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컴퓨터 활용능력 > 사무자동화
· ISBN : 9788970507941
· 쪽수 : 592쪽
· 출판일 : 2014-02-28
책 소개
목차
PART 1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개요
CHAPTER 01 프로젝트 관리와 소프트웨어 개발의 기초
1.1 프로젝트 관리 개요
1.1.1 프로젝트
1.1.2 프로젝트 관리
1.1.3 프로젝트 생애주기
1.1.4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관리
1.2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1.2.1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의 특수성
1.2.2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식
CHAPTER 02 PMI의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관리 모델
2.1 PMI 프로젝트 관리 모델의 개요
2.1.1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의 분류
2.1.2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그룹
2.1.3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그룹과의 상호작용
2.1.4 다단계 프로젝트
2.2 PMI 프로그램 관리 모델의 개요
2.2.1 프로그램 프로세스 그룹
2.2.2 프로그램 생애주기와 단계관문 검토
2.2.3 프로그램 효익 관리와 거버넌스 관리
2.2.4 프로그램 단계들
PART 2 PMI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CHAPTER 03 프로젝트 통합 관리
3.1 프로젝트 통합 관리 프로세스들
3.1.1 프로젝트 헌장을 개발하기 프로세스
3.1.2 프로젝트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프로세스
3.1.3 프로젝트 작업을 지시하고 관리하기 프로세스
3.1.4 프로젝트 작업을 모니터하고 통제하기 프로세스
3.1.5 통합 변경 통제를 수행하기 프로세스
3.1.6 프로젝트 또는 단계를 종료하기 프로세스
3.2 의사결정
3.2.1 의사결정이란?
3.2.2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
3.2.3 정보의 가치
3.3 변경관리
CHAPTER 04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관리
4.1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 프로세스들
4.1.1 이해관계자를 확인하기 프로세스
4.1.2 이해관계자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프로세스
4.1.3 이해관계자 참여를 관리하기 프로세스
4.1.4 이해관계자 참여를 통제하기 프로세스
4.2 프로젝트 이해관계자
4.2.1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의 종류
4.2.2 사용자 및 과업 분석
CHAPTER 05 프로젝트 범위 관리
5.1 프로젝트 범위 관리 프로세스들
5.1.1 범위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프로세스
5.1.2 요구사항 수집하기 프로세스
5.1.3 범위 정의하기 프로세스
5.1.4 WBS 생성하기 프로세스
5.1.5 범위 입증하기 프로세스
5.1.6 범위 통제하기 프로세스
5.2 요구사항 밝히기 기법: 집단 창조성 기법
5.2.1 브레인스토밍
5.2.2 명목 집단 기법
5.2.3 델파이 방법
5.2.4 아이디어/마인드매핑
5.2.5 친화도
5.3 요구사항을 밝히기 위한 고객과 개발자의 공동 작업
5.3.1 요구사항 워크숍
5.3.2 JAD
5.4 WBS 작성 방법
5.4.1 WBS 개요
5.4.2 100% 규칙
5.4.3 WBS 품질 평가 기준
5.4.4 WBS 개발 절차
5.5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프로세스
5.5.1 요구사항 밝히기
5.5.2 쓰임새 모델링
CHAPTER 06 프로젝트 시간 관리
6.1 프로젝트 시간 관리 프로세스들
6.1.1 일정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프로세스
6.1.2 활동 정의하기 프로세스
6.1.3 활동 배열하기 프로세스
6.1.4 활동 자원 추정하기 프로세스
6.1.5 활동 기간 추정하기 프로세스
6.1.6 일정 개발하기 프로세스
6.1.7 일정 통제하기 프로세스
6.2 프로젝트 시간 관리 기법 및 도구
6.2.1 간트 도표
6.2.2 PERT/CPM
6.3 예측과 추정
6.3.1 예측
6.3.2 추정
6.4 소프트웨어 규모 척도와 노력 추정
6.4.1 소프트웨어 규모 척도
6.4.2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노력 추정
CHAPTER 07 프로젝트 비용 관리
7.1 프로젝트 비용 관리 프로세스들
7.1.1 비용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프로세스
7.1.2 비용을 추정하기 프로세스
7.1.3 예산을 결정하기 프로세스
7.1.4 비용을 통제하기 프로세스
7.2 프로젝트 원가
7.3 프로젝트 경제성 분석
7.3.1 회수기간법
7.3.2 평균 회계이익률법
7.3.3 순현가법
7.3.4 수익성 지수법
7.3.5 내부수익률법
7.4 프로젝트 비용 관리 활동
7.4.1 원가 추정
7.4.2 원가 예산 책정
7.4.3 비용 통제
7.5 획득 가치 분석
7.6 프로젝트 관리 계획의 갱신
CHAPTER 08 프로젝트 품질 관리
8.1 프로젝트 품질 관리 프로세스들
8.1.1 품질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프로세스
8.1.2 품질 보증 수행하기 프로세스
8.1.3 품질 통제 수행하기 프로세스
8.2 품질의 정의 및 종류
8.2.1 품질의 정의
8.2.2 품질의 종류
8.2.3 품질의 측정: 외부 메트릭과 내부 메트릭
8.3 품질 비용과 프로세스 개선
8.3.1 품질 비용
8.3.2 프로세스 품질과 프로세스 개선
8.4 품질 관리 기법 및 도구
8.4.1 품질 관리의 발전
8.4.2 품질분임조
8.4.3 자료 수집 및 통계적 분석
8.4.4 기본적인 품질 관리 도구
CHAPTER 09 프로젝트 인적자원 관리
9.1 프로젝트 인적자원 관리 프로세스들
9.1.1 인적자원 계획을 수립하기 프로세스
9.1.2 프로젝트 팀 획득하기 프로세스(실행)
9.1.3 프로젝트 팀 개발하기 프로세스
9.1.4 프로젝트 팀 관리하기 프로세스
9.2 조직화 및 직무 설계
9.2.1 조직화의 기본 원칙
9.2.2 조직 구조의 유형
9.2.3 직무 설계
9.3 충원
9.3.1 채용 계획
9.3.2 모집
9.3.3 선발
9.4 인적 자원 개발
9.4.1 인적 자원 개발의 의미
9.4.2 교육 및 훈련 방법
9.5 동기부여
9.5.1 매슬로 욕구설
9.5.2 맥그리거의 X/Y이론
9.5.3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
9.5.4 브룸의 기대 이론
9.5.5 ERG 이론
9.5.6 맥클러랜드의 욕구 이론
9.5.7 인지적 평가 이론
9.5.8 목표 설정 이론
9.5.9 공정성 이론
9.6 평가와 보상
CHAPTER 10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
10.1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 프로세스들
10.1.1 의사소통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프로세스
10.1.2 의사소통을 관리하기 프로세스
10.1.3 의사소통을 통제하기 프로세스
10.2 의사소통 관리
10.2.1 의사소통이란
10.2.2 의사소통 네트워크 형태
10.2.3 공식적, 비공식적 의사소통
10.2.4 효율적 의사소통
10.3 리더십
10.3.1 리더십과 리더
10.3.2 리더십의 유형
10.3.3 상황론적 리더십
10.3.4 팀 임파워링 리더십
10.4 갈등 관리
10.4.1 갈등이란
10.4.2 갈등의 관리
10.4.3 협상
CHAPTER 11 프로젝트 조달 관리
11.1 프로젝트 조달 관리 프로세스들
11.1.1 조달관리 계획을 수립하기 프로세스
11.1.2 조달을 수행하기 프로세스
11.1.3 조달을 통제하기 프로세스
11.1.4 조달 종결하기 프로세스
11.2 구매 관리
11.2.1 구매란
11.2.2 구매 절차
11.3 자재 관리
11.3.1 자재 발주
11.3.2 자재 보관
11.4 계약 관리
11.4.1 개요
11.4.2 인센티브
11.4.3 고정 가격 계약의 형태
11.4.4 원가 배상 계약의 형태
11.4.5 비확정 납품계약
11.4.6 기타 계약들
CHAPTER 12 프로젝트 위험 관리
12.1 프로젝트 위험 관리 프로세스들
12.1.1 위험 관리 계획을 개발하기 프로세스
12.1.2 위험을 식별하기 프로세스
12.1.3 정성적 위험 분석을 수행하기 프로세스
12.1.4 정량적 위험 분석을 수행하기
12.1.5 위험 대응 계획을 개발하기
12.1.6 위험을 통제하기
12.2 위험 분석
12.2.1 위험 노출도
12.2.2 위험의 우선순위
12.2.3 민감도 분석과 위험 감소 리버리지
12.3 위험 분석
12.3.1 부정적 위험에 대한 전략
12.3.2 긍정적 위험에 대한 전략
12.3.3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전략
12.3.4 상황 대응 전략
12.4 Win-Win 나선형 모델
12.4.1 나선형 모델의 개요
12.4.2 프로토타이핑에 의한 위험의 최소화와 그 한계
12.4.3 위험 해소 정도에 의존적인 프로세스 전개
12.4.4 나선형 모델의 장단점
PART 3 소프트웨어 제품 프로세스
CHAPTER 13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
13.1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이란 무엇인가?
13.1.1.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과 소프트웨어 방법론
13.1.2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과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범위 관리
13.2 폭포수 모델
13.2.1 폭포수 모델의 절차
13.2.2 폭포수 모델의 장단점
13.3 진화적 개발 모델
13.3.1 진화적 개발 모델의 절차
13.3.2 진화적 개발 모델의 장단점
13.4 증분적 인도 모델
13.4.1 증분적 인도 모델의 절차
13.4.2 증분적 인도 모델의 장단점
13.4.3 DSDM: 증분적 인도 모델의 예
13.5 전환 모델과 제4세대 모델
13.5.1 전환 모델의 절차
13.5.2 전환 모델의 장단점
13.5.3 제4세대 모델과 제4세대 기법
13.6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모델들의 비교
CHAPTER 14 웹 사이트 개발 프로젝트
14.1 웹 사이트 개발 프로젝트 진행 절차
14.2 프로젝트 초기화
14.3 요구 사항 분석
14.4 아키텍처 설계
14.4.1 정보 아키텍처 설계
14.4.2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14.4.3 기타 기술 및 개발 전략
14.5 상세 설계
14.5.1 디자인 설계
14.5.2 데이터베이스 상세 설계
14.5.3 프로그램 상세 설계
14.6 구현
14.7 통합 및 테스트
14.8 인도 및 운영
CHAPTER 15 대규모 비즈니스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
15.1 UP: Unified Process
15.1.1 UP의 기본 개념
15.1.2 UP의 디시플린
15.1.3 UP의 작업 단계
15.1.4 UP에 의거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15.2 인셉션
15.2.1 비즈니스 모델과 소프트웨어 모델 간의 관계
15.2.2 비즈니스 모델이 소프트웨어 모델링에서 맡아야 할 역할
15.2.3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15.2.4 도메인 모델
15.2.5 모델-뷰 분리 원칙
15.3 일래버레이션
15.3.1 쓰임새 모델과 계약
15.3.2 아키텍처 분석
15.4 컨스트럭션
15.4.1 쓰임새 실체화: 설계 모델의 작성
15.4.2 구현: 설계를 코드로 전환시키기
15.4.3 구현 과정에서 획득된 정보의 피드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