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88984776340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8-05-15
책 소개
목차
서문
❙이론과 방법❙
‘시점’ 개념에 대한 반성적 고찰
1. 문제제기
2. 소설 이론 개념의 교육 지식화의 양상 검토
3. 시점 이론의 정립 과정과 교육적 수용 양상
4. 하나의 제안
소설 이론 개념의 정착 과정 및 재설정 방안 연구
1. 문제제기
2. 소설 교육 관련 이론 개념에 대한 검토
3. 주요 이론 개념의 재설정 방안
이론 개입형 소설 수업의 설계와 운용
1. 문제제기
2. 수업의 초점
3. 제안94
❙내적 형식과 방법❙
암호화(暗號化)화된 기억과 해호화(解號化)로서의 문학교육
- 6․25 전쟁의 교육적 대상화
1. 문제제기
2. 전사(前史)로서의 국어과 교과서에 표상된 기억들의 양상
3. 해호화(解號化)를 위한 문학교육의 한 방향
소설읽기 전략으로서의 여로구조 읽기
1. 문제적 장르로서의 소설 읽기
2. 문제적 장르의 내적 형식으로서의 여로구조
3. 주요 작품의 여로구조의 양상과 분석 사례
4. 여로구조 읽기의 소설교육적 의미
문학치유의 서사적 장치로서의 병치
1. 문제제기
2. 최근 소설의 서사 주제들과 독자들의 ‘치유’형 수용
3. 치유의 서사적 장치로서의 병치
4. 확산의 가능성
소설의 여로구조와 치유 기제
1. 문제제기
2. 문제해결 장치로써의 여로구조
3. 여로구조의 유형별 읽기 사례
4. 치유과정으로서의 여로구조형 소설 읽기
❙텍스트와 방법❙
「소나기」의 초본(初本)과 문학교육
1. 「소나기」의 초본 발굴과 교육적 탐색
2. 「소나기」의 초본(「소녀(少女)」)과 파생본
3. 초본의 문학교육적 활용
비 동시대적 텍스트와 소설교육
1. 문제제기
2. 텍스트의 역사 파악하기
3. 독자들의 반응 고려하기
4. 텍스트에 주체적으로 접근하기
텍스트로서의 작가론과 읽기 전략
1. 문제제기–소설 읽기와 ‘작가의 부재’
2. 전사의 검토–작가 부재의 양상들
3. 읽기 전략으로서의 작가론의 방향성
❙활동의 방법❙
「메밀꽃 필 무렵」 수용 활동 돌아보기
1. 문제제기
2. 어떤 단원에 속해 있고, 어떻게 도입하고 이끌고 있는가?
3. 무엇을, 어떻게 분석하고 있는가?
매체 서사의 요소와 소설 읽기의 상호작용
1. 매체언어교육의 경향성
2. 문학 교육과 매체 관련 교육 내용 검토
3. 소설과 매체 서사의 원리적 상호작용의 사례들
4. 매체언어문화 환경과 소설교육의 방향성
비평 능력 신장을 위한 읽기와 쓰기
1. 이상적 독자에 대한 기대
2. 비평교육의 전사 검토
3. 문학 독서 교육의 방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