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컴퓨터공학 > 데이터베이스 개론
· ISBN : 9788970507101
· 쪽수 : 620쪽
· 출판일 : 2011-11-11
목차
Chapter 01 No Archive log mode와 Archive log mode
실무 실습 1 archive redo log mode로 변경하기
실무 실습 2 Archive Hang 발생 시 해결 방법
Chapter 02 Oracle Backup
2.1 백업 대상(Oracle 10g R2 기준)
1. Data file
2. Control file
3. Redo log file
4. Parameter file / Password file
2.2 백업의 종류
1. 닫힌 백업(cold backup / closed backup)
실무 실습 1 닫힌 백업 수행하기
2. 열린 백업(hot backup / open backup / begin backup)
실무 실습 2 hot backup 수행하기
실무 실습 3 일자별로 자동으로 백업 디렉토리를 생성해서
begin backup을 수행하는 백업 스크립트
Chapter 03 Recovery 원리
3.1 Recovery 원리(10g R2 기준)
Chapter 04 Parameter File 장애 복구
4.1 Oracle Startup 과정
4.2 Parameter file
실무 실습 1 Parameter file 생성 및 관리하기
실무 실습 2 pfile, spfile 만들기
실무 실습 3 startup / shutdown 하기
Chapter 05 Control File 장애 복구
5.1 Oracle Version별 control file 내용
심화학습 1 Oracle 9i 버전 control file 내용 확인하기
심화학습 2 Oracle 10g R2 버전 control file 내용 확인하기
5.2 Control file 분산 관리하기
실무 실습 1 Control file 관리하기(pfile 이용할 경우)
실무 실습 2 Control file 관리하기(spfile 사용할 경우)
5.3 Control file 관련 장애 해결하기
장애 유형 1 Parameter file의 경로와 실제 파일 경로가 다른 경우
장애 유형 2 Control file끼리 내용이 다른 경우
장애 유형 3 old control file / control file 삭제됨 / incarnation 에러
Case 1 현재 data file, redo log file에 이상이 없을 경우
- 재생성 - no resetlogs
Case 2 현재 data file, Control file에 이상이 있고 백업 파일
있을 경우 - using backup controlfile로 복구 수행
Case 3 현재 data file, redo log file에 이상이 있고 백업 파일
없을 경우 - 재생성 - resetlogs
종합 복구 문제 1 백업 파일이 close backup일 경우
종합 복구 문제 2 백업 파일이 hot backup일 경우
심화학습 각 Case별 재생성된 Control file 내용 확인
Chapter 06 Data File 장애 및 사용자 장애 복구하기
6.1 Tablespace와 Data file 개념 살펴보기
1. Tablespace와 Data file 개념
2. Tablespace의 종류 및 특징
실무 실습 1 일반 Tablespace 생성 및 조회하기
실무 실습 2 각 Data file의 실제 사용량 확인하는 방법
실무 실습 3 Tablespace 용량 관리하기
조치 방법 1 수동으로 Tablespace에 Data file 추가하는 방법
조치 방법 2 Data file 크기 수동 증가시키기
조치 방법 3 Data file 크기 자동 증가시키기
실무 실습 4 Tablespace Offline
실무 실습 5 Data file 이동시키는 작업
실무 실습 6 Tablespace 삭제하기
심화학습 Data file 내용 dump로 직접 확인하기
6.2 Data 장애 복구하기
1. No Archive log Mode에서 복구하기
실무 실습 7 no archive log mode에서 장애 해결
2. Archive log Mode일 경우 장애 복구하기
실무 실습 8 Offline 되는 일반 Tablespace 장애 복구하기
실무 실습 9 Offline 안 되는 Tablespace 장애 복구하기
실무 실습 10 백업 파일이 없는 경우 복구하기
심화학습 새로 생성된 Data file 분석하기
실무 실습 11 임시 경로를 이용한 긴급 복구(일부 Data file의
백업 파일이 없는 경우)
실무 실습 12 drop table 명령으로 삭제된 Table 복구하기
(모든 데이터 파일 복원)
실무 실습 13 drop table 복구하기 - 일부 파일만 복원
실무 실습 14 drop table 복구하기(백업 없는 경우)
실무 실습 15 잘못된 update 장애 복구하기
실무 실습 16 잘못된 delete 장애 복구하기
실무 실습 17 잘못된 drop user 장애 복구하기
실무 실습 18 drop tablespace로 잘못 삭제된 Tablespace
복구하기 - 백업 control file 있을 경우
실무 실습 19 Drop tablespace 복구하기 - 백업된 Control file
없을 경우
실무 실습 20 log miner를 이용하여 redo log file에서 특정
테이블의 삭제 시간 찾기
3. undo tablespace 장애 복구하기
실무 실습 1 운영 중인 undo tablespace 장애 복구하기
실무 실습 2 No archive log mode에서 undo tablespace의
Data file이 삭제된 장애 상황 복구하기
Chapter 07 Redo log 장애와 Log Miner
7.1 Redo Log의 생성 및 기록 원리
7.2 Redo log file 구성 및 관리하기
1. Redo log file 개념
2. Redo log file 관리하기
실무 실습 1 Redo log file 관리하기
7.3 Redo log file 내용 dump로 확인하기
1. DDL 수행 후 분석하기
2. Redo log file 분석 - DML 수행 후 분석하기
7.4 Oracle Log Miner - 8i
1. Log miner 설정해서 Redo log file 분석하는 예
7.5 Oracle Log Miner - 9i New Feature
7.6 Oracle Log Miner - 10g New Feature
실무 실습 1 drop table 정보 찾기
실무 실습 2 update table 정보 확인하기
7.7 Supplemental logging
1. 개요
2. supplemental logging의 종류
3. supplemental logging group
7.8 Case별 Redo log file 장애와 대처 방법
장애 유형 1 대기중인 그룹의 멤버 1개만 장애 발생할 경우
장애 유형 2 대기중인 그룹 중 archive 완료된 그룹이 지워진 경우
장애 유형 3 대기중인 그룹 중 archive 완료 안 된 그룹이
지워진 경우 - DB Open 상태
장애 유형 4 대기중인 그룹 중 archive 완료 안 된 그룹이
지워진 경우 - DB Close
장애 유형 5 Current 그룹이 삭제된 경우 - DB Open 상태
장애 유형 6 Current 그룹이 삭제된 경우 - DB Close
- Shutdown immediate로 종료됨
장애 유형 7 Current 그룹이 삭제된 경우
- DB Close - Shutdown abort로 종료
- data file backup과 archive log file 있음
장애 유형 8 Current 그룹이 삭제된 경우 - DB close
- Shutdown abort로 종료 - 백업 없음(archive log
없음 - DB를 no archive log mode로 변경)
장애 유형 9 전체 Redo log가 삭제된 경우
- DB Open(archive log mode에서 작업)
장애 유형 10 전체 Redo log가 삭제된 경우
- DB Close - 백업 있는 상태
장애 유형 - 전체 Redo log가 삭제된 경우
- DB Close - 백업 없는 상태
Chapter 08 export / import
8.1 개념 잡기
8.2 Conventional Path export와 Direct Path export
8.3 export 옵션
8.4 export 모드 및 export 수행하기
실무 실습 1 conventional path로 Full export 받기(기본 모드)
실무 실습 2 direct path로 Database Full export 받기
실무 실습 3 export를 저장하는 백업 파일을 분할해서 받기
실무 실습 4 특정 테이블스페이스만 받기
실무 실습 5 여러 사용자를 동시에 백업 받기
실무 실습 6 evaluation Buffer 값을 조정하면서 export 수행
실무 실습 7 일반 사용자(여기서는 scott 사용자)로 full export 수행
실무 실습 8 parameter file을 이용한 export 수행하기
실무 실습 9 특정 조건만 export 받기
- query 옵션 사용하기(8i부터 사용 가능)
실무 실습 10 schema별로 자동 export 백업 받는 스크립트
8.5 import 수행하기
1. import 옵션
2. import 수행하기
실무 실습 1 DBA로 전체 데이터 import 수행하기
실무 실습 2 특정 사용자의 데이터만 import 수행하기
실무 실습 3 SCOTT 사용자의 test02 테이블을 HR 사용자
소유로 변경하기
실무 실습 4 실제 데이터는 import 하지 않고 DDL 문장만 추출하기
실무 실습 5 import 할 때 테이블과 index 분리하기
8.6 export와 import에 대한 일반적인 궁금증 모음
심화학습 1 tables 옵션으로 exp 받은 dmp 파일 분석하기
심화학습 2 tablespaces 옵션으로 exp 받은 dmp 파일 분석하기
심화학습 3 clob data export/import 수행하기
Chapter 09 Datapump
9.1 Datapump의 장점
1. 작업 관리의 편의성
2. 필요한 디스크 공간의 예측
3. 원격지 DB에 작업 수행 가능
4. remapping 기능 지원
9.2 사용 전 환경 설정하기
9.3 expdp 실행 모드
1. Full 모드
2. schema 모드
3. Tablespace 모드
4. table 모드
9.4 expdp 파라미터 정리
1. directory
2. dumpfile
3. filesize
4. parfile
5. logfile / nologfile
6. compression
7. transport_full_check
8. content
9. Exclude / Include
10. Query
11. sample
12. Network_link
13. encryption_password
14. Job_name
15. status
16. parallel
17. Attach
9.5 impdp 관련 파라미터
1. Content
2. Include
3. Exclude
4. Table_exists_action
5. Remap_schema
6. Remap_datafile
7. Remap_tablespace
8. Network_link
9.6 Datapump 작업 관리 및 모니터링 하기
실무 실습 1 scott 계정의 emp, dept 테이블만 백업 받기
실무 실습 2 scott schema 전부 백업 받기
실무 실습 3 DB 전체를 백업 받기
실무 실습 4 일시 중단 후 다시 작업하기
실무 실습 5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job 취소하기
실무 실습 6 여러 사용자의 테이블 한꺼번에 expdp 받기
실무 실습 7 병렬 expdp 작업하기
실무 실습 8 파일 위치 다르게 병렬로 expdp 작업하기
실무 실습 9 파라미터 파일 사용해서 expdp 수행
- 여러 개의 파일로 분할 expdp
실무 실습 10 parameter 파일 이용해서 scott.test 테이블
impdp 작업하기
실무 실습 11 impdp 병렬 작업하기
실무 실습 12 import 수행하지 않고 DDL 문장만 추출하기
실무 실습 13 작업 예상 시간 추출하기
실무 실습 14 데이터 펌프 재설치하기 - 10.2 이상 버전
실무 실습 15 데이터 펌프 수행 시 암호화 작업 - 11g New Featrue
실무 실습 16 일자별 schema별로 자동 백업 받는 스크립트
Chapter 10 무정지 상태에서의 응급 복구
10.1 Clone DB와 exp/imp를 이용한 drop table 복구
1. 장애 상황 만들기
2. 복구 서버(testdb2)용 파라미터 파일 생성
3. Testdb2용 control file 생성
4. Drop 된 gogak 테이블 복구하기
5. 복구된 gogak 테이블을 운영 서버(testdb)로 이동하기
10.2 Clone DB를 이용한 drop tablespace 복구
1. 장애 상황 생성
2. 장애 발생
10.3 Clone DB로 복구 후 DB Link를 이용해서 이동하기
■ 찾아보기ART 01 Oracle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