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1416969
· 쪽수 : 391쪽
· 출판일 : 2005-06-10
목차
1권
단계 이규호 교수 약력
주요 저서 목록
발간사
제1권 편집자 서문
증보판을 내면서
머리말
I. 현대물리학과 철학
1. 현대물리학에 대한 철학의관심
2. 자연관의 변천
3. '원자' 개념에 대해서
4. 유물론의 위기
5. 인간의 위치
6. 상대성이론의 의의
7. 결정론의 동요
8. 현대철학의 성격
II. 변증법적 철학
1. 변증법적 철학의 역사
2. 변증법적 철학의 본질
III. 삶의 철학
1. 삶의 철학의 개요
2. 삶의 철학의 본질
3. 삶의 철학의 방법론
4. 선험철학과의 관계
5. 경험주의와의 관계
6. 기본개념'삶'
7. 삶의 시간
8. 삶의 자기형식
9. 이성의 미흡
10. 진리의 기준
11. 삶의 상승과 예술
12. 삶의 윤리
IV. 현상학
1. 현상학의 의미
2. 현상학의 방법
3. 기본개념 '지향성'
4. 의식의 철학과 '삶'
5. 현상학적 시간
6. 진리와 존재
7. 존재의 구성
8. 현상학적인 세계
9. 상호주관성과 객관적 세계
10. 막스 셸러의 현상학
V. 실존철학
1. 삶과 실존
2. 키에르케고르의 실존
3. 야스퍼스의 실존 해명
4. 하이데거의 실존 분석
5. 실존의 본래성과 비본래성
6. 실존과 세계
7. 실존과 죽음
8. 실존과 시간
9. 실존철학의 극복
VI. 철학적 인간학
1.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신비
2. 철학적 인간학의 역사
3.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4. 신학적 인간관
5.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6. 막스 셸러의 인간학
7. 카시러의 상징적 인간학
8. 란트만의 문화적 인간학
9. 볼르노의 '새로운 인정'
VII. 해석학과 언어철학
1. 해석학의 의미
2. 현대철학의 진리관
3.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4. 딜타이의 삶의 해석학
5. 하이데거의 실존의 해석학
6. 해석학의 본질
7. 언어의 철학적 의미
8. 언어와사유의 현실
9. 언어와 이해
VIII. 사회철학(1)
비판이론의 방법론
1. 비판이론의 개념
2. 비판이론의 과제와 목표
3. 비판이론의 통일성
4. 비판이론의 방법론
5. 비판이론의 학문적 성격
IX. 사회철학(2)
비판이론의 교육철학
1. 비판이론의 교육개념
2. 도야의 이념과 비판이론
3. 인간교육의 사회적 조건
4. 프로이드이론과 교육
5. 비판이론의 상대주의
Bibliography
인명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
2권
제1부 앎과 삶
- 해석학적 지식론 -
머리말
1. 지식과 행동
2. 인식론의 운명
3. 기점의 모색
4. 인간과 지식
5. 앎의 순환성
6. 앎의 기반, 삶
7. 행동의 우위성
8. '전이해'의 분석
9. 의견과 지식
10. 반성과 비판
11. 감성적 지각
12. 과학적 지식
13. 과학주의의 미신
14. 가설과 전이해
15. 일차원적 지식
16. 인식과 존재
17. 가치중립성
18. 언어와 인식
19. 사실과 경험
20. 진리의 문제
bibliography
제2부 대화의 철학
서문
제1장 지식사회학과 대화: 범주적 명령과 범주적 대화
1. 대화의 윤리적 의미
2. 이성에 대한 비판
3. 현대화와 도구화
4. 과학과 과학주의
5. 전인적인 인식
6. 합리화의 꿈과 정조
7. 왜 대화인가?
8. 진리의 길, 대화
9. 대화의 본질과 윤리
제2장 철학의 길로서의 현상학: 상호 주관성과 진리
1. 현상학의 의미
2. 브렌타노, 의식의 지향성
3. 후설, 현상학의 창시자
4. 하이데거의 기초적 존재론
5. 사르트르의 현상학적 존재론
6. 메를로 - 퐁티의 신체의 현상학
7. 현상학과 현상학적 미학
8. 현상학과 역사적 이성
9. 현상학의 철학적 특성
제3장 철학으로서의 해석학: 역사와 그 해석
1. 고대로부터의 특수해석학
2. 일반해석학의 성립
3. 정신과학의 방법론으로서의 해석학
4. 실존철학적 해석학의 시도
5. 현대철학으로서의 해석학
6. 해석학적 로고스학의 출발
7. 철학으로서의 해석학의 특징
제4장 포스트모던과 말놀이: 소크라테스의 이로니
1. 세기초의 전망
2. 지구촌과 상징화 현상
3. 사실과 진리의 소멸
4. 허무주의의 유희
5. 포스트모던의 정체
6. 언설의 유희화와 탈구축
7. 데리다, 차이의 철학
8. 포스트모던과 소피스트
9. 소크라테스의 아로니와 대화
참고문헌
인명찾아보기
개념찾아보기
3권
제3권 편집자 서문
제1부 말의 힘
머리말
제1장
1. 문제의 성격
2. 다루는 방법
3. 이야기의 현상
4. 말의 의미
5. 말과 기호
6. 말의 심리현상
7. 말과 생각
8. 말과 얼
9. 우리말의 논리
10. 말과 삶
11. 말과 사람됨
12. 말의 변질
13. 말과 교육
14. 말과 철학
제2부 거짓말 참말 그리고 침묵
프롤로그
제1장
1. 말놀이
2. 기호론
3. 중간세계로서의 언어
4. 메타포와 비유
5. 언어의 틈새론
6. 거짓말
7. 참말을 위해서
8. 침묵의 순간
제2장
1. 포스트모던의 말놀이
2. 말의 공해와 푸른 말
3. 말과 허무주의
4. 언어철학과 인문학
5. 가정의 윤리와 언어
Bibliography
인명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
4권
제4권 편집자 서문
제1부 사람됨의 뜻
머리말
증보판에 붙이는 말
1. 문제의 성격
2. 문제의 뜻
3. 사람의 이성
4. 이성의 몰락
5. 이성의 회복
6. 생물학적 특징
7. 사람됨의 자유
8. 얼과 사람됨
9. 동일성과 믿음성
10. 만남과 사람됨
11.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12. 사회화로서의 사람됨
13. 기술사회와 인간조종
14. 성숙한 이성의 실현
philosophy as a study of man
bibliography
제2부 인간의 사회화와 사회의 인간화
머리말
1. 인간교육의 개념과 이데올로기 비판
2. 교육에 있어서의 사회화의 문제
3. 인간의 사회화와 사회의 인간화
4. 통일에 대비하는 교육의 화제
5. 마르크스주의적 교육과 그 교육학의 동향
6. 우리 교육의 자율성의 문제
7. 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정치교육
8. 비판적 사회의식을 위한 정치교육
9. 우리 교육이 지향할 인간상
10.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는 접근하는가
인명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
5권
제1부 삶의 철학과 교육
- 삶의 철학을 통한 교육현상의 이해 -
제1장 삶과 교육
1. 삶의 철학
2. 삶의 개념
3. 인간에 대한 이해
4. 교육의 기능
5. 무의식적 교육
6. 문화의 전승
7. 인간교육의 문제
8. 개성의 개념
9. 문화교육학의 이론
10. 도야의 이념의 비판
11. 교육의 4차원
12. 교육의 자율성
제2부 실존철학과 교육
- 교육현상에 대한 실존철학적 관찰 -
제2장 실존과 교육
1. 실존철학의 발단
2. 실존의 개념
3. 키에르케고르
4. 실존의 본래성과 비본래성
5. 교육철학적 출발점으로서의 실존철학
6. 교육학적 개념으로서의 위기
7. 교육학적 개념으로서의 각성
8. 충고의 교육학의 의의
9. 상담의 교육적 기능
10. 만남의 개념
11. 정신적 세계 안에서의 만남
12. 교육학적 문제로서의 만남
13. 교육의 모험적 성격
제3부 인간학과 교육
- 교육인간학을 위한 시도 -
제3장 인간과 교육
1. 철학적 인간학의 동향
2. 경험과학들과 인간학
3. 경험과학의 인간학적 경향
4. 교육학과 인간학
5. 교육인간학의 배경
6. 교육인간학의 성립
7. 심리학에 대한 비판
8. 심리학의 인간관
9. 심리학의 인간학적 모델
10. 인간의 생물학적인 특징
11. 문화와 인간의 관계
12. 문화와 교육
13. 인간성의 첫 조건
제4부 언어철학과 교육
- 현대 언어철학의 교육적 의의 -
제4장 언어와 교육
1. 언어철학의 영향
2. 교육과 언어
3. 대화의 의미
4. 대화의 교육적 의미
5. 언어의 본질
6. 말의 의미
7. 중간세계로서의 언어
8. 생활과 언어
9. 교육적 언어
10. 말과 결단
11. 언어의 위험
12. 인간형성과 언어
13. 인격과 말
14. 국민교육과 우리말
제5부 사회철학과 교육
제5장 사회철학과 교육
1. 교육에 있어서의 사회화의 문제
2. 인간교육의 개념과 이데올로기의 비판
3. 인간해방을 위한 교육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
6권
제6권 편집자 서문
머리말
제1장 이데올로기의 개념과 그 양가성
1. 이데올로기의 의미
2. 이데올로기의 역사
3. 만하임의 이데올로기론
4. 이데올로기 비판의 역사
5. "구실"과 "신화"로서의 이데올로기
6. 현대의 탈이데올로기 논의
7. 이데올로기의 보호기능
제2장 이데올로기와 실천적 진리
1. 이데올로기와 진리
2. 진리의 양면성
3. 철학의 전통적 진리관
4. 마르크스의 진리관
5. 니체의 진리관
6. 이데올로기의 진리비판
7. 자유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8. 보수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9.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10. 이데올로기와 정치적 사유
제3장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간학적 성찰
1. 넓은 의미에서의 이데올로기 개념
2. 넓은 의미에서의 이데올로기의 역사
3. 이데올로기의 통합기능
4. 이데올로기의 세계해석 기능
5. 이데올로기의 행동조종 기능
6. 이데올로기에 대한 두가지 태도 유형
7. 이데올로기에 대한 형태론적 관찰
8. 인간의 삶과 이데올로기의 필수성
제4장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데올로기의 비판
1. 마르크스의 인간소외론
2.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
3. 마르크스의 경제이론
4. 마르크스의 인간소외론 비판
5.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 비판
6. 마르크스의 경제이론 비판
7. 레닌의 제국주의 이론
8. 레닌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9. 레닌의 제국주의 이론 비판
10. 레닌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비판
제5장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운명
1. 자유주의와 자유의 문제
2. 자유의 개념과 다원성 및 복합성
3. 철학과 종교의 자유의 개념
4. 고대와 중세의 자유의 개념
5. 근세의 자유의 개념
6. 현대산업사회에 있어서의 자유
7.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있어서의 자유
8. 이데올로기와 자유의 형태
9. 산업사회에 있어서의 자유의 위기
10. 자유주의의 극복
제6장 제3세계의 이데올로기적 고투
1. 이데올로기와 제3세계의 등장
2. 제3세계와 빈곤의 문제
3. 제3세계의 발전의 특수성
4. 제3세계의 역사와 식민주의
5. 제3세계의 정치과열
6. 제3세계의 정치체제의 정당성
7. 제3세계의 정치체제의 효율성
8. 제3세계에 있어서의 사회의 계층화
9. 제3세계와 경제적 자주성
제7장 제3세계의 신민족주의의 의의
1. 신민족주의의 대두
2. 제3세계의 민족주의
3. 민족의 개념과 그 의미
4.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특수성
5. 제3세계의 민족주의 논쟁
6. 민족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
7. 신민족주의의 현황
8. 신민족주의의 장래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
7권
제1부 교육과 정치
머리말
개정판 서문
1. 정치적 과제로서의 교육개혁
2. 교육의 사회화의 의미
3. 교육의 화학화의 의미
4. 교육의 자율성의 한계
5. 교육투자와 경제발전
6. 교육연구의 의의와 기능
7. 과학과 정치와 공중
8. 국민 정치교육의 문제
9. 교육행정의 합리화
10. 자유세계의 동향
11. 공산세계의 동향
12. 인접세계의 동향
13. 우리 교육의 미래전망
14. 새천년을 위한 교육의 성격
제2부 민족적 정체성을 위한 투쟁
- 제3세계에 있어서 -
머리말
서장 새마을운동의 정치철학
제1장 제3세계의 민족적 정체성
제2장 이데올로기의 정체
제3장 한국교육의 과제와 전망
인명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
8권
제8권 편집자 서문
머리말
제1장 사회화의 교육
1. 인간의 사회성
2. 생물학의 증언
3. 사회화의 개념
제2장 사회환경과 집단
1. 사회환경과 구조
2. 사회집단의 종류
3. 집단의 결합 동기
제3장 대인적 영역
1. 호상행동의 개념
2. 호상이해의 방식
3. 호상관계의 양태
제4장 문화적 환경
1. 규범의 기능
2. 집단과 사회화
3. 사회풍조와 사회화
제5장 사회적 구조
1. 집단과 역할
2. 역할의 성격
3. 인간과 역할
제6장 사회화에 대한 이론
1. 정신분석의 이론
2. 발달심리학의 이론
3. 사회언론학의 이론
4. 호상행동주의의 이론
5. 역할개념의 이론
제7장 사회변동과 인간
1. 사회의 변동
2. 사회성과 개성
3. 주체성의 문제
제8장 주체성과 호상행동
1. 주체성의 의미
2. 호상행동에의 참여
3. 주체성과 균형
제9장 주체성과 역할
1. 역할개념에 대한 이해
2. 역할을 위한 주체성
제10장 주체성의 형성
1. 역할과의 거리
2. 대역과 동조
3. 이견 관용
4. 자아표현
제11장 사회화와 학교교육
1. 문제와 개념
2. 가정과 교육
3. 환경의 격차
4. 교육에의 제언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
9권
제1부 내가 가는 무명의 도
머리말
제1장 양면성의 극복
제2장 해방의 체험
제3장 역설의 소화
제4장 전통의 복권
제5장 고향을 찾아서
제6장 좌익과 우익의 사이에서
제7장 삶의 위기와 초월
제8장 수련과 철학과 종교
제9장 절과 향교와 교회
제10장 걸림돌로서의 기적
제11장 6·25전쟁의 회상
제12장 천리 길의 행진
제13장 죽음과 삶의 사이길
제14장 인간다운, 너무나도 인간다운
제15장 철학의 길을 찾아서
제16장 길 없는 광야의 길잡이들
제17장 민주주의와 도덕의 수준
제18장 튀빙겐의 동쪽 하늘
제2부 만약 인생이 싸움이라면 용기를 가져라
서 문
제1장 지나칠 수 없는 중용의 원리
제2장 소인은 한가할 때 악한 일을 꾸민다
제3장 그대는 여론에 밀려 당나귀를 메고 간 부자가 될 것인가
제4장 지능범죄, 지혜로운 처신, 참 인격
제5장 겸손은 우리가 잊어버린 영혼의 향기
제6장 세 번의 거짓말, 그 무서운 파괴력
제7장 신뢰는 인격의 동일성을 창조한다
제8장 서로 어울려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인간 존재
제9장 방종 아닌 자유, 균등 아닌 평등의 의미
제10장 정의가 무엇이냐, 현대인의 책임
제3부 도의 말을 찾아서
머리말
제1장 타향에서의 친구들
제2장 스승과 조교와 제자
제3장 관념체계와 기초작업
제4장 끝나는 날과 시작하는 날
제5장 동아시아의 신 문화권
제6장 삶의 보금자리, 가정
제7장 인생, 죽음과 친구
제8장 사람됨과 대장부
제9장 이상향을 위한 정치
제10장 교육철학으로서의 유교
제11장 자연 인생 그리고 평화
제12장 중국에 대한 한국의 착각
제13장 가까운 미래의 세계
제14장 고독과 우수의 의미
제15장 사실 진실 비밀
제16장 걸림돌을 넘어서
제17장 추사의 세한도
제18장 국파 산하재
단계 이규호 저술 목록
인명 찾아보기
개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