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금강경, 깨지지 않는 법

금강경, 깨지지 않는 법

성본 (지은이)
민족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200원 -10% 0원
1,400원
23,8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6개 11,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금강경, 깨지지 않는 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금강경, 깨지지 않는 법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0092218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4-10-10

책 소개

민족사 경전강의시리즈는 경전 강의 수업을 들으며 불편했던 독자님들의 고충을 풀어드리기 위해, 한 권으로 모든 것이 가능하도록 기획·제작되었다. ‘유명 스님들의 강의’를 직접 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전의 원문과 독음, 번역을 실었다.

목차

머리말
1. 법회인유분 법회가 열리게 된 인연
2. 선현기청분 수보리가 법문을 청하다
3. 대승정종분 대승불교의 근본 종지
4. 묘행무주분 집착 없는 보살의 보시행
5. 여리실견분 여래를 친견하는 일
6. 정신희유분 바른 신심을 갖는 사람은 드물다
7. 무득무설분 불법을 깨달아 얻은 법도 없고 설한 법도 없다
8. 의법출생분 깨달음은 경전의 법문에서 이루어진다
9. 일상무상분 깨달음의 고정된 실체는 없다
10. 장엄정토분 불국토의 장엄
11. 무위복승분 무위법의 수승한 복덕
12. 존중정교분 정법의 교시를 존중하다
13. 여법수지분 여법하게 경전의 법문을 수지하라
14. 이상적멸분 의식의 대상을 여읜 열반의 경지
15. 지경공덕분 금강경을 수지 독송하는 공덕
16. 능정업장분 업장을 청정하게 하는 공덕
17. 구경무아분 궁극적으로 자아는 없다
18. 일체동관분 진여 본체에서 똑같이 관찰함
19. 법계통화분 법계를 두루 교화함
20. 이색이상분 형상을 여읜 여래
21. 비설소설분 여래가 주장한 법문은 없다
22. 무법가득분 깨달아 얻은 법은 없다
23. 정심행선분 청정심으로 선행을 실천함
24. 복지무비분 복과 지혜는 비교할 수 없다
25. 화무소화분 교화의 대상도 없다
26. 법신비상분 법신은 모습이 아니다
27. 무단무멸분 편견과 고정관념에 떨어지지 마라
28. 불수불탐분 보시행의 복덕을 수용하지 않는다
29. 위의적정분 법신은 오고감이 없다
30. 일합이상분 진실된 실상은 일체이다
31. 지견불생분 중생심으로 분별심을 일으키지 마라
32. 응화비진분 변화하는 것은 법신이 아니다
금강경과 참선수행

저자소개

성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0년 경남 거창 출신으로 속리산 법주사에서 출가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을 졸업했으며, 일본 아이치 가쿠인(愛知學院)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이후 도쿄(東京)의 코마자와(駒澤)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충남대학교 철학과와 중앙승가대학교에서 강사를 지냈으며, 동국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한국선문화연구원 원장으로 선어록을 강의 중이다. 한국선문화연구원(zenmaster.co.kr)의 문을 두드리면 『종용록강설』을 비롯하여 『임제록』, 『육조단경』, 『대승기신론』등 많은 강의 동영상을 볼 수 있다. 저서로는 『중국선종의 성립사 연구』(민족사, 1991), 『선의 역사와 사상』, 『선과 다도』, 『선불교란 무엇인가』, 『선종의 전등설 연구』, 『참선수행』, 『선불교의 이해』, 『간화선의 이론과 실제』, 『좌선으로의 초대』, 『선시의 세계』 등이 있고, 역주서로는 『돈황본 육조단경』, 『대승기신론 역주』(전2권), 『종용록 강설』(전8권), 『금강경 강설』, 『벽암록』, 『임제록』, 『무문관』, 『반야심경』 등이 있다.
펼치기
성본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불교는 자아의 실체라고 주장하는 영혼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무아(無我)를 제시하고 있다. 불교의 핵심 사상인 삼법인(三法印)에서 처음으로 주장하는 일체의 모든 존재는 자아의 실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제법무아(諸法無我)이다.
대승불교에서는 유심의 철학사상을 토대로 자아의 존재를 부정하는 아공(我空)과 의식의 대상경계도 실체가 없다는 법공(法空)을 제시하며, 일체의 모든 법은 공(一切皆空)하며, 독자적인 실체의 본성은 없다고 무자성(無自性), 무실체(無實體)라고 주장한다.
『금강경』의 법문은 공사상의 실천으로 금강과 같은 반야의 지혜를 깨달아 체득하도록 공의 실천을 강조하는 법문으로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라는 자아의식의 관념을 텅 비우도록 설한 것이다.


최상제일희유지법(最上第一希有之法)
『금강경』의 법문은 많은 법문 가운데 최상, 제일이며, 이러한 법문을 듣는 일은 지극히 희유한 일이라고 강조한다. 반야경전 가운데 『금강경』은 초기에 성립되었으며, 선남자 선여인들에게 소승법이 설해지고 있는 시대에 처음 대승의 법문을 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15분에 『금강경』의 법문은 불가사의, 무량의 공덕이 있으며 대승의 발심자(大乘者)와 최상승의 발심자(最上乘者)들에게 설법한다고 했다. 큰 원력의 발심을 하지 않고 작은 가르침에 만족하는 소승의 수행자들은 이 『금강경』의 법문을 수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희유한 법문이라고 한다. 희유한 법이란 21분에서 설하는 무법(無法, 空)의 법을 설하는 법문(無法可說)으로, 일체의 대상경계를 초월하고 반야의 지혜를 구족하여 열반 해탈을 이루는 『금강경』의 법문이다.


무소득 무소유 무소구(無所得 無所有 無所求)
중생심의 자아의식과 의식의 대상경계인 번뇌 망념이 텅 빈 진여 본성의 경지이다.
법을 깨달아 체득한 득법(得法)과 제자에게 불법을 전했다고 하는 전법(傳法)의 의미도 불법사상에 의거하여 정확하게 이해하고 파악해야 한다. 얻을 법이나 전할 법이 있다면 유상(有相)의 종교가 되며, 결국 집착의 대상경계를 만들기 때문에 외도의 가르침이 된다. 무소득, 무소유, 무소구의 경지에서 진여 본성의 지혜가 여법하게 생명활동하는 진여법을 깨달아 체득한 경지가 득법이며, 그러한 사실을 스승과 제자가 확인하고 확신하게 된 사실이 전법인 것이다.
선에서도 ‘마음 밖에서 도를 구하는 자를 외도(心外求法者 外道)’라고 하면서 마음 밖에서 도를 구하지 말라고 주의 주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