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적의 한국경제 70년사

기적의 한국경제 70년사

(농지개혁에서 K-POP까지)

최광 (지은이)
북앤피플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22,500원 -10% 2,500원
0원
2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적의 한국경제 70년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적의 한국경제 70년사 (농지개혁에서 K-POP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97871353
· 쪽수 : 528쪽
· 출판일 : 2018-10-20

책 소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에서 유일하게 개도국에서 선진국으로 진입한 대한민국의 경제정책 70년을 전문가가 아닌 일반 국민을 주된 대상으로 하여 집필된 책이다. 건국 이후 70년 동안 전개된 53개의 사건과 정책을 역대 9명의 대통령을 중심으로 시대별로 해설하고 있다. 개별 주제는 시대를 대표하는 정책과 사건들 중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을 선택했다.

목차

서언(序言) 한국경제가 성취한 것은 기적이었다(최 광)

제1부 이승만 대통령의 건국과 초석
01. 농지개혁(정기화)
02. 귀속 사업체 불하정책 (정기화)
03. 한미방위조약과 미국원조(박동운)
04. 자유시장경제의 초석 쌓기(송원근)

제2부 박정희 대통령 시대의 경제정책
05. 1962년 화폐개혁(안재욱)
06. 1962년 개헌에 나타난 박정희 대통령의 자유시장경제 철학(박동운)
07. 1964년 환율 현실화(안재욱)
08. 1965년 금리 현실화(안재욱)
09. 수출급증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유정호)
10. 수출촉진 정책과 세계시장 진출(유정호)
11. 8·3조치와 장·단기 영향(유정호)
12. 1970년대의 중화학공업정책(송원근)
13. 새마을 운동: 엄청난 ‘절반’의 성공 스토리(김이석)
14. 베트남 파병: 한국 경제성장의 도화선(권혁철)
15. 고속도로 건설(김영용)
16. 부가가치세 도입과 재정건전화 정책(이영환)
17. 기업가를 경제 건설의 주역으로 내세우다(김정호)
18. 최초의 외국인 직접투자(김정호)

제3부 전두환 대통령 시대의 경제정책
19. 경제안정화정책(남상우)
20. 1980년대 금융개혁(안재욱)
21. 1984년 예산동결(최 광)

제4부 노태우 대통령과 김영삼 대통령 시대의 경제정책
22. 시장흉내내기로서의 주택 200만호 건설(김정호)
23. 민주화 운동과 노사관계(김승욱)
24. 금융실명제 도입(최 광)
25. 금융시장 개방과 외환위기(김승욱)
26. 김영삼 정부의 신경제정책(송원근)

제5부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 시대의 경제정책
27. 1997년 외환위기 극복정책: 4대 개혁(박동운)
28. 5+3 원칙과 기업지배구조 정책(황인학)
29. 기업지배구조 개선정책: ‘치명적 자만’의 산물(권혁철)
30. 노무현 정부의 주택 규제정책(박동운)
31. 한·칠레 FTA 및 한·미 FTA 체결(정인교)
32. 노동시장의 변화에 역행하는 비정규직 보호정책(권혁철)

제6부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시대의 경제정책
33. 공정사회에 포획된 동반성장정책의 허와 실(조동근)
34. 2008년 세계경제위기 대책(안재욱)
35. 창조경제정책(황인학)
36. 형용모순 오류를 범한 경제규제로서의 경제민주화(조동근)

제7부 특별 주제
37. 경제정책 70년의 회고: 성공과 실패(이영훈)
38. 시장경제와 경제개발 5개년 계획(강영욱)
39. 역대 정부별 금융통화정책의 평가(안재욱)
40. 역대 정부별 조세재정정책의 평가(이영환)
41. 역대 정부별 노동정책의 평가(박동운)
42. 역대 정부별 복지정책의 평가(김원식)
43. 역대 정부별 농업정책의 평가(정기화)
44. 소득과 부의 분배 및 재분배 정책(송원근)
45. 재정적자 및 국가채무와 재정건전성(최 광)
46. 자본형성과 기업가의 출현(김영용)
47. 1990년대 수입자유화와 시장개방(안재욱)
48. 시장개방: GATT WTO FTA(정인교)
49. 공정거래법 제정과 이후 대기업정책(김영용)
50. 경제력 집중에 대한 우려와 대기업정책(황인학)
51. 부동산정책의 성공과 실패(김정호)
52. 영화산업 진입자유화와 천만 관객 영화의 등장(김정호)
53. 자유방임 하에서 이뤄진 케이팝의 성공(김정호)

저자소개

최광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경남 남해에서 태어나 부산고와 서울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공공정책학 석사 학위와 미국 메릴랜드대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와이오밍대 경제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 경제학부 교수, 한국과학원(KAIST) 겸직교수, 영국 요크대와 일본 히토쓰바시대 객원교수, 성균관대 석좌교수 등을 역임했고 현재 대구대학교 경제금융학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조세학회 회장 한국재정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공직으로 한국조세연구원 원장, 국회예산정책처 처장,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보건복지부 장관 등으로 봉사하였다. 저서와 편저로는 《경제 원리와 정책》, 《분배정의와 재정정책》, 《자본주의 시장경제와 정부》, 《한국재정 40년사》, 《한국의 조세정책 50년》, 《공공경제학》, 《오래된 새로운 비전》, 《오래된 새로운 전략》, 《기적의 한국경제 70년사》, 《현대경제학의 이해》, 《일본의 경제정책과 재정정책》, 《국가 정체성과 나라경제 바로보기》, 《복지정책에 대한 근원적 고찰》, 《부국안민의 길》, 《Theories of Comparative Economic Growth》, 《Tax Policy and Tax Reforms in Korea》, 《Public Finance in Korea》, 《Fiscal and Public Policies in Korea》, 《Economic Development and Economic Policy in Korea》 등이 있고 번역서로 《공공선택이론 및 재정이론》, 《집단행동의 논리》, 《국가의 흥망성쇠》, 《지배권력과 경제번영》, 《공공경제학》, 《경제학 이해》 등이 있다. 전문적 학술논문을 190여 편 저술하였다. 미국에서 수학 중에는 Ford Foundation Fellowship을 받았으며, 교수 재직 시절에는 영국 British and Commonwealth Office(외무성)의 Scholarship과 일본 Japan Foundation(문부성)의 Fellowship을 받아 영국과 일본에서 연구 활동을 하였다. 조세연구와 관련하여 석탑산업훈장을 받았고, 장관 재임 후 청조근정훈장을 받았다. 제22회 시장경제대상, 학술논문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해방 당시 농촌사회에는 여전히 신분제가 잔존하고 있었다. 그러나 농지개혁을 통해 지주의 경제적 영향력이 사라지면서 농촌에 잔존하던 양반과 상민의 신분차별이 없어지고 노비와 같은 처지에 있던 천민이 자취를 감추었다. 그래서 농촌사회의 구성원들은 신분에서 보다 자유롭고 평등해졌다. 상민들도 양반과 마찬가지로 문중이나 시제와 같은 유교적 전통을 따를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가문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기 위한 경쟁은 자식세대에 더 많은 교육투자를 유도하였다. 이러한 인적자본에 투자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밑거름으로 작용하였다.


베트남 파병은 베트남 특수를 통해 경상수지 적자 해소 및 외환보유고 확충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와 함께 수출의 급격한 증가와 우리나라 기업들의 해외진출 및 대기업으로의 성장은 우리나라 경제가 한 발짝 크게 도약하는 데 튼튼한 발판이 되었다. 베트남 파병은 경제기적의 도화선이었다.


1930년대의 세계대공황 이후 1980년대 초까지 세계 경제의 큰 흐름은 국유화였다. 자본주의 종주국이던 영국조차도 노동당의 애틀리 수상 집권 이후 주요 산업들을 국유화했다. 철도, 통신, 정유 산업 분야의 대기업들이 몰수되다시피 국영기업으로 전환되었다. 신흥 독립국들은 국가주도를 더욱 당연히 여기는 분위기였다. 브라질, 인도, 파키스탄, 이집트, 알제리 등이 모두 국영기업방식으로 기간산업을 건설해나갔다. 그런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민간 기업들을 중화학 건설의 주역으로 내세운 박정희 정부의 결정은 매우 이례적이었다. 그리고 신흥독립국들 중 오직 대한민국만 중화학공업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