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R&D 프로젝트관리

R&D 프로젝트관리

고석하, 현병환, 홍정유 (지은이)
생능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R&D 프로젝트관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R&D 프로젝트관리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70506821
· 쪽수 : 447쪽
· 출판일 : 2011-01-04

책 소개

R&D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지식영역에 한 이론과 방법론뿐만 아니라 사전준비단계 및 완료 후 관리단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이론과 방법론에 대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관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전주기적 연구개발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들을 이용하여, 구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제1장 R&D 프로젝트 관리 개요

1.1 프로젝트 개요
1.1.1 프로젝트란 무엇인가?
1.1.2 프로젝트 관리와 운영 관리
1.2 연구개발이란?
1.2.1 연구개발의 정의
1.2.2 연구개발의 형태
1.3 프로젝트 관리 개요
1.3.1 관리 과정의 구성 요소
1.3.2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1.3.3 프로젝트 관리와 일반 관리 지식
1.4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
1.4.1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의 개요
1.4.2 연구개발 프로젝트 관리의 단계
1.5 프로젝트 생애주기와 조직
1.5.1 프로젝트 생애주기
1.5.2 프로젝트 관리자(PM: Project Manager)
1.5.3 프로젝트 관리 팀원들이 갖추어야 할 전문적 지식
1.5.4 프로젝트의 이해관계자
1.6 참고문헌

제2장 연구개발 프로젝트 사전 준비

2.1 연구개발 프로젝트 기획
2.1.1 연구개발 사업의 준비
2.1.2 연구개발 사업 범위의 설정 및 탐색
2.1.3 탐색된 기술 대안들에 대한 평가
2.1.4 연구개발 사업 유형별 연구 수행 방법 결정
2.2 문헌정보의 조사 및 분석
2.2.1 논문, 프로젝트의 조사 및 분석
2.2.2 기술 로드맵 조사 분석
2.3 특허 정보의 조사 및 분석
2.3.1 특허 정보의 조사
2.3.2 특허 정보의 분석
2.4 기술 동향 및 기술 예측
2.4.1 유망 분야 기술 탐색
2.4.2 기술 평가
2.5 참고문헌

제3장 프로젝트 관리 모델의 구조

3.1 PMI 프로젝트 관리 모델의 개요
3.1.1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의 분류
3.1.2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그룹
3.1.3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그룹과 상호작용
3.2 계획
3.2.1 계획의 의미
3.2.2 계획의 기능
3.2.3 계획의 종류
3.2.4 계획의 계층적 구조
3.3 통제
3.3.1 통제란 무엇인가?
3.3.2 효과적 통제의 특징
3.3.3 통제의 절차
3.4 PDCA 주기와 지속적 개선
3.4.1 PDCA 주기란?
3.4.2 PDCA 주기에 의한 생산성 향상
3.4.3 다단계 프로젝트
3.5 참고문헌

제4장 프로젝트 통합 관리

4.1 프로젝트 통합 관리 프로세스들
4.1.1 프로젝트 헌장 개발하기(develop project charter) 프로세스
4.1.2 프로젝트 관리 계획 개발하기(develop project management plan) 프로세스
4.1.3 프로젝트 수행 지시 및 관리하기(direct and manage project execution) 프로세스
4.1.4 프로젝트 작업 감시 및 통제하기(monitor and control project work) 프로세스
4.1.5 통합 변경 통제 수행하기(perform integrated change control) 프로세스
4.1.6 프로젝트 또는 단계 종료하기(close project or phase) 프로세스
4.2 의사결정
4.2.1 의사결정이란?
4.2.2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
4.2.3 정보의 가치
4.3 변경 관리
4.4 프로젝트 종료
4.5 참고문헌

제5장 프로젝트 범위 관리

5.1 프로젝트 범위 관리 프로세스들
5.1.1 요구사항 수집하기(collect requirements) 프로세스
5.1.2 범위 정의하기(define scope) 프로세스
5.1.3 WBS 생성하기(create WBS) 프로세스
5.1.4 범위 입증하기(verify scope) 프로세스
5.1.5 범위 통제하기(control scope) 프로세스
5.2 요구사항 밝히기 기법 : 집단 창조성 기법
5.2.1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
5.2.2 명목 집단 기법(nominal group technique)
5.2.3 델파이 방법(Delphi method)
5.2.4 아이디어/마인드 매핑(idea/mind mapping)
5.2.5 친화도(affinity diagram)
5.3 요구사항을 밝히기 위한 고객과 개발자의 공동 작업
5.3.1 요구사항 워크숍(requirement workshop)
5.3.2 JAD
5.4 WBS 작성 방법
5.4.1 WBS 개요
5.4.2 100% 규칙
5.4.3 WBS 품질 평가 기준
5.4.4 WBS 개발 절차
5.5 참고문헌

제6장 프로젝트 시간 관리

6.1 프로젝트 시간 관리 프로세스들
6.1.1 활동 정의하기(define activities) 프로세스
6.1.2 활동 배열하기(sequence activities) 프로세스
6.1.3 활동 자원 추정하기(estimate activity resources) 프로세스
6.1.4 활동 기간 추정하기(estimate activity durations) 프로세스
6.1.5 일정 개발하기(schedule development) 프로세스
6.1.6 일정 통제하기(control schedule) 프로세스
6.2 프로젝트 시간 관리 기법 및 도구
6.2.1 간트 도표
6.2.2 PERT/CPM
6.3 예측과 추정
6.3.1 예측
6.3.2 추정
6.4 참고문헌

제7장 프로젝트 비용 관리

7.1 프로젝트 비용 관리 프로세스들
7.1.1 비용 추정하기(estimate cost) 프로세스
7.1.2 예산 결정하기(determine budget) 프로세스
7.1.3 비용 통제하기(control costs) 프로세스
7.2 프로젝트 원가
7.3 프로젝트 경제성 분석
7.3.1 회수기간법
7.3.2 평균 회계이익률법
7.3.3 순현가법
7.3.4 수익성 지수법
7.3.5 내부수익률법
7.4 프로젝트 비용 관리 활동
7.4.1 원가 추정
7.4.2 원가 예산 책정
7.4.3 비용 통제
7.5 획득 가치 분석
7.6 프로젝트 관리 계획의 갱신
7.7 참고문헌

제8장 프로젝트 품질 관리

8.1 프로젝트 품질 관리 프로세스들
8.1.1 품질 계획하기(plan quality) 프로세스
8.1.2 품질 보증 수행하기(perform quality assurance) 프로세스
8.1.3 품질 통제 수행하기(perform quality control) 프로세스
8.2 품질의 정의 및 종류
8.2.1 품질의 정의
8.2.2 품질의 종류
8.2.3 품질의 측정 : 외부 메트릭과 내부 메트릭
8.3 품질 비용과 프로세스 개선
8.3.1 품질 비용
8.3.2 프로세스 품질과 프로세스 개선
8.4 품질 관리 기법 및 도구
8.4.1 품질 관리의 발전
8.4.2 품질분임조
8.4.3 자료 수집 및 통계적 분석
8.4.4 기본적인 품질 관리 도구
8.5 품질 기능 전개
8.6 참고문헌

제9장 프로젝트 인적자원 관리

9.1 프로젝트 인적자원 관리 프로세스들
9.1.1 인적자원 계획 수립하기(develop human resource plan) 프로세스
9.1.2 프로젝트 팀 획득하기(acquire project team) 프로세스 (실행)
9.1.3 프로젝트 팀 개발하기(develop project team) 프로세스
9.1.4 프로젝트 팀 관리하기(manage project team) 프로세스
9.2 조직화 및 직무 설계
9.2.1 조직화의 기본 원칙
9.2.2 조직 구조의 유형
9.2.3 직무 설계
9.3 충원
9.3.1 채용 계획
9.3.2 모집
9.3.3 선발
9.4 인적 자원 개발
9.4.1 인적 자원 개발의 의미
9.4.2 교육 및 훈련 방법
9.5 동기부여
9.5.1 매슬로 욕구설
9.5.2 맥그리거의 X/Y이론
9.5.3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
9.5.4 브룸의 기대 이론(expectancy theory)
9.5.5 ERG(existence, relatedness, growth) 이론
9.5.6 맥클러랜드의 욕구 이론(theory of needs)
9.5.7 인지적 평가 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
9.5.8 목표 설정 이론(goal-setting theory)
9.5.9 공정성 이론(equity theory)
9.6 평가와 보상
9.7 참고문헌

제10장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

10.1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 프로세스들
10.1.1 이해관계자 확인하기(identify stakeholders) 프로세스
10.1.2 의사소통 계획하기(plan communications) 프로세스
10.1.3 정보 배포하기(distribute information) 프로세스
10.1.4 이해관계자 기대 관리하기(manage stakeholder expectations) 프로세스
10.1.5 성과 보고하기(report performance) 프로세스
10.2 의사소통 관리
10.2.1 의사소통이란
10.2.2 의사소통 네트워크 형태
10.2.3 공식적, 비공식적 의사소통
10.2.4 효율적 의사소통
10.3 리더십
10.3.1 리더십과 리더
10.3.2 리더십의 유형
10.3.3 상황론적 리더십
10.3.4 팀 임파워링 리더십
10.4 갈등 관리
10.4.1 갈등이란
10.4.2 갈등의 관리
10.4.3 협상
10.5 참고문헌

제11장 프로젝트 위험 관리

11.1 프로젝트 위험 관리 프로세스들
11.1.1 위험 관리 계획하기(plan risk management)
11.1.2 위험 식별하기(identify risk) 프로세스
11.1.3 정성적 위험 분석하기(perform qualitative risk analysis) 프로세스
11.1.4 정량적 위험 분석하기(perform quantitative risk analysis)
11.1.5 위험 대응 계획하기(plan risk responses)
11.1.6 위험 감시 및 통제하기(risk monitoring and control)
11.2 위험 분석
11.2.1 위험 노출도
11.2.2 위험의 우선순위
11.2.3 민감도 분석과 위험 감소 리버리지
11.3 위험 대응전략
11.3.1 부정적 위험에 대한 전략
11.3.2 긍정적 위험에 대한 전략
11.3.3 위험과 기회에 대한 전략
11.3.4 상황 대응 전략(contingent response strategy)
11.4 참고문헌

제12장 프로젝트 조달 관리

12.1 프로젝트 조달 관리 프로세스들
12.1.1 조달 계획 수립하기(plan procurements) 프로세스
12.1.2 조달 수행하기(conduct procurements) 프로세스
12.1.3 조달 행정 수행하기(administer procurements) 프로세스
12.1.4 조달 종결하기(close procurements) 프로세스
12.2 구매 관리
12.2.1 구매란
12.2.2 구매 절차
12.3 자재 관리
12.3.1 자재 발주
12.3.2 자재 보관
12.4 계약 관리
12.4.1 개요
12.4.2 인센티브
12.4.3 고정 가격 계약의 형태
12.4.4 원가 배상 계약의 형태
12.4.5 비확정 납품계약
12.4.6 기타 계약들
12.5 참고문헌

제13장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 관리

13.1 연구 성과의 개념
13.2 국가 연구개발 사업
13.3 연구 성과의 측정
13.4 참고문헌

제14장 특허 출원 및 등록 관리
14.1 지적재산권
14.2 직무 발명
14.2.1 직무 발명 제도의 의의
14.2.2 직무 발명의 요건
14.2.3 직무 발명의 귀속
14.2.4 직무 발명의 보상
14.3 특허 출원 및 등록
14.3.1 국내 특허 출원
14.3.2 국제 특허 출원
14.3.3 특허 등록의 효력과 종류
14.4 등록 후 사후 관리
14.5 참고문헌

저자소개

고석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교수 KAIST 경영과학 석ㆍ박사 • 자격증: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No.423915), 소프트웨어 설계 SMT, IMT/EA 전문가, 정보처리기사 • 저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객체지향과 UML 중심의 비즈니스 시스템 분석과 설계 • 연구 분야: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소프트웨어 공학, 소프트웨어 품질,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등이며 SCI(E) 및 SSCI 논문집 등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현병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농경제학과 졸업, 동 대학원 농업경제학 석사 충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경제학 박사) 현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지식재산전문위원회 전문위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UST) 교수 (MOT Professor of UST) 저서: 《신연구개발기획론》(공저), 《R&D 기획》(공저), 《R&D프로젝트관리》(공저)
펼치기
홍정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석사 충북대학교 대학원 경영정보학 박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연구관리과장, 전산실장, 기획부장 충북대학교 경영정보하고가 겸임교수 (사)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상임이사(현), 기술혁신학회 이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부교수(현) 한국천문연구원 정책전략실장(현)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