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30년간의 위안부 왜곡, 빨간 수요일

30년간의 위안부 왜곡, 빨간 수요일

김병헌 (지은이)
미래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1개 13,9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30년간의 위안부 왜곡, 빨간 수요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30년간의 위안부 왜곡, 빨간 수요일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70873374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1-08-14

목차

프롤로그

1부 ‘위안부’란 기억과의 투쟁

1장 소송의 주역, 빨간 원피스와 가죽구두의 이용수 · 15
조변석개 이용수의 ‘증언’ 퍼레이드 / ‘오야지’ 따라 대만 간 이용수, 웬 강제연행? / 가미카제 특공대에 끌려갔다? / 전기 고문의 비밀 / 일본군 위안소, 일본군 위안부는 어디에 / 종전 소식을 알려 준 사람의 정체 / 기억에서 실종된 결혼 이야기 / 진실을 좇다

2장 기억과의 투쟁, 정보공개를 청구하다 · 34
1. 정보공개 청구 · 34
2. 국민신문고 질의와 여성가족부 답변 · 36
3. 청와대 진정 · 38

3장 포기할 수 없는 권리, 이용수와 길원옥을 형사 고발하다 · 44
고발하다 / 처리 결과 / 면담조차 없이 서류만으로 등록된 ‘피해자’라는 이름 /
‘위안부’와 ‘일본군 위안부’

4장 야심이 드러난 공모자들 · 54
일본군에 의해 강제동원된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는 / 감사청구를 하다 / 그리고 발목 잡는 고노 담화 / 네덜란드 여성과 스마랑 사건에서 드러난 고노 담화의 맹점 / 교과서에까지 실린 고노 담화

<부록 1> 더 들여다보기 · 79
사리원역 일곱 여인 납치 미수 사건과 작부가업계약서

2부 믿을 수 없는 사법부의 판결문

5장 1·8 엉터리 판결문을 해부하다 · 95
1. 엉터리 판결문의 기초 사실 · 96
2. 국제재판 관할권 유무에 관한 판단 · 134
3. 본안에 관한 판단 · 138

6장 4·21 엉터리 판결문, 위안부도 차출하나? · 146
기초적 사실관계(원고들의 지위 / 위안소 설치 / 위안부 수) / 국제 사회에서의 위안부 피해자에 관한 문제 제기

7장 벼랑 끝의 쿠마라스와미 유엔보고서 · 168
1. 기초 사실 · 169 (일본군 성노예 / 여자정신대)
2. 위안부 모집 · 173 (사기와 폭력 / 공권력 도원 / 위안소 상태 / 일본군 위안부 수와 접대 인원) / 군 관련 허위 기술 / 위안부들의 증언

<부록 2> 더 들여다보기 · 188
판결문도 교과서도 거짓으로 쓴 조선 여자정신대

3부 국민을 속이고 세계를 속이는 성역화 운동

8장 40원에 팔려간 김학순과 위안부 기림의 날 · 195
특별한 날, 기림의 날 / 최초의 위안부 이력 증언 / 40원에 팔려가는 딸에게 엄마가 사준 노란 스웨터 / 베이징 납치의 진실 / 일본군에게 강간을? / 술병을 들고 위안소를 찾아온 군인들이라니 / 일본군 위안소라며 일반인이 출입을?

9장 기림의 날과 「위안부피해자법」 · 214
위안부 왜곡 현장, 남산 기억의 터 / 이런 건립 취지 / 숫자도 다른 247명과 240명 / 증언집과 다른 ‘이렇게 끌려갔다’ / 의아스러운 / 해방 후 조선인 위안부들의 귀향 / 반세기 침묵을 깬 위안부를 위한 변명 / 수요 시위, 소녀상, 나비기금, 인권, 평화운동의 민낯 / 김순덕의 ‘끌려감’

10장 평화라는 이름의 소녀상 · 241
일제가 빼앗은 소녀의 꿈 / 소녀들이 느꼈을 죽음의 공포 / 증거가 없는 소녀들의 죽음 / 환상 속의 앳된 소녀 / ‘처참한 생활’의 원인 제공자 / 거칠게 잘려진 머리카락 / 진실과 아주 먼 소녀 이야기 / 빈 협약을 위반하면서까지 설치하다

<부록3> 더 들여다보기 · 256
잘못된,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

4부 30년간의 위안부 왜곡, 빨간 수요일

11장 윤미향, 그리고 25년간의 수요일 · 265
25년간의 수요일과 사회적 갈등 / 징용徵用 / 정신대挺身隊 / 처녀 공출供出 / 소녀들의 납치拉致 / 위안부 월수입 / 트럭에 실려 가는 일본군 위안부 / 납치와 유괴, 그리고 강간 / 짐승만도 못한 / 총살 증거 / 수치스런 기억 / 부끄러운 개인사 / 사무치는 원망 / 위안부 피해자 신고

12장 호사카 유지의 외도, 소송을 걸어오다 · 292
1. 2020년 11월 2일자 성명서에 대한 호사카의 주장과 반론 · 294
2. 2020년 11월 9일 집회에 참여한 인도계 여학생에 대한 호사카의 주장과 반론 · 300
3. 2020년 11월 9일자 성명서에 대한 호사카의 주장과 반론 · 304
4. 2020년 11월 16일자 성명서에 대한 호사카의 주장과 반론 · 300
5. 2020년 11월 23일자 성명서에 대한 호사카의 주장과 반론 · 314

13장 교과서에 실린 위안부 · 321
1. 초등학교 『사회』 · 321 / 뭘 가르치려고
2. 고등학교 『한국사』 · 330
위안부 강제동원 · 331 (성노예 / 위안부 수 / 여자정신근로령 / 위안부 학살 / 납치와 인신매매) /
북한 사람, 박영심 / 김학순 활용법 / 2020년도 수능 한국사 17번 / 일본군 위안소 관리인 일기

<부록 4> 더 들여다보기 · 346
야전주보규정의 ‘위안 시설’은 위안소가 아닌 군인 복지시설

· 에필로그 – 1,500차 수요 시위에서 드러난 30년 위안부 운동의 문제, 정직이 답이다 · 352
· 특별 부록 – 그곳에도 사랑은 있었다 · 357

참고 문헌 · 357
찾아보기 · 376

저자소개

김병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한문학과 학사·석사·박사 수료.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수료. 성균관 대학교와 경원대학 강사를 했고 독립기념관 전문위원을 역임했다. 국사교과서연구소 소장, 위안부법폐지국민행동 대표. 하늘 아래 첫 동네로 유명한 경상북도 영양군의 한 작은 시골 마을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글씨를 붓으로 쓰는 예술을 좋아해 시작한 것이 한문 공부였다. 한문을 해야 서예를 제대로 할 수 있겠다 싶어서 성균관대학교에 입학해 한문학 공부를 시작했다. 대학원에 진학해 공부 삼아 유교경전 13경 중 한자 어원을 정리한 ‘이아’의 번역 작업은 그로 하여금 우리 역사바로잡기 활동의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 우리 역사 용어를 쉽게 풀기 위해 교과서를 들여다보다가 역사 왜곡의 심각성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뒤늦게 사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한 것도 그 영향이 크다. 2014년부터 ‘국사편찬위원회’,‘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EBS 한국사 강의’ 등에 문제를 제기해 부단히 싸우면서 교과서 오류들을 바로잡아 나가고 있다. 그가 위안부 문제에 뛰어든 것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실린 수요 집회 사진 속의 어린아이들을 보면서였다. 수요 집회 때마다 아이들을 모아 놓고 ‘성노예’, ‘집단강간’, ‘전쟁범죄’ 등 왜곡된 위안부 인식을 주입시키는 모습이라니. 더구나 교과서 집필자가 일본군이 조선 여인을 강제로 끌고 갔다는 아무런 증거도 답변도 제시하지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을 겪으며 그냥 두고 볼 수 없었다. 위안부 문제는 성인 영역으로 성적 정체성이 정립되지 않은 아이들에게 왜곡된 성의식과 증오심을 심어 주기에 충분하다. 세상 어느 나라에서 그런 폭력적 심성을 아이들에게 심어 준단 말인가. 그가 피켓을 들고 위안부 소녀상 옆에 설 수밖에 없는 이유다. 모임을 만들어 위안부 왜곡 중단을 요구하는 집회를 이어 가고 있다. 이 책 『빨간 수요일』의 출발점이 되었다. 이 책은 이 나라 위안부 역사 왜곡의 해독제가 될 것이다. 역서 『화사 이관구의 언행록』(독립기념관-공역, 2003) 『역주 이아주소爾雅注疏 전6권』(한국연구재단 동서양 명저 번역-공역, 2004) 『중정 남한지』(광주문화원-공역, 2005) 『국역 사재집思齋集』(아담엔달리-공역, 2016) 『국역 촌가구급방(村家救急方)』(아담엔달리-공역, 2016) 논문 「효종대왕 영릉의 택산擇山 논쟁」 「보각국존비 집자의 특성과 일연의 속성 고증」 저서 『완벽대비 한자능력검정시험1~9권(2~8급)』(조선북스, 2002) 『국사, 이대로 가르칠 것인가!』(블루앤노트,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보퉁이를 살짝 들추어 보니 과연 빨간 원피스와 가죽구두가 보였다. 그걸 받고 어린 마음에 얼마나 좋았는지 모른다. 그래서 그만 다른 생각도 못하고 선뜻 따라나서게 되었다.”
- 이용수 증언 중에서


충격적인 것은 윤미향을 비롯한 정대협 관련자들이 공장에서 일을 했던 근로 여성들을 뜻하는 정신대挺身隊와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돈을 번 위안부慰安婦조차 구분하지 못하고 싸잡아 ‘정신대’라는 이름으로 ‘위안부’ 팔이를 했다는 것이었다.


『아시아경제』 2014년 8월 18일자 보도에 따르면, 1990년대 보건복지부에서 피해자 등록을 받을 때에는 정부 차원의 면담조차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진술서, 사진, 목격자 증언 등이 담긴 서류만으로 심사를 거쳐 피해자 등록이 진행된 것이다. 당시 정부 차원의 면담을 대신한 것은 ‘한국정신대연구소’ 등 위안부 관련 시민단체였으며, 여성가족부는 2004년 12월부터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이하 지원위원회)’에 이 조사 업무를 의뢰했다. 조사 과정에서 피해자 대부분이 고령인데다 치매 등 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정확한 증언을 듣기란 어려웠다고 한다. 조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는 의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