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치과학 > 예방 치과학
· ISBN : 9788970890654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08-03-01
목차
Chapter 1 예방치학의 개념
1. 구강건강의 개념 ㆍ 5
1) 건강(健康, Health) 개념의 변천
2) 구강건강의 개념
3) 구강건강관리의 필요성
2. 구강상병의 관리원리 ㆍ 8
1) 구강상병의 관리원리
2) 구강병 발생요인
3) 필요요인과 충분요인
3. 구강역학 ㆍ 9
1) 역학의 정의
2) 질병 발생양태에 따른 분류
3) 역학현상
4) 구강역학 연구과정
4. 구강상병 관리원칙ㆍ 12
1) 구강상병 관리원칙
2) 구강병 진행과정의 구분
5. 구강건강 관리과정 ㆍ 13
1) 기본 구강상병 관리과정
2) 개인 구강상병 관리과정
3) 집단 구강상병 관리과정
4) 건강관리
6. 보건진료제도 ㆍ 17
1) 보건과 진료
2) 1차진료와 2차진료
3) 구강보건진료제도
4) 현대 구강보건진료제도의 요건
7. 치학의 분류 ㆍ 20
1) 치학의 분류
2) 치의사와 양의사
Chapter 2 치아 우식병
1. 치아우식병의 종류 ㆍ 29
1) 치아우식병이란?
2) 정도에 따른 분류
3) 부위에 다른 분류
4) 조건에 따른 분류
5) 치아우식 통계
2. 치아우식병의 발생과 분포 ㆍ 33
1) 치아우식의 발생
2) 치아우식 발생율의 급격한 증가
3) 치아우식 발생과 설탕
4) 분포와 발생현상
3. 치아우식병 발생요인 ㆍ 35
1) 숙주요인
2) 환경요인
3) 병원체요인
4. 발생요인 작용기구 ㆍ 41
1) 발생이론의 종류
2) 광질이탈
3) 치근우식병
5. 치아우식병의 예방법 ㆍ 45
1) 불소이용법(치질 내산성 증가법)
2) 치면열구 전색법
3) 치면세균막 관리법
4) 음식물 관리
Chapter 3 치면세균막과 광질 이탈
1. 치면세균막(dental plaque)의 형성 ㆍ 55
1) 치면세균막 형성의 단계
2) 치면세균막 내 미생물의 변화
3) 제3단계(mutan의 형성)
2. 치면세균막 내 세균 ㆍ 57
3. 치면세균막의 세균부착기구 ㆍ 60
1) 소수성결합(hydrophobic bonding)
2) 칼슘결합(calcium binding, calcium bridging)
3) 세포외다당류(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ECP,즉 glucan)
4) 부착소(adhesin)
4. 치면세균막의 종류 ㆍ 64
1) 치은연상 치면세균막(supra-gingival plaque)
2) 치은연하 치면세균막(sub-gingival plaque)
5. 치석ㆍ 64
6. 법랑질의 구조와 우식병소 ㆍ 65
1) 법랑질내 초기 우식병소
2) 법랑질의 기원과 법랑소주
3) 수산화인회석의 분자결정구조
4) 산에 의한 탈회효과 (스테판 곡선)
Chapter 4 치주병과 기타구강병의 예방
1. 치주조직과 치주병 ㆍ 75
1) 치주조직의 구성
2) 치주병의 종류
3) 치주병의 발생요인
4) 치면세균막의 병원성
5) 치주병의 유병률
6) 치주질환과 관련있는 미생물
7) 치주조직의 면역학적 반응
8) 치주병의 예방법
2. 부정교합의 예방 ㆍ 91
1) 부정교합의 유병률(정상교합과 부정교합)
2) 부정교합의 발생요인
3) 부정교합의 분류
4) 부정교합의 예방법
3. 구강암의 예방 ㆍ 96
1) 구강암의 정의
2) 구강암의 발생요인
3) 구강암의 분포와 빈도
4) 구강암의 예방
4. 반점치의 예방 ㆍ 98
5. 치경부 마모증의 예방 ㆍ 99
6. 선천성 기형의 예방 ㆍ 100
7. 직업성 구강상병의 예방 ㆍ 100
1) 산업구강보건의 영역
2) 직업성 구강병-치아부식증, 기타
3) 직업병의 구강증상
4) 노동자의 구강건강관리
Chapter 5 구강위생용품
1. 칫솔과 세치제 ㆍ 107
1) 칫솔(toothbrush)
2) 세치제
2. 개인구강위생보조용품 ㆍ 118
1) 치실(dental floss)
2) 치간칫솔(interdental brush, proxabrush)
3) 고무치간자극기(rubber stimulator)
4) 첨단칫솔(end-tuft brush)
5) 물사출기(water-pik)
6) 혀세척기(tongue cleaner)
7) 이쑤시개(tooth picks)
8) 양치액(mouth rinse)
9) 잇몸 맛사져(gingival stimulator)
Chapter 6 잇솔질 교습법
1. 잇솔질 목적 ㆍ 131
2. 잇솔질 교습법 ㆍ 131
1) 잇솔의 운동 형태
2) 잇솔질 방법
3. 일반인을 위한 잇솔질 교습법(회전법) ㆍ 134
1) 잇솔질 방법 선정
2) 잇솔질 술식
4. 특수대상을 위한 잇솔질 교습 ㆍ 138
1) 치주질환자
2) 고정성 치열교정장치 장착 환자
3) 가공의치 장착 환자
4) 인공치아 매식자(implant)
5) 소아환자
6) 총의치 및 국소의치 장착 환자
7) 치경부마모증 환자
8) 장애 환자
Chapter 7 전문가 치면세균막 관리
1. 치면세마(oral prophylaxis)의 개념 ㆍ 155
1)치면세마의 개요
2) 치면세마의 목적
3) 치면세마 적용대상
4) 비외과적인 치주치료의 효과
5) 치면세마 처치 후 관리
2. 치간청결물리요법(PMTC: Professional Mechanical Tooth Cleaning) ㆍ 159
1) 치간청결물리요법 적용대상
2) 치간청결물리요법 사용기구
3) 치간청결물리요법 술식과정
3. 와타나베법 (toothpick method) ㆍ 164
1) 와타나베법( toothpick method )이란?
2) 와타나베법의 적용과 효과
3) 와타나베법의 실제
Chapter 8 수돗물 불소농도조정
1. 수돗물 불소농도조정법의 개발과정 ㆍ 173
1) 제1기 : 발견기 (1908-1933)
2) 제2기 : 역학연구기 (1933-1945)
3) 제3기 : 실용기(1945-1954년)
4) 제4기 : 확대기(1954년-현재)
2. 불소 이용의 이론적 근거 ㆍ 179
1) 불소의 성질과 분포
2) 불소의 생리학과 신진대사(흡수, 저류, 배설)
3) 치아우식병의 예방작용
3. 수돗물 불소농도조정법 ㆍ 185
1) 불소농도조정사업의 정의
2) 마시는 물의 수질기준
3) 적정 불소이온농도
4) 우식예방효과
5) 불소농도조정사업의 경제성
6) 불화물 투입방식
4. 불소와 인체건강 ㆍ 192
1) 초기연구
2) 그 후의 연구들
3) 불소의 독성
4) 치아불소증(반점치)
5. 불소농도조정사업의 효과적 실시방안 ㆍ 198
1) 대중의 태도와 지식
2) 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조직적 반대
3) 불소농도조정사업에 대한 법원의 결정
4) 중앙정부의 지원
6. 불소농도조정사업의 실천전략 ㆍ 200
1) 여러가지 반대주장들
2) 반대자들의 퍼스날리티
3)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시행전략
7. 기타 불소이용법 ㆍ 211
1) 소금 불화법
2) 학교급수 불소농도조정법
3) 불소보충복용제
Chapter 9 불소국소도포
1. 불소국소도포의 배경 ㆍ 221
2. 국소도포용 불화물의 종류 ㆍ 221
1) 불화나트륨(NaF)
2) 불화석(SnF2)
3) 산성불화인산염(APF)
3. 불소국소도포방법 ㆍ 223
1) 불소용액도포법
2) 불소 겔(gel)도포법
3) 불소이온도입법
4) 불소바니쉬
5) 기타 불소국소도포
4. 불소국소도포의 효과 ㆍ 239
5. 불소국소도포의 안전성 ㆍ 240
Chapter 10 치면열구전색
1. 치면열구전색의 개념 ㆍ 245
1) 치면열구전색의 정의
2) 치면열구전색의 개발과정
3) 충전과 전색의 비교
2. 치면열구전색의 대상치아 ㆍ 248
1) 대상치아 선정기준
2) 대상치아 선정 시 고려요인
3. 치면열구전색재 ㆍ 250
1) 전색재의 종류
2) 투명 전색재와 유색 전색재의 비교
3) 전색재의 중합
4. 광조사기 ㆍ 252
1) 광원
2) 광조사기 사용방법
5. 치면열구전색과정 ㆍ 253
1) 광중합형과 자가중합형
2) 변형전색과정
3) 기구 및 재료
6. 전색상태 및 전색유지 평가 ㆍ 264
1) 전색상태 평가
2) 전색재유지의 평가
3) 탈락율 검사(잔존률 검사)
4) 전색재유지의 요구조건
7. 치면열구전색의 우식예방효과 ㆍ 267
Chapter 11 구강건강과 식품
1. 구강건강과 영양소 ㆍ 273
1) 탄수화물(carbohydrates, 당질, 함수탄소)
2) 단백질(protein)
3) 지방(fat)
4) 무기질(mineral)
5) 비타민(vitamin)
2. 구강질환과 식품 ㆍ 277
1) 치아우식병과 식품
2) 치주질환과 식품
3. 감미제 ㆍ 279
1) 설탕(sucrose)
2) 자일리톨 (xylitol)
3) 기타 인공감미제
4. 구강건강을 위한 식이조절 ㆍ 284
1) 식이조절의 정의
2) 식이조절의 목적
3) 식이조절의 대상자
4) 식이조절 과정
5. 식이조절을 통한 어린이와 청소년기의 우식 예방법 ㆍ 289
Chapter 12 우식발생요인 검사
1. 우식발생요인 검사 ㆍ 299
1) 우식발생요인 검사의 목적
2) 우식발생요인 검사의 대상
3) 우식발생요인 검사의 요건
4) 우식발생요인 검사법
2. 위상차 현미경을 이용한 구강미생물 검사법 ㆍ 313
1) 위상차현미경의 원리
2) 위상차현미경 사용의 필요성
3) 위상차현미경을 이용한 구강 내 세균검사 방법
4) 구강 내 세균의 판독법
Chapter 13 특수구강 건강관리
1. 흡연자 ㆍ 321
1) 개념과 원인
2) 역학적 특성
3) 구강증상
4) 구강건강관리
2. 노인 ㆍ 323
1) 특성
2) 구강건강상태
3) 구강건강관리
3. 임산부 ㆍ 327
1) 특성
2) 구강건강상태
3) 구강건강관리
4. 장애인 ㆍ 327
1) 장애의 개념과 정의
2) 장애 종류별 구강보건관점에 따른 분류
3) 장애인의 구강건강관리
5. 입원환자 ㆍ 339
1) 입원환자의 구강상태
2) 거동이 가능한 환자
3) 거동이 불가능한 환자
6. 전신질환자 ㆍ 341
1) 당뇨병환자
2) 만성신부전 환자
3) 고혈압환자
4) 간질환
5) 약물복용자
6) 암환자
7. 구취 ㆍ 345
1) 구취의 개념과 정의
2) 구취의 발생원리와 원인
3) 구취의 검사법
4) 구취의 예방과 치료방법
8. 지각과민증 ㆍ 355
1) 지각과민증의 개념과 정의
2) 지각과민증의 증상과 종류
3) 지각과민증의 예방과 치료방법
9. 구강건조증 ㆍ 357
1) 정의와 원인
2) 구강증상과 종류
3) 치료방법 및 예방
4) 구강건강관리
Chapter 14 구강보건교육
1. 구강보건교육이란? ㆍ 363
2.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동기유발 ㆍ 365
1) 생리적욕구
2) 안전의 욕구
3) 사회적 욕구 (소속과 사랑의 욕구)
4) 존경의 욕구 (자존의 욕구)
5) 자아실현의 욕구
3. 예방치학과 구강보건교육학 ㆍ 367
4. 구강보건교육의 활용 ㆍ 369
1) 적용법
5.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기초 철학 ㆍ 372
Chapter 15 공중구강보건 활동
1. 공중구강보건의 정의 ㆍ 377
2. 공중구강보건과 치과위생사의 역할 ㆍ 378
3. 공중구강보건 캠페인 ㆍ 379
4. 공중구강보건프로그램 ㆍ 379
1) 우리나라 보건소 구강보건실 운영
2) 일본의 공중구강보건
Chapter 16 학교구강보건사업
1. 학교구강보건의 필요성 ㆍ 383
2. 학교구강보건사업의 내용 ㆍ 383
1) 구강검진
2) 구강보건교육
3) 계속구강건강관리
4) 우리나라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3. 외국의 학교구강보건사업 ㆍ 386
1) 뉴질랜드(New Zealand)의 학교구강보건
2) 싱가폴(Singapore)의 학교구강보건
3) 말레이시아(Malaysia)
4) 덴마크(Denmark)
5) 아일랜드(Ireland)
6) 중국(Wuhan, China)
Chapter 17 구강보건-현황과 전망
1. 우리나라의 구강보건 상황 ㆍ 391
1) 건강증진 목표
2) 구강건강 수준
3) 구강건강 지출비용
4) 구강보건정책목표
2. 구강보건정책 ㆍ 392
1) 수돗물 불소농도 조정사업 확대추진
2) 학교구강보건사업
3) 구강보건교육 및 홍보사업
4) 구강보건사업시설 확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