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71895672
· 쪽수 : 503쪽
· 출판일 : 2007-1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제1장 아시아 외환위기
제Ⅰ절 동남아시아 외환위기의 발생과 전개
제Ⅱ절 한국 외환위기의 발생과 전개
제Ⅲ절 국제투기자본과 IMF체제
제2장 신국제금융체제
제Ⅰ절 아시아 외환위기와 국제금융체제 개편논의
제Ⅱ절 신국제금융체제의 주요 이슈
제Ⅲ절 글로벌 불균형의 전개
제3장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발전과 전망
제Ⅰ절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전개
제Ⅱ절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현황 및 평가
제Ⅲ절 역내 적정환율제도 모색
제Ⅳ절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향후 과제
제4장 한국경제의 글로벌화 대응
제Ⅰ절 금융의 글로벌화와 신국제금융체제
제Ⅱ절 개방경제하에서의 거시경제운용
제Ⅲ절 금융 글로벌화에 대한 대응
제Ⅳ절 한국경제의 비전과 과제
에필로그
국문색인
영문색인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의 외환위기에 대해서는 IMF자금지원 요청을 중심으로 전후의 사정을 자세히 살펴보고, 외환위기 극복과정을 비교적 상세히 기술하였다. 특히 IMF프로그램에 의한 거시경제정책, 기업·금융구조조정의 내용을 시기별로 설명하였다.
1997. 1월 한보의 부도를 기점으로 삼미, 진로, 대농, 해태, 기아 등 대기업의 연쇄부도로 국가신인도가 하락하는 과정과 종합금융사들이 무분별한 단기외화차입 및 장기대출로 인해 만기불일치 현상과 외화자금부족사태에 직면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은행의 외환부족과 환율폭등으로 한국은행이 은행권에 외환보유고를 지원하다가 결국 외환보유고가 소진되어 국가부도 위기까지 몰리는 상황을 기술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은행 단기외채의 만기연장과 40억 달러의 외화표시 국채발행을 통한 단기유동성위기의 극복과정도 소개하였다.-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