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부동산
· ISBN : 9788971077979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25-08-25
책 소개
목차
제2판 서문 • 4
초판 서문 • 6
제1장 부동산학 총론
제1절 부동산의 개념
1. 물리적(기술적) 개념 • 20
2. 경제적 개념 • 24
3. 법률적(제도적) 개념 • 24
제2절 부동산의 분류
1. 토지의 분류 • 26
2. 주택의 분류 • 31
3. 건물의 분류 • 34
제3절 부동산(토지)의 특성
1. 토지의 자연적 특성 • 37
2. 토지의 인문적 특성 • 46
제2장 부동산 경제론
제1절 부동산과 경제분석
1. 부동산 경제학의 의의 • 51
2. 부동산 시장의 수요-공급 모형 • 52
3. 도시 공간구조의 단핵도시 모형 • 66
4. 자산가격 결정모형 • 75
5. 부동산 가격거품 • 87
제3장 부동산 금융론
제1절 부동산 금융 시장과 상품
1. 부동산 금융의 개념 • 97
2. 부동산 금융 시스템 • 98
3. 부동산 금융상품의 유형 • 100
4. 이자율의 이해 • 104
제2절 주택담보대출 시장(1차 저당시장)
1. 주택담보대출의 의의 • 107
2. 주택담보대출의 유형 • 109
3. 모기지 계산법 • 114
4. 주택담보대출의 위험 • 117
5. 변동금리 대출(ARM) • 120
6. 주택담보대출 시장과 정부의 역할 • 121
제3절 주택담보대출의 유동화 시장(2차 저당시장)
1. 2차 저당시장의 발달 • 125
2. MBS • 126
3. MBB와 CMO • 128
제4절 우리나라 부동산 금융 추이
1. 부동산 금융의 발전과정 • 130
2. 부동산 금융의 상품별 추이 • 135
제4장 부동산 투자론
제1절 투자의 의의와 부동산 투자의 특징
1. 투자의 의의 • 141
2. 부동산 투자의 장점과 단점(금융투자 대비) • 142
3. 부동산 투자결정 시 고려사항과 주요 변수 • 147
제2절 부동산 투자분석을 위한 재무적 도구
1. 화폐의 시간가치(Time Value of Money) • 149
2. 현금흐름(Cash Flow)의 계산 • 153
제3절 부동산 투자의 타당성 분석기법
1. 할인현금흐름(수지)분석법(DCF법) • 158
2. 비할인기법 • 165
제4절 부동산 투자의 위험과 수익
1. 위험과 수익(률)의 의의와 종류 • 172
2. 수익률과 가치 비교에 따른 투자 판단 • 176
3. 위험과 수익의 관계 • 178
4. 위험의 분석과 관리 • 185
제5장 부동산 정책론
제1절 부동산 문제
1. 부동산 문제의 특성 • 193
2. 부동산 문제의 구분 • 195
제2절 부동산 정책
1. 부동산 정책의 기본 개념 • 204
2. 우리나라 부동산 정책의 유형 • 204
제3절 정부의 시장개입
1. 정부의 시장개입 방법 및 기능 • 207
2. 정부의 시장개입 이유(부동산 정책의 기능) • 209
제4절 토지정책
1. 용도지역·지구제 • 216
2. 토지적성평가제도 • 222
3. 개발이익환수제도 • 224
4. 토지비축·토지은행 제도 • 226
5. 공영(공공)개발 • 228
6. 토지구획정리사업 • 229
제5절 주택정책
1. 주택정책 및 주택공급정책 • 232
2. 주택임대정책 • 234
3. 분양주택정책 • 242
제6절 조세정책
1. 부동산 조세의 개념 • 248
2. 조세귀착 • 249
제6장 부동산 개발론
제1절 부동산 개발이론
1. 부동산 개발의 기본 개념 • 255
2. 부동산 개발의 분류 • 256
3. 부동산 개발의 과정 • 258
4. 부동산 개발의 참여자 • 260
5. 부동산 개발의 위험 • 265
제2절 부동산 개발 분석
1. 부동산 분석 • 267
2. 부동산 분석의 유형 • 267
3. 부동산 분석의 체계 • 275
제3절 부동산 개발방식
1. 신개발사업 • 277
2. 택지개발사업 • 279
3. 공영개발사업 • 282
4. 재개발 • 283
5. 민간개발 • 285
6. 민간자본유치 사업방식 • 288
7. 기타 개발방식 • 293
제4절 개발 관련 이슈들
1. 토지개발과 토지보존 • 294
2. 개발권양도제 • 296
3. 부동산 개발 과정의 주요 변화 • 296
제7장 부동산 감정평가론
제1절
감정평가제도
1. 감정평가의 이론적 개념 • 303
2. 감정평가의 사회성·공공성 • 305
3. 감정평가사의 직업윤리 • 306
4. 감정평가의 분류 • 310
제2절 부동산 가치이론
1. 부동산 가격의 의의 • 314
2. 부동산 가격 • 317
3. 부동산 가치발생요인 • 318
제3절 부동산 가치형성원리
1. 부동산 가치형성요인 • 322
2. 부동산 가치의 형성과정 • 323
3. 가치형성요인의 내용 • 324
4. 가치형성요인 분석 시 주의사항 • 331
제4절 부동산 가치제원칙
1. 가치제원칙의 이해 • 332
2. 가치제원칙의 유형 • 333
3. 최유효 이용 분석 • 347
제5절 지역분석 및 개별분석
1. 지역분석 • 350
2. 개별분석 • 359
제6절 감정평가 3방식 6방법
1. 원가방식 • 363
2. 비교방식 • 370
3. 수익방식 • 374
제7절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1. 표준지공시지가 • 379
2. 개별공시지가 • 381
3. 표준주택가격 • 385
4. 개별주택가격 • 387
제8장 최근 부동산 환경의 변화와 새로운 이슈
제1절 디지털 기술과 부동산 산업의 변화
1. 프롭테크 • 393
2. AI 기반 가치평가 및 시장 예측 • 396
3. 스마트 시티와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 398
제2절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와 부동산
1. ESG 개념의 확산과 부동산 적용 • 40
2. ESG 적용 부동산 프로젝트 사례와 시사점 • 402
3. 한국의 부동산 관련 ESG 정책 • 403
제3절 부동산 조각투자: 자산소유의 민주화
1. 조각투자 개요 및 구조 • 405
2. 블록체인과 부동산 조각투자 • 406
제4절
포스트 코로나19(Post COVID-19) 시대 부동산 산업의 변화
1. 주거공간의 복합화와 공간 수요의 변화 • 408
2. 비대면 기반시설 수요의 확대 • 409
3. 공유경제 기반 부동산 서비스의 위기와 회복 가능성 • 410
4. 공공 오픈스페이스에 대한 수요 확대 • 411
5. 오피스 시장의 구조 변화 • 411
참고문헌 • 413
찾아보기 •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