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전통 목조건축 유지관리 매뉴얼

전통 목조건축 유지관리 매뉴얼

정기영, 박연정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33,250원 -5% 0원
카드할인 10%
3,325원
29,925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전통 목조건축 유지관리 매뉴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전통 목조건축 유지관리 매뉴얼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사/건축일반
· ISBN : 9788968498442
· 쪽수 : 250쪽
· 출판일 : 2021-12-31

책 소개

구조해석 관점에서 전통목구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주요 구조부재와 힘의 흐름을 담당하는 주요부재에 대한 구성, 크기, 접합부 배열, 구조부재의 물성 및 부재력의 설명 등 건축물을 이루고 있는 요소들 전통 목조건축의 구조성능에 관한 정량적 조사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 결과물이다.

목차

머리말 / 5

CHAPTER 01. 용어의 정의 / 11

CHAPTER 02. 대한민국 국보 보물급 전통목조건축 236선 / 21
2.1 전통목조건축 시대, 지역, 용도, 규모 / 22
2.2 각 지역별 대표 목조건축 소개 / 23

CHAPTER 03. 전통 목구조 형태와 형식 / 73
3.1 목조건축 형식 / 74
3.2 목조건축 규모와 평면 / 82
3.3 Orthotropic view of 전통 목조건축 / 85

CHAPTER 04. 전통목조건축 시대별, 지역별, 용도별 유형 변화 / 93
4.1 시대별 목조건축 분포 / 94
4.2 지역별 목조건축 분포 / 96
4.3 용도와 형식에 따른 목조건축 / 96
4.4 시대, 지역, 용도, 형식에 따른 목조건축 변화 / 97

CHAPTER 05. 전통 목구조 부재의 종류 및 크기, 물성 / 103
5.1 구조부재와 부 구조부재 / 104
5.2 시대, 지역, 용도별 구조부재 크기 / 112
5.3 목조 구조용재 설계 및 강도 / 118
5.4 재료의 열화 및 강도 / 121
5.5. 도면/현장조사 / 125

CHAPTER 06. 전통 접합부 형식 / 127
6.1 전통 접합부 종류 / 128
6.2 보+보, 보+기둥, 기둥+기둥이음, 기둥이음 및 맞춤 강도와 강성 / 159
6.3 전통접합부 설계강도 / 169
6.4 기둥-보 맞춤과 기둥-도리방향, 벽체 회전 강성 / 180

CHAPTER 07. 하중과 하중의 분배(힘의 흐름) / 183
7.1 전통 목구조 하중 흐름 / 184
7.2 수직하중 / 188
7.3 집중하중 / 194
7.4 수평하중 / 197

CHAPTER 08. 구조 안전성 평가 / 209
8.1 전통 목구조 구조 안전성 철학 / 210
8.2 내진 분석방법 분류 및 사용제한, 절차별 분석방법과정 / 213
8.3 선형절차 / 214
8.4 비선형절차(Non-linear seismic analysis) / 219

CHAPTER 09. 전통목구조 구조 안전성 분석 예시 / 229

참고문헌 / 253

저자소개

박연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6년 ~ 현재 호남대학교 조교수 2010년 5월 Virginia Tech Curriculum and Instruction 박사 2002년 2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전공 석사
펼치기
정기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12년 3월 ~ 현재 전남대학교 임산공학과 교수 2008년 12월 버지니아 공대 박사 2005년 8월 루지애나 주립대학 석사
펼치기

책속에서

CHAPTER 01. 용어의 정의

전통 목구조 수리와 관련된 용어
“초창과 멀어질수록 원래 목조건축물 형태에서 다를 가능성이 큼”
ㆍ초창(初創): 최초로 목조건축을 건설하는 것을 말함
ㆍ중수(重修)(repaired): 대들보, 도리, 기둥, 추녀와 같이, 해체의 범위가 크고 교체되는 부재의 범위가 넓은 무거운 또는 중요한 수리를 말함
ㆍ중건(重建)(rebuilt): 건물 전체를 해체하여 재료의 교체가 있을 뿐 원래 형태를 유지하면서 다시 지은 것을 말함
ㆍ중축(重築), 증축(增築), 첨건(添建), 수축(修築): 기존 건물에 덧대어 추가 건물을 지어, 건물의 규모를 늘리는 것을 말함. 수리의 범위를 지나 확장하는 경우를 뜻함
ㆍ개수(改修), 수개(修改): renovation 건축물의 용도의 필요에 의해 수리하는 것을 말함(원형과 다를 수 있음)
ㆍ중창(重創), 재건(再建), 개작(改作)(reconstructed): 원래 목조건축물이 있는 자리에 다시 건물을 짓는 것을 말함(원형과 다를 수 있음)
ㆍ개건(改建): 새로 건축물을 짓는 것을 말함(원형과 다름)

ㆍ대웅전: 불교 절에서, 본존 불상을 모신 법당
ㆍ팔상전/영산전: 석가모니 일대기를 여덟시기로 나누어 팔상을 그린 그림과 존상을 봉안한 법당
ㆍ약사전: 약사여래를 모신 법당
ㆍ대웅보전: 부처를 모셔 두는 건물
ㆍ대적광전/비로전: 절의 법당 가운데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모시는 본당
ㆍ미륵전: 사찰에서 미래불인 미륵을 봉안하는 불교건축물
ㆍ대장전: 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만든 전각으로 장경각ㆍ판전ㆍ법보전이라고도 하는 불교 사찰에 있는 당우를 말함
ㆍ천불전: 천개의 불상을 모신 사찰 전각
ㆍ응진당: 부처님의 제자들을 모신 곳으로 응진이란 ‘존경받을 만하다’, ‘공양받을 만하다’라는 의미임
ㆍ조사당: 불교 종파의 조사 또는 사찰의 창건주를 기리기 위하여 건립한 건축물
ㆍ극락전/극락보전: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모신 법당
ㆍ관음전/원통전: 관세음보살을 모신 법당
향교
ㆍ대성전: 문묘 안에 공자의 위패를 모신 전각
ㆍ명륜당: 조선 시대 성균관 안에서 유학을 가르치던 곳
ㆍ동무: 조선 시대 문묘안 동쪽에 있던 행각
ㆍ서무: 조선시대 문묘안 대성전의 서쪽에 두었던 행각
서원
ㆍ강학당: 옛 유생들이 모여 경전을 가르치고 배우던 곳. 주로 서원의 일정한 공간에 세워졌음
ㆍ서원: 선비가 모여서 학문을 강론하고, 석학이나 충절로 죽은 사람을 제사 지내던 곳
ㆍ대장전: 절이나 서원에서 중요한 책을 보관하는 곳
ㆍ동무: 문묘에서 유현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대성전 앞 동쪽에 세운 건물
ㆍ서무: 문묘안 유현들을 배향하는 서쪽의 행각으로, 대성전의 서쪽 아래채 건물

ㆍ정자: 경치가 좋은 곳에 놀거나 쉬기 위하여 지은 집.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음
지붕부
ㆍ장연: 중도리에서 처마끝까지 내밀어 건 긴 서까래
ㆍ단연: 종도리에서 중도리 사이에 걸친 짧은 서까래
ㆍ적심: 마루나 서까래의 뒷목을 보강하기 위하여 큰 원목을 눌러 박은 것
ㆍ부연: 겹처마에서 서까래끝에 거는 짧고 방형단면인 서까래
ㆍ사래: 겹처마의 귀에서 추녀 끝에 잇대어 얹은 서까래
ㆍ추녀: 처마의 사면 모서리에 있는 크고 긴 서까래
ㆍ처마: 지붕의 밑 부분으로 서까래가 기둥 밖으로 나온 부분
ㆍ서까래: 마룻대에서 도리 또는 보에 걸쳐 지른 부재
ㆍ적토: 산화 철을 많이 함유하여 빛이 붉은 흙
ㆍ앙토: 서까래 위에 산자를 엮고 지붕을 이은 다음 밑에서 흙을 바르는 것 또는 그 흙
ㆍ대공: 대들보나 종보 위에서 그 위의 종도리를 받쳐주는 짧은 기둥
ㆍ충량: 건물 내부에서 한쪽은 측면 평주에 걸리고 다른 한쪽은 대들보에 걸리는 보
ㆍ처마내민길이: 처마가 나와있는 길이를 말함
ㆍ덧서까래: 지붕 물매를 만들기 위하여 기존 서까래 위에 덧걸친 서까래
ㆍ기와: 지붕을 이는 데에 쓰기 위하여 흙 혹은 시멘트를 굳혀서 만든 지붕자재
ㆍ숫기와: 속이 빈 원기둥을 세로로 반을 쪼갠 모양의 기와
ㆍ암기와: 지붕의 고랑이 되도록 젖혀 놓는 기와
ㆍ맛배지붕, 박공지붕: 건물의 측면에서도 지붕면이 용마루까지 올라가게 되어 측면에 삼각형 벽이 생기는 지붕
ㆍ팔작지붕: 지붕 위까지 박공이 달려 용마루 부분이 삼각형의 벽을 이루고 처마끝은 우진각지붕과 같음
ㆍ우진각지붕: 건물 사면에 지붕면이 있고 추녀마루가 용마루에서 만나게 되는 지붕 네 개의 추녀마루가 동마루에 몰려 붙은 지붕
ㆍ사모지붕: 용마루 없이 하나의 꼭짓점에서 지붕골이 만나는 형태로, 그 모양이 사각뿔과 같다고 하여 사모지붕이라 함
도리
ㆍ종도리: 용마루 바로 밑 최상위 중심에 있는 수평부재
ㆍ중도리: 처마도리에 평행하고 단연과 장연을 받치는 수평부재
ㆍ주심도리: 기둥 중심 상부 위치에서 서까래를 받치고 있는 부재
ㆍ외목도리, 출목도리: 기둥의 중심선 바깥으로 걸리는 도리 또는 공포의 포작을 받치기 위한 수평부재
ㆍ민도리: 도리와 장여만으로 구성된 도리로 공포가 없음
ㆍ3량가: 서까래를 받치는 수평부재가 세 줄일 때
ㆍ5량가: 지붕의 무게를 받는 도리가 다섯 개인 가구형식을 말함
ㆍ7량가: 지붕의 무게를 받는 도리가 일곱 개인 가구형식을 말함
ㆍ9량가: 지붕의 무게를 받는 도리가 아홉 개인 가구형식을 말함
ㆍ굴도리: 도리의 단면이 둥근 도리
ㆍ납도리: 도리의 단면이 사각형인 도리
공포부
ㆍ주심포: 기둥머리 위에 짜 놓은 공포
ㆍ다포: 기둥머리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에 짜 올린 공포
ㆍ익공: 목조건축 양식으로 창방과 직교하여 보방향으로 새 날개처럼 뾰족하게 생긴 공포를 말한다.
ㆍ소로: 장여나 살미ㆍ첨차ㆍ쇠서ㆍ익공 등 공포재의 밑에 받치는 됫박 모양의 네모진 나무
ㆍ화반: 초방 위에 장여를 받치기 위하여 끼우는 널조각
ㆍ주두: 기둥과 공포를 연결하는 부재
ㆍ첨자: 초제공, 이제공 따위의 가운데에 어긋나게 맞추어 짬
ㆍ살미: 공포에서 첨자와 가로지르는 부재
ㆍ초익공: 익공쇠서가 한 개로 짜여진 공포
ㆍ이익공: 기둥 중간에는 창방과 도리ㆍ장여 사이에 화반을 놓고 기둥머리에서는 두공과 창방에 교차되는 상하 두 개의 쇠서로 짜여진 공포
ㆍ두공: 기둥 위에 지붕을 받치며 차례로 짜 올린 구조
ㆍ3출목: 공포가 세 번 괴어 나와서 도리를 받친 것
ㆍ출목수: 첨차가 기둥 중심에서 나와 도리를 받친 공포의 부재
ㆍ헛첨자: 주심포계 공포재로서 기둥머리를 가로지르는 부재
ㆍ내출목: 공포에서 안쪽으로 내밀어진, 기둥의 중심에서 벗어나 도리를 받치는 나무토막
ㆍ외출목: 공포에서 바깥쪽으로 내밀어진, 기둥의 중심에서 벗어나 도리를 받치는 나무토막
ㆍ귀공포: 처마 끝에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귀주 위로 올린 공포

ㆍ종량: 대들보 위의 동자기둥 또는 고주에 얹히어 중도리와 마룻대를 받치는 보
ㆍ대량: 작은 들보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기둥과 기둥 사이에 건너지른 큰 보
ㆍ평방: 공포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 위 창방 위에 수평으로 올려놓은 넓적한 보
ㆍ창방: 다포계 건물에서 기둥머리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해주는 보
ㆍ개판: 서까래, 부연, 목반자 위에 까는 널빤지
ㆍ갈모산방: 추녀 곁의 도리 위에 서까래를 걸기 위하여 한쪽 머리는 두껍고 다른 한쪽 머리는 얇게 깎아서 붙이는 삼각형의 나뭇조각
ㆍ인방: 벽 내부 가로지르는 보
ㆍ중인방: 벽의 중간 높이에 가로지르는 보
ㆍ하인방: 벽의 아래쪽을 가로지른 보
기둥
ㆍ고주: 다른 기둥보다 높게 세운 기둥
ㆍ평주: 높이가 같은 기둥
ㆍ우주(귓기둥): 사면 모서리에 있는 기둥
ㆍ내진주: 건물안쪽에 위치한 기둥
ㆍ외진주: 건물 바깥쪽에 위치한 기둥
ㆍ활주: 지붕의 무게를 받치기 위해 첨부된 가는 외부 기둥
ㆍ동자주(화반동자주, 포동 동자주, 제형 동자주, 인자형 동자주): 종량을 받치기 위한 짧은 기둥

ㆍ화방벽: 방화와 수분에 대한 저항 성능을 높이 위해 돌이나 전벽돌 등을 쌓아 올린 벽
ㆍ벽: 건물의 구조부재로 외부차단과 지진이나 풍 하중에 대한 수평저항을 하기 위한 부재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