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야기/건축가
· ISBN : 9788971992487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06-11-13
책 소개
목차
“지적 감수성을 가지고 시대를 묻는 건축가들”_책을 내면서
제1부 이 시대, 우리의 도시
우리 시대, 도시의 가치 - 승효상 / 웰컴시티
도시구조의 건축 - 김영준 / 허유재병원
건축을 길로 구축한 집 - 최문규 / 쌈지길
공동성이 실현된 지혜의 도시
이 시대, 우리의 도시 - 민현식 도시건축론
제2부 삶의 본원적 가치에 대한 질문
변화가 없으면 진보도 없다 - 김종성 / SK빌딩
시민사회가 만드는 건축 - 책읽는사회만들기 국민운동+정기용 / 기적의도서관
열린사회를 지향하는 이 시대의 대학 캠퍼스 - 민현식 / 한국전통문화학교
이 시대의 피난처 - 조병수 / □자집
흙 건축에서 복원된 우리의 오래된 가치 - 정기용 / 자두나무집
우리시대의 한옥 - 정현화 / 필당
제3부 편집된 풍경 또는 풍경의 편집
건축적 풍경 - 조성룡 / 양재287.3에서 의재미술관을 지나 선유도공원에 이르는 풍경의 여정
땅의 조건에서 도출된 건축풍경 - 황일인 / 서귀포 월드컵경기장
삶과 풍경이 조우하는 아름다운 집 - 이민아+다니엘 바예 / 교문사
도시의 지형을 새롭게 구축하는 건축 - 이민+손진 / SJW 패션사옥
제4부 감각의 디자인, 경험의 디자인; 우리들의 기억과 욕망
내가 보았던 것을 보려 하십시오 - 이종호 / 박수근미술관
이야기꾼으로서의 건축 - 서혜림 / 서울시청 직장 어린이집
현상학으로서의 건축 - 김준성 / 아트레온
행위가 현상으로 재현되는 공간 - 김종규 / 카이스갤러리
오감으로 체득되는 건축 - 최욱 / 두가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하나의 전능과 질서가 지배하던 시대는 항상 역사적 유물의 형태언어를 변조한 모뉴먼트를 갈구한다. 양의 동서를 막론하고 그것이 정통성이 없는 권력일 때 과대망상증에까지 이르기도 한 건축 역사를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지난 60년대 이후 우리의 건조물들 역시 예외가 아니어서 대부분 거대한 기념비적 형태에 골몰해왔다. 이러한 관습이 지속되어 새천년, 새로운 시대의 가치를 드러내야 할 조형물이나 지금 다투어 모습을 드러낸 월드컵경기장들 역시 이러한 콤플렉스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 본문 226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