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창조적 도시문화경영과 장소 만들기

창조적 도시문화경영과 장소 만들기

(10가지 창조적 시선과 창조문화도시 광주 만들기)

이무용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창조적 도시문화경영과 장소 만들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창조적 도시문화경영과 장소 만들기 (10가지 창조적 시선과 창조문화도시 광주 만들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68498626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22-02-22

책 소개

문화로 도시를 경영하는 다양한 창조적 전략과 방안들을 정리한 ‘융합 학술서’, 저자가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고민하고 성찰한 15년간의 ‘연구 역사서’, 창조문화도시 경영과 장소 만들기 관련 연구 주제와 광주광역시 사례를 결합한 ‘이론・사례 종합서’다.

목차

지은이의 말 / 5

Ⅰ부. 도시문화를 경영하는 10가지 창조적 시선
시선 1. [장소] 장소 만들기를 위한 다섯 가지 차원 / 19
시선 2. [디자인] 문화적 상상력으로 디자인하는 창조문화도시 / 35
시선 3. [지역문화] 지역문화융성을 위한 정책 키워드와 프로젝트 / 61
시선 4. [마케팅] 지역발전의 문화적 패러다임, 장소마케팅 전략 / 83
시선 5. [브랜딩] 도시브랜딩, 핵심은 도시의 문화적 가치다 / 111
시선 6. [스토리] 스토리가 살아 숨 쉬는 지역 만들기 / 123
시선 7. [리더십] 도시문화 CEO의 창조적 문화정책 만들기 / 131
시선 8. [인력] 문화전문인력 양성 지원정책의 방향과 과제 / 155
시선 9. [관광] 창조관광, 관광 패러다임의 창조적 전환 / 165
시선10. [걷기] 치유와 포용의 걷고 싶은 도시 / 181

Ⅱ부. 창조문화도시 광주, 어떻게 만들 것인가
1장 오월 정신과 창조적 인권문화 중심 도시 / 191
1. 반 고흐, 키스 해링의 예술 철학과 만나는 창조적 인권도시 광주 / 192
2. 문화횡단을 통한 예술 치유의 메카 광주를 꿈꾸며 / 199
3. 광주의 오월길을 걷자 / 206
4. 오월 테마파크 도시 만들기 / 213
5. 5・18 공간의 문화전략 / 216
6. 오월의 피와 혼이 담긴 탯줄, 광천시민아파트를 살려 내자 / 233
2장 문화가치를 실현하는 도시브랜딩과 장소마케팅 / 249
1. 대한민국 문화도시 브랜드로서 아시아문화전당 문화경영 전략 / 250
2. 행복 창조도시 광주브랜드를 기대하며 / 266
3. 컬처버시아드 도전과 U대회 도시브랜딩 / 270
4. 월드뮤직 페스티벌을 통한 도시브랜딩 전략 / 276
5. 예술시장을 마켓 3.0 시대의 장소브랜드로 만들자 / 284
6. 빛엑스포 도시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하여 / 287
7. 장소마케팅 전략의 지역 믹스 유형 / 297
3장 창조 공간문화와 창조관광 / 313
1. 대보름에 생각해보는 컬처 브리지와 장소 만들기 / 314
2. 일상 관찰을 통한 창조공간 마스터플랜이 절실하다 / 319
3. 창조적 도시재생, 인문학적 상상력이 핵심이다 / 323
4. 소통, 융합, 창조의 공간문화 만들기 / 326
5. 창조관광의 빛을 밝히는 문화수도 광주의 장소 만들기 / 333
6. 미래를 내다보는 슬로 투어리즘을 위하여 / 347
4장 문화전문인력과 네트워커 양성 / 351
1. 문화로 욕망을 디자인하라 / 352
2. 소통의 핵심은 네트워커다 / 356
3. 장소마케팅 전략의 네트워커 유형 / 360
4. 문화 네트워커들이 일하는 창조적 광주문화재단을 기대하며 / 378
5. 아르코의 빛가람 혁신도시 이전을 활용하자 / 382

참고문헌 / 386
주석 / 392

저자소개

이무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거리축제 연구로 석사학위를,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문화정치론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음.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서 문화ㆍ관광ㆍ도시마케팅 정책을 담당하면서 문화월드컵 전략, 홍대지역ㆍ북촌ㆍ이태원ㆍ청계천 장소마케팅, 야간문화관광 프로그램, 서울형 축제, 서울문화재단 중장기 전략 등을 연구함. 현재는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면서 도시문화경영, 공간문화 디자인, 장소마케팅과 도시브랜딩, 장소가치 실현, 창조문화도시, 지역문화정책, 지역축제, 문화치유 등을 주제로 연구ㆍ교육하고 있음. 경기도 외곽에서 10년, 서울 변두리에서 30년, 광주에서 15년을 살면서 “아무도 가지 않은 길, 그러나 세상을 밝혀줄 길”을 찾아 개척자와 경계인의 삶을 추구함. 그 결과 학문적, 실천적 신개념들을 만들어 내기도 함(공간문화, 공간의 문화정치학, 호모나이트쿠스, 플레이스 브래케팅, 네트워커, 축제학, 창조관광, 인권문화창조 도시, 문화치유 등). 10대에는 세상을 살피는 문화예술, 2-30대에는 세상을 바꾸는 문화개혁, 40대에는 세상을 즐기는 문화경영, 50대에는 세상을 살리는 문화치유를 화두로 삼으며 살아옴. 평소 열정과 진정성, 겸손함을 지닌 사람을 좋아하고, 영혼이 자유로운 삶과 동물이 해방된 삶을 소망하며, 걷고 싶은 도시에서 살고자 노력하고 있음. 주요 경력 한국문화예술위원회(ARKO) 위원, 대통령직속 지역발전위원회 위원, 대통령소속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위원, 코리아둘레길 추진협의회 위원, 문화관광축제 평가위원, 광주비엔날레ㆍ제주비엔날레 협력큐레이터, 오월길 조성 총괄디렉터, 광주문화재단 문화예술ㆍ미디어아트 자문위원장,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장 등을 역임 주요 저서 《공간의 문화정치학》, 《지역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 장소마케팅 전략》, 《지역발전 정책론》(공저), 《공공브랜드의 전략적 관리》(공저), 《오월의 청년, 광주의 미래가 되다》(공저), 《공간과 비판사회이론》(공역서), 《도시문화와 세계체제》 (역서)
펼치기

책속에서

Ⅰ부. 도시문화를 경영하는 10가지 창조적 시선
시선 1. [장소] 장소 만들기를 위한 다섯 가지 차원
1) 화두: 왜 장소인가? 장소 만들기를 통한 문화의 소통
한국 사회에서 문화 담론이 본격적으로 등장한지 30년이 되어간다. 그 사이에 문화 논의의 핵심 영역은 ‘예술→산업→일상→장소’로 점차 확산되고 있다.
초기에는 각 분야별로 문화란 무엇인가 라는 문화적 의제 설정에 골몰하였다. 고급문화론 혹은 예술론에 갇혀 있는 사람들의 인식과 관심, 실천의 폭을 넓히는 것이 주목적이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크게 벗어나진 않았지만 초기에는 문화의 예술성이 강조되었다. 여기에서는 미학, 심미성, 수월성, 해득력(literacy)과 같은 단어들이 중요시된다.
다음에는 문화의 부가가치성이 중시되었다. 여기에서는 문화콘텐츠, 문화기술, 문화산업이 강조된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문화의 일상성이 강조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의 문화적 삶과 도시문화 환경, 생활문화 공간과 시설 등에 초점을 둔 문화도시 담론들이 부각되었다.
최근 들어서 급부상하고 있는 문화의 키워드는 창조성(creativity)과 장소성(place identity)이다. 그동안 분리되어 논의되었던 여러 영역들, 예를 들어, 예술, 산업, 복지, 여가, 관광, 공간디자인, 건축, 교통, 교육, 행정 등을 통융합하여 창조적인 영토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시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창조적 작업은 시간, 공간, 인간의 삼간(三間)이 교차하는 특정한 문화지리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 과정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장소감(sense of place)과 장소성이 생성된다. 이렇게 창조성과 장소성이 변증법적으로 관계 맺는 과정에서 절실하게 요청되는 키워드가 바로 혼종(hybrid)이고, 혼종을 가능케 하는 것이 소통이다.
소통에 대해서는 그동안 주로 인간과 인간의 관계, 즉 사회적 관계를 얘기해왔다. 이제는 인간과 자연의 소통, 자연과 자연의 소통, 영역과 영역의 소통, 인간과 자연과 기술과 영역의 소통을 모두 아우르는 통섭 언어가 되고 있다. 그래서 소통은 점점 장소적 언어로 변모하고 있다.
장소는 물리적 공간 환경과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활동, 사람과 환경 간의 오랜 상호작용의 결과물인 문화가 결합하여 형성된 총체적 삶터다. 그래서 장소는 다층적이고 저마다 고유한 역사와 정체성을 갖게 된다. 장소는 서로 다른 것들의 관계 속에서 중층적으로 형성되고, 인간 실존의 토대가 되는 체험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 역사적으로 구성된 사회문화적 가치도 내재하고 있다.
한마디로 장소는 문화적 실체고 문화는 장소적 실체다. 장소는 문화적 과정 속에서 형성되고, 문화는 장소적 과정 속에서 만들어진다. 장소와 문화는 서로 소통하는 것이다.
장소는 인간성과 정체성, 실천의 화두를 포괄하며 가로지른다. 그래서 문화지리학자 에드워드 렐프(Edward Relph)는 인간답게 사는 것은 의미 있는 장소로 가득한 세상에 사는 것이고, 자신이 관심을 쏟아 잘 아는 장소를 가지는 것이라고 말한다. 즐기기보다는 참아야 하고 무시해야 하는 환경에서 사는 것은 인간의 자격을 상실하는 것이라는 싱클레어 골디(Sinclair Gauldie)의 주장도 이와 맞닿아 있다. 이들 모두 인간다움을 장소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장소의 상실(placelessness, 無장소성 혹은 非장소성)은 곧 인간의 상실이자 문화의 상실이며 소통의 상실이다. 그래서 통융합, 통섭, 혼종의 세상이 될수록 장소는 중요해진다. 포스트모던 시대, 글로벌 시대에 공간은 소멸할지 모르지만 장소는 더욱 중요하게 부각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이제 소통의 화두는 장소성의 기획, 즉 장소 만들기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소 만들기를 위한 다섯 가지 차원을 ‘성찰→관점→독해→생성→전환’의 측면에서 고찰해보도록 하겠다.

2) 장소 만들기1 성찰: 공간문화지도 그리기
장소 만들기는 문화적 관점에서 공간을 기획하는 성찰적 관점과 방법론 개발을 중시하는 개념이다.
장소 만들기는 문화적 관점에서 일상생활 공간을, 공간적 관점에서 삶과 문화를 들여다보고 사유하며, 때론 즐기고 때론 부딪히며 장소를 만들어가는 것이다. 즉 일상생활과 관련을 맺는 다양한 공간에 대한 문화적 성찰을 통해, 삶의 숨결과 욕망, 혼이 담긴 풍요롭고 의미 있는 장소(삶터, 일터, 놀이터, 쉼터)를 창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화두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간문화에 대한 인식지도, 즉 공간문화지도(spatial culture map) 그리기가 필요하다.
공간문화지도는 공간에서 살아가고 있는 주체와 그 주체들의 일상, 그 일상 속에 스며있는 문화, 그 문화가 펼쳐지는 공간이 상호 연결된 매트릭스matrix로 구성된다. 그 공간에는 어떤 주체들(세대, 계층, 젠더, 종공간문화지도(Spatial Culture Map) 매트릭스족 등)이 활동하고 있고, 그들의 일상(거주, 노동, 소비, 교육, 여가, 커뮤니티, 교통 통신에 이르는 인간의 존재기본 기능)은 어떠하며, 그 일상의 각 영역 속에서 어떠한 문화적 욕망이 표현, 소통되고 있는지, 그러한 삶을 즐겁고 풍요롭게 혹은 힘들고 초라하게 만드는 공간적 요소는 무엇인지를 성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간문화지도를 바탕으로 예술, 교육, 산업, 관광, 공간, 복지, 행정 등 도시문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영역의 문화전략, 문화기획, 문화정책을 도출하고, 각 영역들이 서로 접속, 횡단하는 네트워킹과 하이브리드(hybrid)의 문화정치를 실현해야 한다.

3) 장소 만들기 2 관점: 공간의 문화정치학
공간의 문화정치학(cultural politics of space)은 공간의 생성, 변천, 소멸의 프로세스를 규명한다. 즉 공간을 둘러싼 물리적, 상징적, 문화적 권력 관계와 갈등(경합)의 과정을 주목한다. 이는 곧 공간의 의미체계(signifying system)에 대한 분석, 즉 공간을 통한 의미의 생성, 경합, 변천, 소멸 과정에 대한 포괄적, 맥락적, 상황적 연구라 할 수 있다.
공간의 문화정치학을 위한 분석틀로서 ‘공간-주체-권력’의 삼원 모형을 제시해 볼 수 있다. 물리적 공간과 그 공간을 이용하는 주체, 그 둘의 관계를 매개하는 다양한 권력(힘)의 문제가 결합된 문화 영역이 공간의 문화정치학의 연구 및 실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