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69072108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19-02-1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_ 4
들어가는 말 _ 10
제1장 힘 잃은 고요한 아침의 나라
1. 삶의 자리
1) 유관순 가(家)의 사람들 _ 16
2) 아우내와 지령리교회 _ 19
2. 침탈과 무능력의 시대
1) 마을로 간 침략 _ 29
2) 마을로 간 수탈 _ 41
3) 관청의 무능력과 의지할 곳 없는 사람들 _ 44
3. 힘 있는 종교
1) 의지할 곳 없는 사람들의 선택 _ 49
2) 감리교의 목천 선교 _ 51
3) 무기력한 민족과 힘 있는 종교 _ 62
4) 봉건계급 철폐와 주권재민의 세상 _ 68
제2장 저항을 통해 되찾은 신앙
1. 유빈기와 유윤기의 삶과 사상
1) 유관순 가의 지령리교회 설립 _ 77
2) 유성배와 기독교 민족주의 _ 79
3) 유윤기와 기독교 평등주의 _ 93
2. 유중권^이소제, 유중무와 1908년 부흥회
1) 유중권^이소제의 교육과 순국 _ 98
2) 유중무의 회심과 투옥 _ 111
3. 유관순의 생애
1) 어린 시절과 이화학당 _ 140
2) 1919년 4월 1일 아우내 _ 144
3) 형무소, 고통의 시간 _ 179
4) 장례, 잊어버린 존재 _ 186
4. 남겨진 사람들
1) 가슴 졸인 세월을 산 유예도 _ 191
2) 역사의 증인 노마리아와 유경석 _ 196
3) 독립운동가 유우석과 교육자 조화벽 _ 204
4) 유관순의 삶을 닮은 유제경 _ 212
나오는 말 _ 219
주 _ 221
책속에서
1919년 4월 1일 유관순 가(家)의 사람들은 천안군 갈전면 병천(竝川) 아우내와 공주읍 독립만세 시위를 주도하며, 감당하기 힘든 고통을 겪어야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