중 부정어(Double Negatives)
13.3 의미 변화(Shift in Meaning)
제14장 명령문(Imperatives)
14.1 명령문의 형태
1. 기본 형태
2. 강조 명령문 형태
3. 명령문 대명사 형태
4. 호격 명령문(Vocative Imperatives)
5. I need you명령문
6. Let’s명령문
7. 부정 명령문(Negative Imperatives)
14.2 명령문의 의미
1. 지시 및 요구(Commands, Orders, and Demands)
2. 요청(Requests)
3. 충고 및 경고(Advice, Recommendations, Warnings)
4. 지시(Instructions and Expository Directives)
5. 초청(Invitations)
6. 허락(Permission)
7. 용인(Acceptance)
8. 소망(Wishes)
9. 조건절 의미 명령문
14.3 주어 실현 명령문
제15장 의문문(Questions)
15.1 예/아니오 의문문(Yes/No Questions)
1. 주어 조동사 도치
2. 부정형 예/아니오 의문문(Negative Yes/No Questions)
3. 축약형 예/아니오 의문문(Reduced Yes/No Questions)
15.2 부가 의문문(Tag Questions)
1. 반대극 부가 의문문(Opposite Polarity Tag Questions)
2. 동일극 부가 의문문(Same Polarity Tag Questions)
3. 감탄문의 형태를 한 부가 의문문
15.3 Wh-의문문(Wh-Questions)
1. Wh-의문문 형성
2. Wh-의문문의 유형
15.4 기타 유형의 의문문들
1. 선택 의문문(Alternative Questions)
2. 메아리 의문문(Eco Questions)
3. 감탄 의문문(Exclamatory Questions)
4. 수사 의문문(Rhetorical Questions)
5. 제시형 의문문(Display Questions)
제16장 허사(Expletives)
16.1 비지시형 IT
16.2 비지시형 THERE
1. 비지시 THERE의 일반적 특징
2. 주어-동사 일치 현상
3. THERE 구문의 구조와 의미적 특징
제17장 관계절(Relative Clauses)
17.1 형태와 기능
17.2 제한 관계절(Restrictive Relative Clauses)
1. 주어 관계절(Subject Relative Clauses)
2. 목적어 관계절(Object Relative Clauses)
3. 간접 목적어 관계절(Indirect Object Relative Clauses)
4. 전치사의 목적어 관계절(Object of the Preposition)
5. 소유 관계절(Possessive Relative Clauses)
6. 비교 목적어 관계절(Object of Comparison)
7. What 관계절
17.3 제한 관계절의 위치와 축약형
1. 외치 관계절(Extraposed Relative Clauses)
2. 중첩현상(Stacking)
3. 주어 관계 대명사의 생략(Omission of Nonsubject Relative Pronouns)
4. 주어 관계절의 축약(Reduction in Subject Relative Clauses)
5. 상태동사와 현재 분사형
17.4 기타 유형의 제한 관계절
1. 부정사 관계절(Infinitival Relative Clauses)
2. 부사 관계절(Adverbial Relative Clauses)
3. 자유 관계절(Free Relative Clauses)
17.5 비제한 관계절(Nonrestricitive Relative Clauses)
제18장 조건문(Conditional Sentences)
18.1 조건문의 형태
18.2 현실 조건문(Real Conditionals)
1. 총칭 조건문(Generic Conditionals)
2. 상용 조건문(Habitual Conditionals)
3. 추론 조건문(Inference Conditionals)
4. 미래 조건문(Future Conditionals)
18.3 비현실 조건문(Unreal Conditionals)
1. 가상 조건문(Hypothetical Conditionals)
2. 반사실적 조건문(Counterfactual Conditionals)
3. 다른 형태의 비현실 조건문
제19장 주어절(Subject Clauses)
19.1 주어절의 유형
1. 부정사절(Infinitive Clauses)
2. 동명사절(Gerund Clauses)
3. That-절
4. 의문사절(Interrogative Clauses)
19.2 담화상에서 주어절(Subject Clauses in Discourse)
19.3 주어절의 이동(Movement of Subject Clauses)
19.4 주어 및 목적어 상승 구문(Raising Sentences)
1. 주어상승 구문(Subject-to-Subject Raising)
2. 목적어 상승 구문(Object-to-Subject Raising)
3. 기타 유사 구문
제20장 보충어(Complements)
20.1 That 보충어
20.2 부정사 보충어(Infinitive Complements)
1. Persuade 동사 유형
2. Want 동사 종류
3. Believe 동사 유형
4. Make 동사 유형
5. 기타 유사구문
20.3 동명사 보충어(Gerund Complements)
20.4 동명사 및 부정사 보충어 취하는 동사
20.5 동명사와 원형 부정사 보충어절을 취하는 동사
제21장 부사절(Adverbial Subordinate Clauses)
21.1 종속접속사가 있는 부사절
1. 형태
2. 의미
21.2 태도의 절(Clauses of Manner)
21.3 원인절(Clauses of Cause)
21.4 목적절(Clauses of Purpose)
21.5 회피의 목적절 (Purpose Clauses of Avoidance)
21.6 이유의 절(Clauses of Reason)
21.7 결과절(Clauses of Result)
21.8 양보의 절(Clauses of Result)
21.9 자유 부가어(Free Adjuncts)
1. 형태
2. 의미
3. 용법
제22장 비교 구문(Comparisons)
22.1 비교 구문의 유형
1. 비동등 비교(Inequality Comparisons)
2. 동등 비교(Equality Comparisons)
22.2 형용사와 부사의 비교
22.3 비교급 문장의 형태
1. 비동등 비교문(Inequality Comparisons)
2. 동등 비교문(Equality Comparisons)
22.4 최상급 형태(Superlative Forms)
22.5 More와 More of 비교
22.6 양적 비교(Much and More)
제23장 등위 구문(Coordination)
23.1 단일어 등위접속사(Single-word Coordinators)
1. And
2. OR
3. NOR
4. But과 Yet
23.2 다어 등위접속사(Multiword Coordinators)
1. 부가(Addition)
2. 대안(Alternatives)
3. 대조(Contrast)
4. 양보(Concession)
23.3 등위접속사 관련 구문
1. 등위구조문 축소(Conjunction Reduction)
2. 동사구 생략(Verb Phrase Ellipsis)
3. 우분지 상승 구문
4. 공소 현상(Gapping)
23.4 추가 구문들
제24장 초점 구문(Focus Structures)
24.1 분열 문장(Cleft Sentences)
24.2 분열 문장의 용법
1. It-분열구문
2. Wh-분열구문
24.3 전치(Fronting) 구문
24.4 도치현상(Inversions)
1. 어휘적 도치현상(Lexical Inversions)
2. 스타일상 도치(Stylistic Inversions)
3. 정보 패키징 도치현상(Information Packing Inversions)
24.5 강화사 전치(Intensifier Fronting)
· 참고문헌
· 추천해답
· 찾아보기
책속에서
[머리말]
인간은 누구나 모국어를 자연스럽게 습득하지만, 제2 외국어를 모국어처럼 사용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특히 영어는 한국어와 달리 언어적 속성에서 확연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영어를 학습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최근 영어 교육이나 학습 현장에서 강조되는 것은 대화 중심 학습법이지만, 영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배우려면 기본적 문법 지식 없이는 사상누각에 불과하다.
본서에는 올바른 영어사용자가 되는 데 필요한 영어문법을 담고 있다. 본서에서 제시한 영어문법지식은 영미권의 학교영어 교육에서도 강조하는 문법지식이라는 점에서,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 학생들에게 필수 문법지식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서는 토플, 토익 등 각종 영어관련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이나 영어교사를 꿈꾸는 임용고시 준비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학교영문법을 공부하는 영어전공자들에게도 영어의 규범문법을 다지는데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제3장 대명사(Pronouns)
제3장/대명사(Pronouns)|
이 장에서는 영어 대명사의 형태와 역할을 논의한다. 특히 대명사의 문법적 역할과 공지시(correferential)하는 선행사(antecedent)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대명사의 문법적 속성을 살펴본다.
3.1 대용(Anaphor) 관계와 인칭대명사(Personal Pronouns)
대명사라는 용어는 명사구나 절을 대신하는 문법 요소를 가리킨다. 대명사가 대신하는 요소를 그 대명사의 선행사(antecedent)라고 한다. (1a)에서 his mother는 she로 대체되었다. 이때 대명사 she와 그 선행사 his mother의 연계성을 대용(anaphora) 관계라고 한다.
(1) a. Alan told his mother he wanted to leave school but she didn’t approve of it.
b. He tossed his briefcase onto the desk before he opened it.
c. Because they discovered that they really didn’t like them, the boys decided not to order pancakes for breakfast anymore.
영어의 대명사는 (1a)-(1b)처럼 보통 선행사 다음에 나타난다. 이것을 선행대용(forward anaphora) 관계라 한다. 반면, 대명사가 (1c)처럼 선행사를 앞서 나타나는 경우도 가능하다. 앞 문장에 있는 대명사 they의 선행사는 각각 뒤에 있는 명사구 the boys와 pancakes가 된다. 이런 경우를 후행대용(backward anaphora) 관계라 한다. 이 두 가지 용법 중, 주로 선행 대용어가 사용된다.
3.2 인칭대명사의 다양성
영어 주격(nominative) 대명사와 목적격(accusative) 혹은 대격(accusative) 대명사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된다. 전통적 영문법에서는 be동사 다음 위치에 존재하는 대명사는 반드시 주격 대명사가 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 그런데 실제 언어 표현에서는 (2b)와 (2d)의 목적격 대명사 형태가 흔하게 발견된다.
(2) a. Who’s there? It’s I.
b. Who’s there? It’s me.
c. Which one is the popular singer? That is she over there.
d. Which one is the popular singer? That’s her over there.
두 번째로, (3)-(4)에서 보듯이 비교 구문에서도 동일하게 두 가지 대명사 형태가 허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모국어 화자들은 목적격 대명사 사용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than이라는 표현을 ‘전치사’로 간주하는 경우에 목적격 대명사를 사용하고, than이 접속사로 사용되는 경우 주격이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3) a. He is a lot taller than I am.
b. He is a lot taller than I.
c. He is a lot taller than me.
(4) a. He’s less sophisticated than she is.
b. He’s less sophisticated than her.
c. They were better equipped than she was.
d. They were better equipped than her.
이와 더불어 가끔은 비교를 나타내는 단어 다음에 (5)처럼 재귀 대명사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런 재귀 대명사를 사용하는 경우는 (3)-(4)처럼 주격과 목적격 가운데 어느 것을 선택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피하고자 하는 화자들의 전략일 수 있다.
(5) a. Selby was about ten years older than himself.
b. She was slightly taller than himself.
다음은 두 개의 대명사가 접속사 and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모국어 화자들은 (6)-(7)처럼 다양한 대명사 형태를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6a), (6d), (6e)의 경우는 전치사 다음에 대명사들을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전치사이기 때문에 주격을 피하려는 경향을 볼 수 있다. (6b)와 (6c)는 be동사 다음에 위치하기 때문에 두 가지 경우가 다 허용될 수 있다.
(6) a. *The difference between him and I became clear when I spoke to him.
b. It’ll just be you and I.
c. It’ll just be you and me.
d. *Every loan made by a bank is guaranteed by you and I.
e. Every loan made by a bank is guaranteed by you and myself.
다음 (7)의 경우는 구어체에서 종종 발견되는 대명사 실현 양상인데, 이 경우 연결된 두 대명사 전후에 약간의 휴지(pause)상태가 가능하면, 두 가지 대명사 형태가 모두 허용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7) a. *I’m just saying him and I are not together.
b. *Me and daddy are good friends.
c. You and me, we aren’t like your ma.
d. Me and my friend Bobbie, we are pretty much constant companions.
e. We came in here in ’85, my wife and myself.
3.3 재귀 대명사(Reflexive Pronouns)
한 문장 내에서 영어 재귀 대명사의 역할은 강조와 비강조 기능으로 양분해 볼 수 있다.
1. 비강조 기능(Nonemphatic Function)
비강조 기능은 두 가지 역할이 있는데, 하나는 재귀 대명사가 재귀 동사(reflexive verbs)의 한 부분으로 나타나는 어휘요소로서의(lexical element) 역할, 다른 하나는 선행하는 명사구를 지시하는 대용적(anaphoric) 역할이 있다.
몇몇 동사들은 재귀 대명사만을 목적어로 취하는데, 이러한 동사들을 재귀동사(reflexive verb)라 한다(예: pride oneself, commit oneself, apply oneself, acquit oneself ). 이 동사들은 특정한 전치사와 결합하는 특징이 있다. (8a)에서 재귀동사 pride는 전치사 on과만 결합한다.
(8) a. Christopher can pride himself on having added to his heritage.
b. Christopher shaved himself with a plastic razor.
c. Christopher shaved with a plastic razor
어떤 재귀동사 가운데 adjust oneself, behave oneself, shave oneself, wash oneself와 같은 동사들은 (8b)와 (8c)처럼 재귀 대명사가 생략되어도 의미에 변화가 없는 구문을 형성하게 된다.
두 번째로, 재귀 대명사는 일반적으로 대명사가 지칭하는 개체가 앞선 문맥에서 이미 한번 언급되었기 때문에 사용된다. (9a)에서 선행사는 주어여서, 재귀 대명사 herself는 Alice를 지칭하는 반면, (9b)는 대명사 her가 Alice 이외의 사람을 언급하게 된다. 이것이 재귀 대명사에게 부여되는 제약으로, 재귀 대명사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선행사가 동일한 절 내부에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9) a. Alice became cross become cross 화나다, 불편하게 느끼다.
when she recognized herself in the reflection.
b. Alice became cross when she recognized her in the reflection.
이 재귀 대명사 제약에 따르면, (10a)의 herself는 Alice를 가리키게 된다. 반면 (10b)의 herself는 선행사로 두 명(Mary, or Cathy)이 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두 가지 의미 해석을 가져온다. (11)의 문장도 재귀 대명사 himself의 선행사는 Tom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동일한 절 내에 존재하는 선행사는 Tom 만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10) a. Alice told John all about herself.
b. Mary told Cathy all about herself.
(11) a. Bill knew that Alex thought that Tom was fond of himself.
b. Bill knew [that Alex thought [that Tom was fond of himself]].
일반적으로 재귀 대명사는 (12a)처럼 as, like, but, besides, other than과 같은 표현 다음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12) a. He is sentimental like you/yourself.
b. It might be wise to have your son or daughter report to someone other than you/yourself.
대명사가 접속사 and로 연결된 (13)의 경우, 재귀 대명사를 선택하기도 하는데, 이때는 주격 또는 목적격 대명사 선택을 피하기 위한 언어적 전략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어떤 화자들은 (14b)의 주격을 사용해야 할지 (14a)의 목적격을 사용해야 할지 자신이 없어, (14c)의 재귀 대명사 형태를 사용하기도 한다.
(13) a. There was barely enough room in the cabin for her and me/myself.
b. Please respond to Sue and me/myself by e-mail.
(14) a. Every loan made by a bank is guaranteed by Mr. Kim and me.
b. *Every loan made by a bank is guaranteed by Mr. Kim and I.
c. Every loan made by a bank is guaranteed by Mr. Kim and myself.
2. 강조 기능(Emphatic Functions)
강조적 기능으로, 재귀 대명사는 동사와 관련된 어떤 자리에 나타나기 보다는 단지 명사를 보충하게 된다. 이 기능의 재귀 대명사는 (15)처럼 문장 내에서 여러 가지 위치에 자유롭게 나타날 수 있다.
(15) a. He had suffered in the presence of the giants.
b. He himself had suffered in the presence of the giants.
c. Himself, he had suffered in the presence of the giants.
d. He had suffered in the presence of the giants himself.
3.4 상호대명사(Reciprocal Pronouns)
영어의 상호대명사는 each other, one another가 있다. 상호대명사는 둘 이상의 개체가 한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묘사한다는 점에서 재귀 대명사와 다르다. (16)의 두 문장은 의미가 다르다. (16b)는 Alice가 Joan을, Joan이 Alice를 존중한다는 의미가 전해진다. 예문 (16)-(19)의 재귀대명사와 상호대명사는 네 가지 다른 유형의 문장에서도 동일한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16) a. Alice and Joan respected themselves.
b. Alice and Joan respected each other.
(17) a. Alice and Joan’s thought of themselves.
b. Alice and Joan’s thought of each other.
(18) a. Alice and Joan heard that there were some pictures of themselves.
b. Alice and Joan heard that there were some pictures of each other.
(19) a. Alice and Joan believed themselves to be quite honest.
b. Alice and Joan believed each other to be quite honest.
반면, 예문 (20)-(22)는 상호대명사와 재귀대명사가 차이를 보이는 문장의 위치을 보여준다. 명사구의 소유격 자리에는 상호대명사만이 존재할 수 있고, 종속절의 주어 위치 또한 상호대명사만이 자연스러운 문장을 형성한다.
(20) a. Harvey and Julia like each other’s parents.
b. *Harvey likes himself’s parents.
(21) a. Harvey and Julia like the pictures of each other’s parents.
b. *Harvey likes the pictures of himself’s parents.
(22) a. The students knew if each other had the answers.
b. *The student knew if himself had the answer.
3.5 소유대명사(Possessive Pronouns)
소유대명사는 ‘관사 + 명사 + of’ 소유 구문에 사용되어, 화자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어떤 것이나 어떤 사람을 지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맨 앞에 위치하는 관사로는 (23)처럼, 부정관사, 무관사, 지시관사, 양화사가 올 수 있지만, 정관사는 올 수 없는 제약이 있다.
(23) a. He held his hand out and shook hers.
b. A few years ago, I visited this friend of mine in the hospital.
c. In 1988, as a congratulatory offer, some friends of mine congratulated me for having my first son.
d. *He introduced me to the friend of his.
이 구문은 또 다른 유사 구문인 ‘소유 관사 + 명사’와 다른데, 그 차이는 후자가 더 불특정(more indefinite)하다는 점에 있다. (24a)에서 소유대명사 구문은 화자가 그 친구의 확인을 명시하지 않고 명시할 필요도 없다면 사용될 수 있는 구문이다. 반면 (24b)에서 소유 관사 구문으로는 화자와 청자가 모두 의도하는 친구가 어떤 친구인지를 아는 상황이 된다.
(24) a. A student of mine came to the house yesterday, after you were here.
b. My student came to the house yesterday, after you wer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