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소설론
· ISBN : 9788968200557
· 쪽수 : 343쪽
· 출판일 : 2022-04-29
책 소개
목차
1장 소설의 양식적 속성과 여로 구조
이야기와 여행 15
1. 욕망구조와 여행 16
2. 갈등구조와 여행 20
서사구조와 여로 25
1. 여로와 플롯 26
2. 플롯의 패턴과 여로 30
여로형 소설의 유형화 35
1. 여로형 소설의 요건 36
2. 여로형 소설의 유형 44
2장 고전 소설의 여로 구조
<금오신화>와 미정형 여로 구조 53
허균과 김만중의 장르 의식과 여로 구조 61
1. <홍길동전>의 여로 구조 62
2.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의 양가(兩價)적 여로 구조 68
<흥부전>의 내포적 여로 구조와 확장적 해석의 가능성 80
1. 해석적 지평의 확대를 위한 전제 84
2. 해석적 지평 확대를 위한 분석들 87
3. 종합하여 지평 열기 96
3장 근대 이후 소설의 여로 구조
<혈의 누>와 <무정>의 여로 구조와 사적 의미 101
1. 공간 이동의 새로운 기제‒‘기차’의 등장 104
2. 여로 구조의 기여‒우연성의 해소, 묘사와 회상 111
여로 구조의 ‘공간 탈출 의식’과 소설사 서술의 가능성 119
1. 소설사 서술과 여로 구조 119
2. ‘공간 탈출 의식’의 방법적 개념으로서의 가능성과 그 방향 126
한(恨)의 정서와 여로 구조의 상동성 154
1. ≪南道사람≫ 연작의 소설적 공간과 여로 구조 158
2. 소설적 공간의 정체성 166
공간과 역사의 만남으로서의 여로 구조 181
1. 역사적 개인들과 여로의 반복 181
2. 대립적 공간과 집단의 여로 189
공간의 확대와 여로 구조의 변화 – 해외여행 자유화 시대 205
1. 목적 달성 복귀형 : <하얀 배> 206
2. 목적 달성 중지형 : <바다와 나비> 213
3. 목적 미달 복귀형 : <하나코는 없다> 226
4. 목적 미달 중지형 : <밤이여, 나뉘어라> 236
소설가의 소설 쓰기와 여로 구조 248
1. 여로의 출발점 250
2. 여로의 과정 256
3. 여로의 귀결 267
4장 여로형 소설의 효용성
여로형 소설과 소설 읽기 교육 273
1. 문제적 장르의 내적 형식으로서의 여로 구조 278
2. 여로 구조의 사례와 읽기 방법 283
3. 여로 구조 읽기의 소설교육적 의미 290
여로 구조 읽기와 공간적 상상력 교육 292
1. 방법적 모색 298
2. 현대소설에 나타나는 공간적 상상력의 유형 301
3. 공간의 형태·기능론적 유형화 306
4. 공간적 상상력의 유형 도출 311
문학 치유의 전략으로서의 여로형 소설 읽기 316
1. 문제 해결의 전략으로서의 여로형 소설 읽기 317
2. 여로형 소설의 유목적적 독해 322
3. 치유과정으로서의 소설 읽기 333
참고문헌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