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티베트 불교 > 티베트 불교 일반
· ISBN : 9788970136721
· 쪽수 : 243쪽
· 출판일 : 2008-01-1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숨 막히는 해부극
2.무너져가는 라마 왕국
제1장 티베트 영혼 공동체의 상징 - 천장
1.척박한 환경에서 피어난 문화
2.티베트 민족의 장례 문화
(1)화장
(2)토장
(3)탑장
(4)수장
(5)천장
3.티베트인의 생사관
제2장 천장의 기원
1.천장의 신화와 전설
(1)바람
(2)천신 숭배
2.천장 기원설
(1)본교와 천장의 관계
(2)불교와 본교의 쟁패
제3장 천장의 장법
1.천장의 장법
(1)준비
(2)의식
(3)해부
(4)마무리
2.천장 탐방
(1)즐궁 사원
(2)전통 의식의 보존
(3)천장터
(4)공행모의 화신
(5)천장사
제4장 전통과 현대, 문화의 공존
1.포탈라궁의 운명
(1)사라진 황금
(2)주인 잃은 포탈라궁
2.공존의 이중 문화
(1)언어
(2)하늘 길이 열리다
제5장 변화하는 티베트 - 천장이 무너지고 있다
1.전변의 티베트
(1)현대화 프로젝트
(2)변화의 바람
2.돌연변이 출현
(1)화장의 유행
(2)전장의 출현
제6장 티베트의 미래 - 달라이 라마와 중국 정부
1.티베트 문화의 상징성
2.달라이 라마
(1)15대 활불은 탄생할 것인가
(2)중국 정부의 변화
글을 마치며
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티베트인은 달라이 라마는 관세음보살의 화신이고 판첸 라마는 아미타불의 화신으로 여긴다.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라는 활불 제도는 티베트만이 지닌 독특한 정치 시스템이지만, 이 제도가 티베트 사회 초기부터 확립된 것은 아니다.-p44 중에서
중국 정부가 현존 달라이 라마 즉 텐진갸초 한 사람만을 상대한다면 티베트 문제는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문제는 달라이 라마가 가지는 상징성과 그로 인한 티베트인들의 응집력을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p196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