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비평/이론
· ISBN : 9788970845166
· 쪽수 : 242쪽
· 출판일 : 2014-03-10
목차
서문
1장. 디지털이미지의 액체성, 모체성, 형상성
1. 디지털이미지의 액체성과 견고한 기호의 종말
2. 모체와 형상성
2장. 가상공간 혹은 몸-기계
1. 몸의 기계적 확장과 후기생물학적 주체
2. 카이유아의 원격조형
3. 들뢰즈의 시뮬라크르와 이질조형
4. '회화'로부터 '회화-장치'의 개념으로
3장. 기계에도 性이 있는가?: 사이보그와 테크노페미니즘
1. 다나 해러웨이와 사이보그 정치학
2. 사이버 생태
3. 生기제(bioapparatus): 사이보그적 주체의 여성성
4. '사이보그적 예술'이 존재하는가?
5. 사이보그와 변신의 철학
4장. 바타이유를 통해 본 디지털예술: 시각에 대한 잔혹, 비정형, 위반
1. 잔혹의 두 가지 의미
2. 형태에 대한 공격: '낮은 유물론'과 '비정형'
3. 準형태와 準질료
4. 비정형, 위반, 잔혹의 한계
5장. 상호작용예술과 인공생명예술에서의 재현의 문제
1. 폭발이 아닌 내파로서의 상호작용
2. 잔혹극과 재현의 해체: 아르토와 데리다
3. 우연과 창발성을 재현하기?
6장. 몰입 대 각성
1. 가상공간은 각성 없는 몰입의 공간?
2. "아이가 매 맞는다"는 환상, 그리고 '모체-형상'(Figure-matrice)
3. 환상의 개념과 들뢰즈의 '클로즈업' 개념
4. 가상현실예술에 있어 환상모델의 적용
5. 모리스 베나윤의 작품 《 So.So.So.》의 경우
6. 개리 힐의 작품 《Midnight Crossing》의 경우
7장. 사후적 읽기, 끝나지 않는 작품
1. 결과가 원인에 앞선다?
2. 사후적 읽기의 두가지 국면: 형상적 사후성과 상징적 사후성
3. 형상적 사후성: 오인과 구역(pan)
4. 가상성과 디지털예술
5. 상징적 사후성: 언어 혹은 대타자의 욕망
6. 사후적 진실과 '논리적 시간'
7. 끝나지 않는 작품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