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연출/연기/제작
· ISBN : 978897087116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9-01-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준비
길잡이 글
1장 작품 & 인물 탐구
연기(Play) 기술 장착, 하나 ― Play is Play
1. 스토리텔링
2. 중심 주제 찾기
3. 목표 세우기
2장 연기의 역설
연기(Play) 기술 장착, 둘 ― 바꾸기(모방, mimesis)
1. 배역 사이의 관계 정의
2. 배역으로 바꿔 보기
3장 희곡 분석
연기(Play) 기술 장착, 셋 ― 객관적 읽기 & 초감각적 듣기
1. 희곡 듣기
2. 단위 나누기의 실제
2부 연습(리허설)
길잡이 글
4장 행동
연기(Play) 기술 장착, 넷 ― 몸 심리행동법
1. 행동(Action) 찾기의 조건
2. 배역의 신체화
5장 훈련
연기(Play) 기술 장착, 다섯 ― 관객심리행동법
1. 몸 풀기
2. 호흡 훈련
3. 즉흥 연습
6장 연기의 뷰포인트
연기(Play) 기술 장착, 여섯 ― 이견지견
1. 연기의 뷰포인트 찾기
2. 신체시정적 순간
7장 역창조
연기(Play) 기술 장착, 일곱 ― 언어심리행동법
1. 성격 탐구
2. 성격 부여
3. 기술의 통합
감사의 말
저자소개
책속에서
네미로비치-단첸코의 말처럼 연출가의 작업은 덧없기도 하지만 참으로 혹독하다. 이 책에도 분명 그 혹독함이 배어 있을 것이다. 지난 30년 동안 연출가가 되려고 기를 쓰고 찾아낸 나의 작업 도구들을 내가 어떻게 한국 배우들과의 작업에 적용했는지, 그 과정을 기록한 책이기 때문이다. 불편(?)한 내용은 뺀다고 뺐는데, 느껴지지 않는다면 좋은 일이고 느껴진다면 불감청고소원(不敢請固所願), 무시하고 취할 것만 취하기를.
나는 마치 한 쌍의 DNA 이중나선과 같은 연기술의 두 축,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 발견한 고전적인 연기술인 Play is Play, 그리고 드니 디드로(Denis Diderot)의 『배우에 관한 역설』에서 발견한 ‘연기 역설의 법칙’을 기반으로 「갈매기」를 연출하는 데 적합하다고 생각한 연기 기술들을 흡수·통합해서 연습 과정에 적용했다. 연기술의 적용에 대해 개인적인 평가를 한다면, 딱 이 책이 배우들에게 받아들여지는 만큼의 성공이다.
현실적으로 우리 작업에서 초목표를 올바르게 찾아서 결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대단히 막연해 한다. 스타니슬랍스키 역시 인물들의 초목표를 찾는 어려움에 대해서 ‘길고 힘든 작업’이라고 했다. 알맞은 초목표를 찾기 위해서 많은 오류를 거치고 틀린 초목표를 버리는 과정을 거쳐야 되기 때문에, 심지어는 작품을 무대에 올려보고 난 뒤거나 ‘관객들의 명확한 반응을 얻은’ 뒤에 올바른 초목표가 찾아질 수도 있다고까지 했다. 그러나 미하일 체홉은 수년간 실험해 본 결과, 배우가 처음부터 역할의 목표에 대해 아주 잘 알고 있어야 한다고 충고한다. 그 이유를 배우가 단위 나누기로 찾은 단위의 모든 목표를 실수 없이 ‘논리적이고 일관된 줄기’로 초목표로 합칠 수 있어야 되기 때문이라고 하고 있다. 동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