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대학원 석사 및 박사(교육학 박사)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Post Doc.
- Ohio State University Visiting Scholar
-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최고위정책과정 이수
-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국가정책과정 이수
- 조계사 불교대학 이수 중
- 전공: 교육학 전반, 교육정책, 교육행정, 기관평가 등
[경력]
- 대구에서 중등학교 교사 10년 경력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전임연구원
- 동국대학교 겸임교수
- 서울대, 고려대, 한양대, 동국대, 서울교대 대학원 석박사 과정 강사
- 경북대, 대구대, 대구한의대, 부경대 학부 및 대학원 강사
- 현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한양대학교 강사
- 한국교육개발원 사교육없는학교지원특임센터 소장, 사교육절감지원센터 소장, 창의경영학교지원특임센터 소장 역임
- 국회: 행복추진특별위원회 위원,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자문위원,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자문위원, 서민 등록금 및 사교육대책특별위원회 위원
- 국무총리실: 공교육 강화 및 사교육 대책 민관협의회 실무 TF 위원
- 교육부: 교육부 자체평가위원회 위원, 시도교육청평가위원회 위원, 교육대학교·교대교육대학원 평가위원회 위원, 일반대학 교직과정 평가위원회 위원, 국가교육과정개정 재량활동분과위원, 대학수학능력평가 개선 자문위원, 학교평가위원회 위원, 교원평가 컨설팅 팀장
- 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 영재교육기관 시범평가 평가위원·학교평가 자문위원회 위원·전문직 선발위원회 위원·영동중학교 교원평가관리위원회 전문가 위원, 경남교육청 학교평가위원회 위원, 대구광역시교육청 지역교육청 평가위원회 위원
- 대학: 건국대학교 단과대학 경쟁력평가 평가위원, 인하대학교 인하교육 편집위원,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 편집위원
- 학회: 한국교육행정학회 감사, 홍보규정분과위원회 부위원장, 학회장선거 관리위원회 위원 겸 간사, 윤리위원회·홍보위원회 위원, 한국학부모학회 이사
- 민간: 행복교육행복사회연구회 및 포럼 회장, (사) 행복한 고전읽기 교육위원장, 대한불교조계종 중앙신도회 부대변인
- 시인:2015년 3월 ≪백두산문학≫ 신인문학상 수상으로 등단
[저서]
- 학교경영론 (공저)
- 신교육행정 및 경영 (공저)
- 지식의 사회 문화의 시대 (공저)
- 학교단위책임경영 이론과 실제 (공역)
- 기타 논문 다수
[수상]
-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상(표창장, 사교육없는학교 사업 운영 공로상)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상(우수연구자상, 지방교육자치 내실화를 위한 시도교육청 평가 모형 개발 연구)
- 한국교육학회장상(박사학위 우수논문상, 학교평가의 메타평가 준거 개발)
- 대구교육청 교육감상(유공교원 표창장)
- 대구교육청 교육감상(열린교육대회 우수상)
- 대구교육청 서부교육청장상(경시대회 학생 지도자상)
[주요 책임 연구 및 사업]
- 대구행복학교 운영 및 평가모형 개발 연구(2015)
- 대학 입시 정책 국제 비교 연구(2014)
- 고등학교 보통교과 성취평가의 대입 반영 방안 연구(2014)
- 강원도 학교자체평가 모형 개발 연구(2014)
-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정책 연구 : 국제 사례를 중심으로(2013)
- 학생평가 방법 개선 연구(2013)
- 초중등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2012)
- 창의경영학교 모형 개발 연구(2012)
- 창의경영학교 프로그램 개발 연구(2012)
- 사교육 진단 및 대책 : 원인, 문제 진단 및 종합 대책을 중심으로(2010)
- 사교육비 경감 정책의 진단 및 대책(2011)
-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학교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2011)
- 사교육없는학교 모형 개발 연구(2010)
- 학력향상중점학교 운영 성과 평가 분석 연구(2010)
- 기초학력 책임지도 책무성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 연구(2010)
- 대전 교육력 제고 정책 성과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2009)
- 지방교육자치 내실화를 위한 시도교육청 평가 모형 개발 연구(2008)
- 국정과제 및 정보공시 중심 2008년 시도교육청 평가 모형 및 지표 개발 연구(2008)
- 교원양성기관 평가 모형 개발 및 만족도 조사 연구(2007)
- 영문성적증명서 양식 개발 연구(2007)
- 경상남도교육청 학교평가의 메타평가 연구(2007)
- 대학평가의 메타평가 연구(2004)
- 학교평가의 메타평가 준거 개발(2002)
- 초중등학교 독서 활성화 지원 사업(2011-2012)
- 창의경영학교 지원 사업(2011-2012)
- 사교육없는학교 지원 사업(2010-2011)
[주요 공동 연구 및 사업]
- 인성교육 진흥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2015)
- 일반행정과 교육행정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및 발전 방안 연구(2015)
- 교원 중장기 수급 체계 구축 방안 연구(2014)
- OECD ESP 역량 역동성 종단 연구(Ⅰ) : OECD 측정도구 한국 타당화(2014)
- 정규직 시간선택제 교사제도 운영 방안 연구(2014)
- 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및 교육적 활용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2014)
- 교장연수기관 평가 연구(2013)
- 학교컨설팅 활성화를 위한 학교 조직 진단 도구 개발 연구(2013)
- 현 정부 핵심 교육정책 진단 및 대책(2011)
- 단위학교 재정지원 사업 효과 분석 연구(2011)
- 유아 사교육 실태 및 영향 분석 연구(2010)
- 사교육 없는 학교 운영 실태조사 및 성과 분석 연구(2010)
- KEDI Idea Bank 구축 방안 연구(2009)
- 2010 시․도교육청 평가 개선 방안 연구(2009)
- 대전 학교 자율화 정책 성과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2009)
- 양구군 교육발전 계획 수립 연구(2009)
- 대학 자체평가 방안 연구(2009)
- 서울 중구 교육 계획 수립 연구(2009)
- 지표로 본 인천 교육의 격차 연구(2009)
- 2008년 일반대학 교직과정 평가 연구(2008)
- 좋은학교 만들기 자원학교 성과 평가 연구(2008)
- 경남지역교육청 및 산하기관평가 진단 및 개선 방안(2008)
- 대학 특성화 평가 시범 적용 및 발전 방안 연구(2007)
- 2007년 일반대학 교육과 평가 연구(2007)
- 체육예술교과 평가 기술 방식 개선 연구(2007)
- 특성화중심 대학종합평가 편람 개발에 관한 연구(2007)
- 2006년 교육대학 및 교대교육대학원 평가 연구(2006)
- 2006년 교육대학교 평가 지표 개발 및 만족도 조사 연구(2006)
- 교원평가 시범학교 운영 결과 분석 연구(2006)
- 지역사회 연계 대안학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2006)
- 국가 수준의 대안학교 교육과정 운영 활성화 방안(2004)
- 영재교육기관 평가 모형 현장 적용 연구(2004)
- 영재교육기관 평가 편람 개발(2004)
- 대학교육에 대한 산업체 만족도 조사 및 조사결과 Feedback 체제화 방안 연구(2004)
- 대안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운영 방안 연구(2004)
- 대구시 고교 입학 전형 및 배정 방법 개선 연구(2003)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