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어 내포절의 통시 변화 양상

영어 내포절의 통시 변화 양상

박상수 (지은이)
한국문화사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9,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8,000원 -10% 1400원 23,800원 >

책 이미지

영어 내포절의 통시 변화 양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어 내포절의 통시 변화 양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68176838
· 쪽수 : 500쪽
· 출판일 : 2018-11-30

책 소개

모문의 어휘 동사와 외부 병합되는 내포절의 통사 형식이 OE, ME, ModE를 거쳐서 PDE 용법으로 재분석되거나 문법화 되어온 통시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것이다.

목차

저자 서문

제1부 / 영어 내포절의 통사 형식과 특성
제1장 영어 문장의 내부 통사 구조
1.1 어휘 동사와 논항의 통사 형식
1.2 주어절의 통사 형식과 내포절의 논리 주어
1.3 내포절의 유형과 통사 형식


제2장 영어 어휘 동사와 보충어
2.1 어휘 동사 부류에 따른 절유형
2.2 어휘 동사 속성에 따른 어휘상
2.3 어휘 동사 의미에 따른 결합가
2.4 어휘 동사가 선택하는 목적어의 유형

제3장 영어 내포절의 통시 변화 요인
3.1 경제성 원리
3.2 문법화 원리
3.3 재분석 원리
3.4 규범화 원리


제2부 / 영어 내포절의 통시 변화
제4장 that-절로 구조화 되는 통시 변화
4.1 보문소 þæt
4.2 보문소 þæt의 통시 변화
4.3 OE~ME에서 þæt>þat-절의 통사 구조
4.4 LModE~PDE에서 that-절의 통사 구조
4.5 보문소 that과 for의 상보적 분포

제5장 to-부정사절로 구조화 되는 통시 변화
5.1 전치사에서 to-부정사 표지로 문법화된 to
5.2 OE to-부정사절의 용법과 특성
5.3 EME to-부정사절의 용법과 특성
5.4 LME to-부정사절의 용법과 특성
5.5 ModE의 ‘for+DP+to-VP’ 구조

제6장 원형 부정사절로 구조화 되는 통시 변화
6.1 원형 부정사의 기원과 용법 특성
6.2 OE 원형 부정사절의 용법과 특성
6.3 ME 원형 부정사절의 용법과 특성
6.4 PDE 원형 부정사절의 용법과 특성

제7장 동명사절로 구조화 되는 통시 변화
7.1 동명사의 기원과 문법 기능의 통시 변화
7.2 ME~EModE에서 동명사 구문의 재분석과 현실화
7.3 ModE의 동명사절
7.4 동명사절의 내재 통사-의미 속성

제8장 분사절로 구조화 되는 통시 변화
8.1 분사의 기원과 발달
8.2 진행상의 통시 변화
8.3 완료상의 통시 변화
8.4 수동 구문의 통시 변화
8.5 분사절과 독립 분사절의 통시 변화

제9장 소절로 구조화 되는 통시 변화
9.1 OE 소절의 특성과 용법
9.2 ME 소절의 특성과 용법
9.3 PDE 소절의 특성과 용법

제10장 형용사의 절보충어로 구조화 되는 통시 변화
10.1 서술 형용사 구문의 통사 구조
10.2 의무 법성 서술 형용사 구문의 통시 변화
10.3 PDE 서술 형용사와 통사 구조

▪ 참고 문헌
▪ 코퍼스 문헌 자료 출처
▪ 찾아보기/한(영)
▪ 찾아보기/영(한)

저자소개

박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를 졸업함 ● 경북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를 수료함 (문학박사) ● University of Texas, Austin에서 연구교수를 지냄 ● 부산외국어대학교 영어학부 교수로 영어통사론, 통시영어학, 영어사, 영어문법을 주로 연구하고 강의함 ● 부산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학장, 기획실장, 중앙도서관장, 기획조정처장, 총무처장, TESOL대학원장 겸 교육연수원장 등의 행정보직을 수행함 ● 한국언어과학회, 현대문법학회, 한국영미어문학회 회장을 역임함 ●교육부 교육과정 심의회 영어소위원회 심의위원으로 활동함 ●현재 부산외국어대학교 영어학부 명예교수임 주요 저서 ● 『영어 동사 용법의 이론과 실제』. 개정판 1쇄. 2015.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영어문법』. 개정판 2쇄. 2013. 서울: 경문사. ● 『영어문장과 표현연습』. 개정판. 2013.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실용영문법』. 개정판. 2012. 서울: 경문사. ● 『영어사: 영국사와 함께 읽기』. 2판 2쇄. 2009.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실용영어문법』. 2006. 서울: 경문사. ● 『영어사와 영국사』. 1999.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 『영어통사론』. 1994. 서울: 형설출판사. ● 『언어학개론』 (공저). 1993. 서울: 형설출판사. ● 『신영어학개론』 (공저). 1987. 서울: 학문사.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언어는 이 시대 언중 사회의 사유와 사상, 철학과 문화, 정치와 경제 등에 대한 모든 가치 양상을 총체적으로 반영하는 거울 영상일 뿐만 아니라, 공시 변화(synchronic change) 양상을 보여주는 반사경이다. 그러나 살아 있는 언어는 언제나 변한다. 그러므로 당대의 화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공시 언어(synchronic language)는 오랜 세월 동안 통시 변화(diachronic change)를 통하여 재분석(reanalysis)되거나 재구조화(restructuring)된 통시 언어(diachronic language)의 매개변인(parameter) 값이 고정된 것이다. 이와 같은 언어의 속성으로 볼 때, 영어 통사 구조의 통시 변화 역시 예외일 수 없다. 영어 통사 구조의 연속 변이(cline) 중에서도 모문(matrix clause)의 어휘 동사(lexical verb)나 서술 형용사(predicative adjective)의 보충어(complement)로 선택되는 내포절(embedded clause)의 통사 형식(syntactic form)이 통시 변화되는 과정에서 도출의 경제성(derivational economy)이나 표시의 간결성(representational simplicity)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되거나 재구조화 되어 왔다는 것은 자연스러우면서도 시사적인 현상이다. 따라서 영어 모문의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가 선택하는 내포절의 통사 형식 변천 양상을 시대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원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통시 영어학(diachronic English linguistics)의 연구 영역에서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통시 통사론(diachronic syntax)과 더불어 공시 통사론(synchronic syntax)의 발전에도 공헌할 것으로 확신한다.
영어 내포절의 통시 변화 양상(Aspects of Diachronic Changes in English Embedded Clauses)에 대한 저술 목적은 모문의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와 외부 병합(external Merge)되어 논항 구조(argument structure)를 형성하는 내포절의 통사 형식이 고대 영어(Old English: OE), 중세 영어(Middle English: ME), 근대 영어(Modern English: ModE)를 거쳐서 현대 영어(Present- Day English: PDE)인 당대 영어(contemporary English) 용법으로 재분석되거나 재구조화 되어온 통시 변화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원리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다. 특히 모문의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가 선택하는 보충어의 통사 형식은 모문의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가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내재 통사-의미 속성(inherent syntactic-semantic property) 정보에 따라 명사구 NP나 DP, 형용사구 AP, 전치사구 PP, 부사구 AdvP, 또는 that-절(that-clause), to-부정사절(to-infinitive clause), 원형 부정사절(bare infinitive clause), 동명사절(gerundive clause), 분사절(participial clause), 소절(small clause)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와 같은 내포 구조(embedded structure) 통사 형식의 선택과 관련하여 특기할 만한 사실은 that-절, to-부정사절, 원형 부정사절, 동명사절, 분사절, 소절과 같은 절보충어(clausal complement)가 모문의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의 통사-의미 특성에 따라 유기적 관련성과 연속 변이를 통하여 비교적 일정한 방향으로 통시 변화를 겪어왔다는 점이다. 다음 문장들의 보충어인 내포절의 통사 형식 변화가 그 전형적인 증거이다.

(1) a. [Hi [V weneð [DP ðæt]]]: [TP hit sie midheortnes] >
[Hi [V weneð [DP Ø][CP [C ðæt][TP hit sie midheortnes]]]]
b. [Hi [V weneð [CP [C ðæt][TP hit sie midheortnes]]]] (Pastoral Care 148.10 from Los 2005: 53)
‘They think that it is humanity.’
c. They think it to be humanity.
(2) a. Eallum bebead þæt hie weorðedenSUBJ mode (Idem 1219 from Visser 1972 Vol.II: 828)
‘All men commanded that they change (their) mind.’
b. All men commanded them to change (their) mind.
(3) a. Þa het he [CP þysne biscop beonINF gelæded to þære stowe] (cogregdC,GDPref_and_3_[C]: 11.194.2490 from Ringe & Taylor 2014: 485)
‘Then ordered he this bishop be led to the place.’
b. Then he ordered his bishop to be led to the place.
(4) a. Because he by that meanes would auoid to marry with Alice. (1599 Hakluyt Divers Voyages II,1.23 from OED 1989 Vol.I: 823)
b. Because he by that means would avoid marrying Alice.
(5) a. Who being a soldier from his infancy, its possible minded not such concerns. (FRYER-E3-P1,1,202.72 from Nakagawa 2011: 97)
b. He/Him/PRO being the best athlete, Mike expected to win the game. (Pires 2007: 196)
(6) a. He andwyrde; Nis na god þæt man nymePRES/SUBJ his bearnaGEN hlaf and awurpePRES/SUBJ hundumDAT (YCOE 990-1010 Ælfric Homilies II,867.16 from Van linden 2010:27)
‘He answered; it is not good that one take his children’s bread and throw dogs.’
b. Crist answeride and seyde ‘Hit is not good to take þe breed þat falluþ to children,and ?yuen hit to howndes,...’ (PCME? a1425 English Wycliffite Sermons (Add 40672) 401 from Van linden 2010:27)
‘Christ answered and said “It is not good to take the bread that belongs to children and give it to the dogs,...”’

(1a)와 같은 통사 구조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OE 이전에 후행 요소를 지시하던 지시사(demonstrative) ðæt>þat>that이 문법화(grammaticalization)를 거쳐 보문소(complementizer)인 ðæt>þat>that으로 문법 규칙화 되어 (1b)처럼 정형의 절보충어인 ðæt>þat>that-절을 선도하게 되었다. 이어서 OE의 ðæt>þat-절은 (1c)처럼 EME에서 비정형의 to-부정사절로 교체되는 통시 변화를 겪었다. (2a)와 같은 OE의 가정법(subjunctive mood) that-절도 LOE~EME에서 (2b)처럼 to-부정사절로 교체되는 통시 변화를 겪었다. (3a)와 같은 OE의 원형 부정사절도 (3b)처럼 ME에서 to-부정사절로 교체되는 통시 변화를 겪었다. (4a)와 같은 OE~EModE의 일부 to-부정사절은 (4b)처럼 LModE에서 동명사절로 재분석되거나 재구조화 되는 통시 변화를 겪었다. EModE까지 CP-TP 연산 체계(computational system)의 통사 구조이던 (5a)와 같은 독립 분사절(absolute participial clause)의 논리 주어는 (5b)처럼 LModE 이후로 동사성 동명사절(verbal gerundive clause)의 통사 구조에 유추/동화(analogy/assimilation)되어 동명사절과 동일한 형태의 통격(common Case)으로 문자화(spell-out) 되었다. 또한 동일한 통사 구조에서 서술 형용사가 OE에서는 (6a)처럼 that-절을 선택하여 외부 병합하지만, ME에서는 (6b)처럼 to-부정사절을 선택하여 외부 병합하는 통시 변화를 겪었다.
이처럼 영어 통사 구조의 연산 과정(computational process)에서 모문의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와 외부 병합되는 내포절은 통사 형식 결정 과정에서 통시 변화를 겪었다. 즉, 모문의 어휘 동사가 지니고 있는 내재 통사-의미 속성의 정보 특성에 따라 that-절, to-부정사절, 원형 부정사절, 동명사절, 현재 분사절(present participial clause), 소절과 같은 절보충어들이 서로 밀접한 통사-의미론적 상관관계를 유지하면서 내포 구조의 통사 형식 선택 과정에서 경제성과 간결성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통시 변화를 겪어온 것이다. 그러므로 영어 내포절의 통시 변화 양상에 대한 저술 목표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는 것이다.

1) 모문의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가 선택하는 내포절이 어떤 통사-의미론적 동인에 따라 문법 기능 변화를 거쳐 PDE와 같은 절보충어 유형으로 재분석되거나 재구조화 되는 경향성을 보이는가?
2) 내포절의 통시 변화 과정에서 that-절, to-부정사절, 원형 부정사절, 동명사절, 분사절, 소절과 같은 보충어절의 통사 형식 선택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내포 구조가 서로서로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가?
3) 모문의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와 외부 병합되는 내포절의 통사 형식 유형에 따른 통시 변화가 도출의 경제성과 표시의 간결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재분석되거나 재구조화 되어 왔다는 제안을 언어 기능(language faculty)에서 최적 언어 설계 가설을 전제하는 생성문법(Generative Grammar)의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원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인간이 사용하는 소리 말인 음성 언어(spoken language)나 글자 말인 문자 언어(written language)의 도출 단위인 절(clause)이나 문장(sentence)의 주어,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 보충어의 구성 성분 가운데서 특히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와 그 절보충어인 내포절은 매우 정교하고 다양한 의사소통 내용을 담는 통사 형식이고, 사회-심리적 요인을 매우 복잡하고 섬세하게 표현하는 문법 범주(grammatical category) 영역이다. 그런데 인간이 이룩한 문화의 발달과 문명의 발전을 통한 정신 능력과 사유 방식의 진화는 언어에 그대로 반영되어 함축적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당대 영어인 PDE에서 정확하고 치밀하며, 다양하고 미묘한 정보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방식의 한 가지로 사용되는 내포절의 선택에서 드러나는 통시 변화 양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원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연구일 뿐만 아니라, 대단히 중요한 영어 문법(English Grammar)의 기술 내용이 된다. 실제로 모문의 어휘 동사나 서술 형용사가 선택하는 내포절의 통시 변화 양상은 코퍼스(corpus)의 통시 자료 분석 결과와 공시 자료 분석 결과를 통해서 실증적이고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영어 내포절의 통시 변화 양상에 대한 저술 내용이 관련 학계 연구 분야의 발전에 미력이나마 기여하고, 한국의 영어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은 바람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영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사람들은 외국어로서 영어(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학습 환경에서 주로 학교 교육을 통하여 영어를 습득하고 있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가 처한 영어 교육 환경에서 음성 영어(spoken English)나 문자 영어(written English)를 잘하려면, 핵심 문장을 많이 외워 내재 언어화 하고, 두뇌 속에 들어 있는 어휘 동사나 술어 형용사, 동사구나 술어 형용사구인 ‘동사+보충어’나 ‘술어 형용사+보충어’의 구성 성분을 필요할 때마다 발성 기관을 통하여 바로바로 음성 언어로 발화하거나 문자 언어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중에서도 유창하고 정확한 영어 사용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영어 학습 내용의 한 가지 방법이 모문의 어휘 동사나 술어 형용사가 선택하는 내포절에 대한 학습과 연습이다. 왜냐하면, 인간이 사용하는 문장의 주어, 어휘 동사나 술어 형용사, 보충어의 구성 성분 가운데서 어휘 동사나 술어 형용사와 그 어휘 동사나 술어 형용사가 선택하는 보충어인 내포 구조가 가장 세밀하고 자세한 의사소통 내용을 담는 통사 형식이고, 사회-심리적 요인을 가장 정밀하고 다채롭게 표현하는 문법 범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구촌 시대(global era) 또는 정보-기술 중심 사회(information-technology centric society)의 생활 방식에 대한 시대 상황 인식과 사회 변화 추세를 반영하여 최근에 개정된 중등 영어 교육 과정에서는 우리 영어 교육의 목표를 유창성(fluency)과 더불어 정확성(accuracy)을 기르도록 새삼 강조하고 있다. 또한 대학의 영어영문학과, 영어과, 영어교육과 등에서도 의사소통 중심의 듣고 말하는 능력의 신장과 더불어 지식 정보화 시대의 사회생활에서 기본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읽고 쓰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용 영어 문법을 통하여 어휘 동사나 술어 형용사, 동사구나 술어 형용사구 용법의 교수-학습을 강조하고 있다. 음성 영어로 대화하거나 소통하고 문자 영어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지식을 교환할 때마다 한국인인 우리들은 어휘 동사나 술어 형용사가 어떤 형식의 보충어를 몇 개를 선택하느냐를 즉시적이고 무의식적으로 결정해야한다는 사실을 실제 영어 사용 환경에서 수없이 경험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영어 사용 능력을 갖추기 위해서 엄청난 노력과 시간을 투자한다. 이는 한국인들이 영어를 잘 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내재 통사-의미 속성을 지니고 있는 모문의 어휘 동사나 술어 형용사가 명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전치사구, that-절, to-부정사절, 동명사절, 원형 부정사절, 분사절, 소절과 같은 보충어를 선택할 때, 어떤 통사 형식의 내포 구조를 왜 선택하는지를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원리적으로 이해하여 실제 영어 사용 환경에서 유창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영어 학습자의 실질적인 영어 사용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영어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영어 교수-학습 내용은 어떤 어휘 동사나 술어 형용사가 어떤 유형의 보충어를 어떻게 선택하는가를 학습하고, 이해하고, 연습하여 내재 지식으로 체화하는 것이다. 인간의 사고방식을 거울 영상처럼 비춰주는 것이 언어라고 할 때, 가장 양극단에 자리하고 있는 한국어와 영어를 다 사용하려고 하는 한국어 모어 화자들이 목표 언어인 영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본 저술 내용이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9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