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홍루몽 정 문화 연구

홍루몽 정 문화 연구

최병규 (지은이)
한국문화사
3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9,000원 -0% 0원
1,950원
37,050원 >
35,100원 -10% 0원
0원
35,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9,000원 -10% 1950원 33,150원 >

책 이미지

홍루몽 정 문화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홍루몽 정 문화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세계문학론 > 중국문학론
· ISBN : 9788968177262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19-02-01

책 소개

중국고전소설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홍루몽>의 정(情) 문화에 관한 연구이다. 홍루몽에서 말하는 정이란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남녀 간의 애정의 함의를 훨씬 뛰어넘어 인도주의적 위대한 정신을 포괄하고 있는데, 본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목차

서문

제1장 「홍루몽」정 문화의 배경
제2장 「홍루몽」정 문화의 전승 관계
제3장 「홍루몽」정 문화의 내용
제4장 「홍루몽」정 문화의 특성
제5장 「홍루몽」정 문화의 현대적 의의와 가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최병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 중어과를 졸업하고, 대만국립사범대 중문연구소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95년 이래로 국립안동대학교(경국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로는 『홍루몽 情文化 연구』(2019), 『다시 쓰는 중국풍류문학사』(2018), 『중국고전문학 속의 情과 欲』(2015), 『벼루 - 벼루의 인문가치와 한국벼루의 수집과 연구』(2022) 외 다수가 있으며, 역서로는 『夢溪筆談』(2002), 『三言애욕소설선』(2016), 『三言』(2002), 『삼국연의와 欺瞞』(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홍루몽》 정 문화의 배경
제1절 중국고전문학과 정

(1) ‘정’의 함의

중국고전문학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가 바로 서정성이라면 ‘정’은 바로 중국고전문학의 핵심내용이 된다. 중국고전문학에서 말하는 정은 매우 유구한 역사와 풍부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 중국에서는 일찍이 시의 본질과 정의를 논함에 있어 ‘시언지(詩言志)’와 더불어 ‘시연정(詩緣情)’이란 말을 사용하였으며, 이로부터 정은 위진남북조시대 유협(劉?)을 비롯한 중국문학 비평가들의 주요 논의의 대상이 되었을 뿐 아니라 중국철학에 있어서도 정은 성(性), 심(心), 욕(欲) 등과 함께 선진시대 이후 철학 연구의 주요 명제가 되기도 하였다. 선진시대부터 등장한 정의 논의를 통해 필자는 중국문학에 나타난 정의 원초적 함의를 파악하고자 줄곧 노력해 왔으며, 이런 정의 함의가 시대를 거치는 동안 어떻게 수용되고 발전변화하게 되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테면 선진시대 유가와 도가 등의 문헌들을 통해 보면 당시 사람들은 정을 대개 ‘진실’이나 사람이 지닌 ‘순수한 본성’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많았지만 양한시대로 접어들면서 정은 이젠 욕(欲)과 점점 동등시되는 정욕이란 말로 변화하게 되면서 사람들이 경계하는 대상으로 변하게 된다. 그 후 이런 정의 함의와 수용은 위진남북조시대와 명청의 교체기에 이르면 정은 인간이 지닌 감성 중의 하나로 긍정적으로 수용되고 심지어 그 어떤 도덕적 가치보다 중시되기도 하였다.
그렇다면 정의 함의는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황조걸(黃兆杰, Wong Siu-kit)은 중국문학에 나타난 정을 13가지로 분류하여 정의를 내렸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지(志)’의 동의어로 쓰이는 의미이고, 둘째는 이성(理性)과 구별되는 보편적인 인류의 감정의 의미이고, 셋째는 사람을 불쾌하게 만드는 이기적인 감정으로 격정(激情)과 같은 것이고, 넷째는 색정을 위주로 한 감정을 의미하는 것이고, 다섯째는 천성(天性)과 무지(無知)와 같은 감정이며, 여섯째는 도덕적으로 구속하는 감정이며, 일곱째는 현실과 진리, 그리고 내재적 정신의 의미로 허위와 대립되는 의미이며, 여덟째는 상상(想像)의 진실로 순수한 사실과 대립되는 의미이며, 아홉째는 시의 형식이 아닌 시의 내용을 지칭하는 의미이며, 열 번째는 시의 개성과 특징을 말하며, 열한 번째는 풍경(風景) 이외의 시의 요소를 말하며, 열두 번째는 보통 성정(性情)으로 칭해지는 예술적 감수력(感受力)의 의미이며, 열세 번째는 정취(情趣)의 의미로 지적인 취미와 유사한 의미를 말한다. 이에 대해 미국 학자 마람 엡스타인(Maram Epstein)은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요약하였다.

첫째, 생리학적인 것으로 정감 자체를 가리킨다. 이는 주변의 환경에 대한 사람의 반응을 말하는 것으로 이를테면 우리가 보통 말하는 ‘감정’을 말하며, 간혹 남녀 간의 애정으로도 사용된다.
둘째, 정신적인 것으로 실존하는 내재적 정신을 말한다. 이는 언제나 적극적인 의미를 지니며, 외재적인 허위와 상대되는 의미이다.
셋째, 현상학적인 것으로 도덕상으로는 중성적이고 보편적이며, 정해진 리(理)와 대립되는, 이산(離散)적 독특한 현상을 말한다. 이를테면 중국어 구어체에서 사용되는 ‘사정(事情)’ 혹은 ‘정황(情況)’을 의미한다.
넷째, 미학적인 것으로 미감(美感), 성정(性情), 흥취(興趣) 등을 말한다. 이는 언제나 긍정적인 의미를 지니며 중국어 구어 속의 ‘정취(情趣)’에 해당한다.

그러나 사실 엡스타인의 정의 함의도 따지고 보면 결국 정감, 진실, 정황, 정취의 4가지 함의를 포함하고 있을 뿐으로 중국고전문학 속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의 함의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고 하기 에는 뭔가 아쉬운 점이 있다.
정의 함의를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철학적인 정의 함의와 문학적인 정의 함의를 구분해서 논의할 필요가 보인다. 우선 철학적으로 보면, 정이 처음 출현하는 선진시대 문헌들을 살펴보면 정의 함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물의 실정과 거기서 발전된 진실의 함의를 지니고 있었다. 이를테면 《논어》에서 말하는 정이나 《맹자》에서 말하는 정은 거의 모두 ‘실정’과 ‘진실’의 의미로, 선진시대의 정은 성과 확연한 구분이 없이 통용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이런 사실은 《장자》에서도 나타난다. 다시 말해 《장자》에 나타난 정의 기본적인 함의도 유가문헌 속의 함의와 같이 진실의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을 뿐 아니라, 나아가 차별이 없는 순박하고 진실한 본래의 정감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장자는 선진제자 가운데 순자보다 앞서 정을 희로애락의 감정의 의미로도 사용하였으며, 표면적인 희로애락의 정을 초월해 ‘성정(性情)의 정’으로 승화해야 함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9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