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8970993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1-11-29
책 소개
목차
1부 인류 교육의 역사
chapter 1 인류 교육의 역사를 통해 얻은 교훈
“우리가 이전에 알았던 지식의 절반은 쓸모없다.”
오늘 여기서 어제의 교육을 바라보다
어제의 교실–우리는 무엇을 극복해야 했나
학벌주의가 아닌 능력주의로
환경의 지배, 본성의 역습
태생주의–타고난 능력을 개발하자
경험주의–학습 환경을 조성하자
chapter 2 국내외 교육의 역사와 가치
“역사에서 배우지 못하면 역사를 반복할 뿐이다.”
호모 에두카투스, 배움의 인간
세계 교육의 역사
우리나라 교육의 역사
학생의 발견–우리는 모두 학생이다
교사가 명심해야 할 학생의 가치
학생이 명심해야 할 학습의 가치
2부 대한민국 교육의 현실과 문제점
chapter 3 대한민국 교육 현장의 위기
“교사의 인권과 학생의 인권은 나란히 가야 한다.”
인성교육–교육은 가정에서 시작된다
교권 위기와 인성교육
교사 인권 vs 학생 인권
인성교육과 가정교육
선생의 탄생–교학상장과 청출어람
비계를 세워라–브루너의 발견 학습
선행조직자를 활용하라–오수벨의 유의미 학습
단계별로 제시하라–가네의 수업 단계
chapter 4 공교육 안정화와 사교육 최소화의 길
“이상과 현실이 교차하는 곳에 교육이 있다.”
공교육, 어디서부터 손을 댈 것인가
세계 공교육의 역사
우리나라 공교육의 역사와 문제점
사교육의 현실, 어떻게 할까
한국 사교육의 역사 : 사교육공화국, 대한민국의 민낯
공교육과 사교육이 함께 가는 길
3부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 방향
chapter 5 대한민국의 미래 교육 혁명
“미래 교육에 인문학을 주춧돌로 삼자.”
스템을 스팀으로,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4차 산업혁명 시대, 스템 교육의 필요성
스팀 교육으로 혁신하라
인문학으로 성공한 세계적인 CEO들
이제는 통섭의 교육으로
평생학습–민주시민교육과 고전교육
건전한 민주시민을 위한 평생학습 실천하기
고전에 투자해야
전인교육의 핵심–체육과 건강교육
chapter 6 대한민국 미래 교육의 청사진
“미래 교육은 이미 오늘 시작되었다.”
학교를 디지털화하자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시민의식
한국의 미래 교육 모델
빅데이터 기반의 교육 모델
스마트 클래스룸–사물인터넷 기반의 교육 모델
메타버스 교실 –인공지능 기반의 가상/증강현실 교육 모델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
저자소개
책속에서
예로부터 ‘교육은 집에서부터 시작된다.’는 말이 있다. 근대 이전까지만 해도 교육은 부모를 통해 얻었다. 에스키모인(이누이트)들의 사례를 보면, 아이들은 부모로부터 카누를 타고 고래나 바다표범을 잡기 위해 작살을 쓰고 그물을 깃는 법을 배웠다. 생존하기 위해 무엇을 알아야 하고 무엇을 조심해야 하는지 가르치는 것이 과거 교육의 전부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밥상머리 교육’이라 해서 자녀들에게 가장 기초적인 예의범절을 가르쳤다. 밥상머리 교육은 가정교육의 요체였고 지금도 역시 그러하다. 공적인 학교 체계가 자리를 잡기 이전까지 오랫동안 그것이 인간이 교육을 통해 만들어온 유일한 지식체계였으며, 세대를 거쳐 전수되어온 필수적인 문화 코드였다.
인성교육은 가정의 울타리를 넘어 공동체의 사회적 책임도 있다.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서 마을 전체가 필요하다는 말이 있다. 아이는 가정에서 태어나지만, 마을에서 완성된다는 의미일 것이다. 사회는 아이들의 교육과 양육에 공동 책임을 져야 한다. 교육은 단순히 가정에서 시작하여 학교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사회 구석구석에서 함께 이뤄지는 것이다. 사회에서 이뤄지는 교육이 진정한 교육일지 모른다. 학교는 이론을 가르치는 베이스캠프라면, 사회는 이를 실천하고 적용하는 놀이터이자 현장이기 때문이다. 이는 국가가 적절한 정책으로, 사회가 합당한 실천으로, 개인이 마땅한 적응으로 더불어 함께 이뤄가야 하는 총체적 배움의 장이어야 한다.
스템에 예술, 즉 인문학이 추가되어 스팀을 만드는 건 창의적인 사고와 응용 기술을 실제 상황에 접목시키는 것이다. 인문학은 단지 책상에 앉아서 연필을 끼적거리는 게 아니다. 인문학은 문제를 해결하고, 원칙을 통합하거나, 정보를 제시하는 기발한 방법을 발견하고 창조하는 것이다. 건축가를 상상해 보자. 그들은 공학과 수학, 기술, 과학적 지식을 토대로 인문학적 상상력을 사용하여 놀라운 건축물을 구현해낸다. 많은 사람들이 스템 교육에 고작 A를 하나 추가하는 게 무슨 큰 차이를 내겠느냐고 반문하겠지만, 스템이 스팀이 되는 것은 4차 산업학명 시대를 맞아 정말 커다란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스팀 교육은 불필요한 글자 A를 중간에 하나 끼워 넣는 게 아니다. 글자 A는 스템 교육을 떠받치고 완성하는 버팀목이자 대들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