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제학 이해

경제학 이해

(19th Edition)

Campbell R. McConnell, Stanley L. Brue, Sean Masaki Flynn (지은이), 최광 (옮긴이)
생능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제학 이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제학 이해 (19th Edition)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70507569
· 쪽수 : 1132쪽
· 출판일 : 2013-01-07

목차

PART ONE 경제와 경제학

Chapter 1 제약과 대안 그리고 선택
경제적 시각
이론 및 기본원리와 모형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개인의 경제적 문제
사회의 경제적 문제
생산가능모형
실업, 성장, 미래
Chapter 2 시장경제체제와 경제순환
경제체제
시장경제체제의 특징
5가지 근본 문제
보이지 않는 손
통제경제체제의 종언
경제순환 모형

PART TWO 가격 및 수량과 효율성

Chapter 3
수요ㆍ공급과 시장균형
시장
수요
공급
시장균형
응용 : 정부설정가격
Chapter 4 탄력성
수요의 가격탄력성
공급의 가격탄력성
교차탄력성과 수요의 소득탄력성
Chapter 5 시장실패 : 공공재와 외부성
경쟁시장에서의 시장실패
효율적으로 작동하는 시장 171
공공재
외부성
정부의 역할

PART THREE 상품시장의 미시경제

Chapter 6 소비자의 행위
한계효용체감의 법칙
소비자 행위론
효용극대화와 수요곡선
응용과 확대
전망이론
Chapter 7 기업과 생산비용
경제적 비용
단기 생산관계
단기 생산비용
장기 생산비용
응용 및 사례
Chapter 8 단기에서의 완전경쟁
네 가지 시장모형들
완전경쟁시장의 특성과 실제 예
완전경쟁 판매자가 보는 수요
단기에서의 이윤극대화 (1) : 총수입?총비용 접근법
단기에서의 이윤극대화 (2) : 한계수입?한계비용 접근법
한계비용과 단기에서의 공급
Chapter 9 장기에서의 완전경쟁
완전경쟁에서의 장기
완전경쟁과 효율성
기술진보와 경쟁
Chapter 10 순수독점
순수독점 : 서론
진입장벽의 요인
독점시장의 수요
산출량 및 가격결정
독점의 경제적 효과
가격차별
독점의 규제
Chapter 11 독점적 경쟁과 과점
독점적 경쟁
독점적 경쟁에서 가격과 산출량
독점적 경쟁과 효율성
제품 다양성
과점
과점기업의 행태 : 게임이론 개관
세 개의 과점 모형
과점과 광고
과점과 효율성

PART FOUR 자원시장의 미시경제학

Chapter 12 생산요소의 수요
생산요소 가격 결정의 중요성
생산요소 수요의 한계생산성 이론
생산요소 수요의 결정요인
생산요소 수요의 탄력성
생산요소의 최적 조합
소득분배의 한계생산성 이론
Chapter 13 임금의 결정
노동과 임금 및 소득
일반적인 임금 수준
완전경쟁 노동시장
수요독점 모형
세 개의 노동조합 모형
쌍방독점 모형
최저임금 논쟁
임금격차
성과급
Chapter 14 지대, 이자 그리고 이윤
경제적 지대
이자
경제적 이윤
소득 분배
Chapter 15
자연자원과 에너지경제학
자원공급의 명암
에너지경제학
자원경제학
현재가치에 의한 미래의 가능성 평가
재생불능자원
재생가능자원

PART FIVE 정부부문의 미시경제학

Chapter 16 국가재정 : 정부지출과 조세
정부를 포함한 국민경제의 흐름
정부의 재정활동
우리나라 정부의 재정활동
공평한 조세 부담
조세의 귀착과 효율성 손실
우리나라의 조세는 얼마나 효율적인가?
Chapter 17 비대칭적 정보, 투표 및 공공선택
정보실패
공공선택이론
선호표출과 다수결 투표
정부실패

PART SIX 미시경제학의 이슈와 정책

Chapter 18 반독점 정책과 규제
반독점법
반독점 정책 : 쟁점과 효과
산업규제
탈규제
사회규제
Chapter 19 이론과 정책
농업경제학
농업정책의 경제학
농업정책에 대한 비판과 정치
최근 농업정책
Chapter 20 소득불평등과 차별
소득불평등에 관한 사실
소득불평등의 원인
소득불평등의 추세
평등과 효율
빈곤의 경제학
미국의 소득보장제도
차별
차별의 경제분석
Chapter 21 의료경제학
의료서비스 산업
민영건강보험
쌍둥이 문제 : 비용과 접근
의료서비스의 고비용 문제
의료서비스의 접근 제한
비용 급증의 원인
의료비 억제 : 유인체계의 변화
환자보호와 적정의료에 관한 법률

PART SEVEN GDP, 성장, 불안정

Chapter 22 거시경제학 입문
경제활동과 정책
기적 : 현대 경제의 성장
불확실성, 기대 그리고 충격
가격의 경직성
경직 가격에 기반한 거시경제 모형의 유형
Chapter 23
국내총생산과 국민소득 측정
경제활동 평가
국내총생산
지출접근법
소득접근법
기타 국민소득계정
명목 GDP 대 실질 GDP
GDP 측정의 문제점
Chapter 24 경제성장
경제성장
현대적인 경제성장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제도들
경제성장의 결정요인
생산가능 분석
성장회계
평균생산성 성장률의 상승
성장은 바람직하고 지속 가능한가?
Chapter 25 경기순환, 실업 그리고 인플레이션
경기순환
실업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의 소득 재분배 효과
인플레이션과 생산과의 관계

PART EIGHT 거시경제학의 모형과 재정정책

Chapter 26 기초 거시경제 분석
소득-소비와 소득-저축 관계
이자율과 투자와의 관계
승수효과
Chapter 27 총지출모형
가정 및 모형 단순화
소비와 투자계획
균형 GDP: C + Ig = GDP
기타 균형 GDP 속성들
균형 GDP 변화와 승수효과
국제무역부문 추가
공공부문 추가
균형과 완전고용 GDP
Chapter 28 총수요와 총공급
총수요
총수요의 변화
총공급
총공급의 변화
균형의 분석
Chapter 29 재정정책, 재정적자 그리고 국가부채
재정정책과 총수요-총공급모형
자동안정성 : 비재량적 재정정책
재정정책의 평가
재정정책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과 비판 그리고 복잡성
미국의 공공부채
그릇된 염려 : 기우
공공부채와 관련된 본질적 문제들

PART NINE 화폐 및 금융과 통화정책

Chapter 30 화폐와 금융 그리고 금융기관
화폐의 기능
통화의 구성요소
무엇이 화폐의 가치를 보증하는가?
연방준비제도와 은행시스템
2007~2008년의 금융위기
위기 이후 미국의 금융서비스산업
Chapter 31 통화창출
부분지급준비제도
개별 상업은행의 활동
개별 상업은행의 통화창출 과정
은행시스템의 통화창출 과정
Chapter 32 이자율과 통화정책
이자율
연방준비은행의 연결대차대조표
통화정책의 수단
운용목표로서의 연방기금금리
통화정책과 실질 GDP 그리고 물가수준
통화정책 : 평가와 정책과제
그림을 통해서 보는 거시경제의 구조

PART TEN 확장과 이슈

Chapter 33 총공급분석의 확장
단기에서 장기로
장기 총수요-총공급모형의 응용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관계
장기 필립스 곡선
조세정책과 총공급의 관계
Chapter 34 거시경제 이론과 정책에 대한 최근 이슈들
경제 불안을 야기하는 원인은 무엇 일까?
경제는 스스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까?
준칙인가 또는 재량인가?
거시경제의 다양한 견해(요약)

PART ELEVEN 국제경제학

Chapter 35 국제무역
무역 관련 몇 가지 중요한 사실들
무역의 경제적 기초
비교우위
공급곡선과 수요곡선에 의한 수출과 수입의 결정 과정
무역장벽들과 수출보조금
보호무역에 대한 찬성 논의: 비판적 검토
다자간 무역협정과 자유무역지대
무역조정지원제도
아웃소싱과 일자리 오프쇼링
Chapter 36 국제수지, 환율 그리고 무역적자
국제 금융거래 : 국제무역과 국제자산거래
국제수지
신축적 환율 : 변동환율
고정환율
현재의 환율제도 : 관리변동환율제
최근 미국의 무역적자

부록: 그래프와 표로 본 우리나라 경제 및 사회 지표
실질 GDP 성장률 추이
소비자물가 상승률
가계소득
기준금리 변화 추이
원/달러 환율 추이
재정수지
국가채무
국민(조세)부담률
무역규모와 무역수지
경상수지 추이
경제활동참가율
실업률
고용률
지니계수, 소득5분위 배율, 상대적 빈곤율
명목임금상승률과 명목경제성장률
우리나라의 재정수입 및 재정지출 추이
GDP 대비 일반정부 총지출 추이
국민부담률(조세부담률) 추이의 국제비교
정부의 분야별 재원배분 추이

저자소개

Campbell R. McConnell (지은이)    정보 더보기
코넬칼리지와 일리노이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은 후 아이오와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53년부터 1990년 은퇴할 때까지 네브래스카대학교 링컨캠퍼스에서 가르쳤다. 핵심경제학[Essentials of Economics, 3/e(McGraw-Hill/Irwin)]과 축약판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Macroeconomics and Microeconomics (McGraw-Hill/Irwin)]은 물론, 선도적인 경제학 입문 교재 경제학[Economics, 20/e (McGraw-Hill/Irwin)]의 공동저자다. 또한 경제학원론과 노동경제학 강좌의 읽기교재를 편집하였다. 네브래스카대학교 최고 강의상과 레이크 학문의 자유상 수상자이며, 미국중서부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의 주 관심분야는 노동경제학과 경제교육이다.
펼치기
Stanley L. Brue (지은이)    정보 더보기
어거스타나칼리지 학부를 다녔으며, 1991년에 최고 공로상을 수상했다. 네브래스카대학교 링컨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퍼시픽루터대학교의 교수였으며, 그곳에서 노던 교수 공로상의 수상자라는 영예를 얻었다. 또한 경제교육에 기여한 공로로 전국적인 리비상을 수상했다. 브루 교수는 오미크론 델타 엡실론 국제경제동호회(Omicron Delta Epsilon International Economics Honorary) 이사회의 전국 회장과 의장을 역임했다. 경제현장[Economic Scenes, 5/e (Prentice-Hall)], 경제학[Economics, 20/e (McGraw-Hill/Irwin)], 경제사상의 진화[The Evolution of Economic Thought, 7/e (South-Western)], 핵심경제학[Essentials of Economics, 3/e (McGraw-Hill/Irwin)])과 축약판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Macroeconomics and Microeconomics (McGraw-Hill/Irwin)]의 공동저자다.
펼치기
최광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경남 남해에서 태어나 부산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공공정책학 석사 학위와 미국 메릴랜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와이오밍대 경제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 경제학부 교수, 한국과학원(KAIST) 겸직교수, 영국 요크대와 일본 히토쓰바시대 객원교수, 성균관대 석좌교수 등을 역임했고 현재 대구대학교 경제금융학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조세학회 회장 한국재정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공직으로 한국조세연구원 원장, 국회예산정책처 처장,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보건복지부 장관 등으로 봉사하였다. 저서와 편저로는 《경제 원리와 정책》, 《분배정의와 재정정책》,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정부》, 《한국재정 40년사》, 《한국의 조세정책 50년》, 《공공경제학》, 《오래된 새로운 비전》, 《오래된 새로운 전략》, 《기적의 한국경제 70년사》, 《현대경제학의 이해》, 《일본의 경제정책과 재정정책》, 《국가 정체성과 나라경제 바로보기》, 《복지정책에 대한 근원적 고찰》, 《부국안민의 길》, 《Theories of Comparative Economic Growth》, 《Tax Policy and Tax Reforms in Korea》, 《Public Finance in Korea》, 《Fiscal and Public Policies in Korea》, 《Economic Development and Economic Policy in Korea》 등이 있고 번역서로 《공공선택이론 및 재정이론》, 《집단행동의 논리》, 《국가의 흥망성쇠》, 《지배권력과 경제번영》, 《공공경제학》, 《경제학 이해》 등이 있다. 전문적 학술논문을 190여 편 저술하였다. 미국에서 수학 중에는 Ford Foundation Fellowship을 받았으며, 교수 재직 시절에는 영국 British and Commonwealth Office(외무성)의 Scholarship과 일본 Japan Foundation(문부성)의 Fellowship을 받아 영국과 일본에서 연구 활동을 하였다. 조세연구와 관련하여 석탑산업훈장을 받았고, 장관 재임 후 청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제22회 시장경제대상, 학술논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