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비평/칼럼 > 교육비평
· ISBN : 9788971053867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00-05-31
목차
교육열의 개념 재정립 / 이종각
1. 교육열에 대한 비난의 논리와 재인식의 논리
2. 교육열에 관한 개념화의 시도
3. 일상적 용어로부터 학술적 분석도구로
4. 개념화 시도의 몇 가지 사례
5. 정의와 정의의 분석
6. 개념화 시도의 새로운 방향
7. 주요 용어들 간의 차이점과 관련성
8. 개념화 작업의 방향
9. 교육열 기본형의 가정과 변화과정의 모색
10. 교육열 기본형
11. 일상언어 분석을 통한 교육열 기본형의 추론
12. 교육열의 역사적 변화 : 초기화와 현재형의 탄생
13. 교육열 형성 배경에 관한 기존 논리의 검토
14. 교육열 형성 배경에 관한 새로운 논리의 구축
15. 교육열의 속성과 운동법칙
결론
교육열의 역사적 전개와 성격/최봉영
1. 논의를 시작하며
2. 개화기 이전 전통사회와 교육열
3. 유교적 자아실현과 입신양명
4. 입신양명적 교육관과 과시(科試) 위주의 교육열
5. 개화기 이후 근대사회와 교육열
6. 근대교육의 전개와 교육관의 변화
7. 출세지향적 교육관과 입시 위주의 교육열
8. 결론
입시제도를 통한 배제와 교육열/이길상
1. 문제의 제기
2. 교육열 과열화의 원인과 입시제도
3. 국가권력의 교육관여와 교육열
4. 국가형성과정과 교육에 대한 사회적 수요 확장
5. 국가권력의 입시관여와 교육열
'교육열 개념 모형'에 터한 과열 과외정책 재분석/박남기
1. 서론
2. '박남기 교육열 개념 모형'
3. 교육열 개념 구조
4. 과열 교육열 발생 원인
5. 개인의 교육열 발현 과정 분석 모형
6. 최초의 직접적인 과열 과외 대책-7 . 30 교육개혁-분석
7. 7 . 30 교육개혁 이전의 정책
8. 7 . 30 교육개혁안의 뿌리
9. 7 . 30 교육개혁안 개요
10. 7 . 30 교육개혁안 분석
11. 7 . 30 교육개혁안이 후속 과열 과외(사교육비 경감)
결론 ...181
한국인의 교육열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해/오만석
1. 서론
2. 교육열의 의미와 특성
3. 교육열의 사회문화적 이해
4. 교육열 문제의 중심 영역
5. 교육열의 사회문화적 구조
6. 한국의 교육문화로서 근대성과 식민성
7. 결론 : 한국 교육의 새로운 지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