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고고학/인류학
· ISBN : 9788972187288
· 쪽수 : 604쪽
· 출판일 : 2021-11-10
책 소개
목차
이 책의 내용 구성과 출간의 과정, 그리고 감사의 말씀
머리말
I 새로운 종합을 위한 이론적인 배경
1 아시아지역의 인류 서식과 문화적인 다양성의 연원
2 동아시아 구석기 고고학의 주요 주제들
3 구석기문화와 인류 적응 이해의 방법론적인 출발
II 고환경
1 아시아지역의 고기후 변화
2 기후변동을 보여주는 퇴적물 자료
3 동아시아의 지역별 생태환경
III 동아시아의 초기 인류 확산의 증거들
1 아웃 오브 아프리카 그리고 동아시아로의 확산
2 초기 호모 확산의 지역적인 증거
3 동아시아지역으로 초기 호모 확산
IV 중부 홍적세의 환경 변화
1 중부 홍적세의 기후변동과 환경
2 지역별 중부 홍적세의 동물상의 변화
V 중부 홍적세의 고인류의 진화
1 호모 에렉투스의 진화
2 고형의 사피엔스 화석들
3 아시아지역에서의 중부 홍적세의 환경 변화와 인류 진화
VI 중부 홍적세의 구석기문화
1 지역별 구석기문화의 다양성
2 석기 공작 패턴의 지역성과 문화 진화
3 고인류의 행위와 인지 진화
VII 상부 홍적세의 환경 변화
1 상부 홍적세의 기후와 식생 변화
2 지역별 환경 변화
3 퇴적물 환경과 유적의 구조
VIII 절멸종의 고인류 화석들과 현생인류의 확산
1 절멸종의 호모 그룹들
2 현생인류 체질적 특성과 기원에 대한 의문들
3 아시아 각지의 현생인류 화석
4 아시아지역에 있어서 현생인류의 진화
IX 상부 홍적세의 석기 공작의 다양성
1 기술과 편년체계 그리고 석기문화 진화 이해의 방법론
2 지역별 석기문화 양상
3 동아시아 구석기시대 예술의 기원과 진화
X 문화적인 다양성과 현생인류의 진화
1 석기문화 지역적 패턴과 다양성 이해의 방법론
2 북방지역 석기문화의 동서 흐름의 양상
3 남방에 있어서 석기문화의 연속성과 단절
4 상부 홍적세 구석기의 남-북과 동-서 패턴
5 극동아시아지역의 문화복합 양상과 후기구석기문화의 지역적 변동과정
6 현생인류와 문화의 진화와 확산 그리고 지역 진화
XI 동아시아지역의 인류 진화 연구의 현재와 미래
1 아시아 인류 진화 연구의 문제점
2 인류 진화 연구의 미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동아시아지역은 아프리카에서 동으로 이동하였다는 인류의 진화와 확산의 과정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으로 본다면 인류 진화의 확산의 주요한 단계에서 가장 늦게 확산한 곳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거대한 대륙의 동편은 남북으로 그리고 동서로 다양한 환경이 펼쳐지고 있어서 인류의 다양한 적응이 필요한 지역이다. 지형이나 환경적인 입장에서 본다고 하면 아시아지역은 가장 다양한 환경을 가지고 있고 다양한 극지 환경이 분포하고 있고 무더운 열대에서 몹시 추운 한대, 그리고 가장 낮은 저지에서 가장 높은 고산까지가 포함되어 있다. 이제까지의 알려진 고인류학적 그리고 고고학적인 자료로 보면 이 지역에서 상당히 독특한 체질적인 진화와 아울러 이 지역 환경에 맞추어 이루어진 문화 진화 현상이 있었다는 점에서 인류의 전체적인 진화과정을 밝히는 데 지극히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점에서는 아시아의 진화과정을 이해하지 않고는 인류 진화의 다양한 과정과 인류의 일반적인 적응능력을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이다. 왜냐하면 열대우림에서 북극지방까지의 환경적인 범위를 가지고 있는 곳이고 또한 해안에서 티베트의 고원지에 이르는 고도의 환경의 차이, 그리고 대륙에서 섬으로 확산하여 간 곳이며, 또한 기후변동과정에서 달라지는 계절성이 강한 몬순기후에 의해서 환경 변화가 지배되는 곳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양한 환경에 인류가 적응하면서 다양한 적응방식을 보인 곳이기도 하다. 시베리아를 포함한 남아시아와 동아시아지역을 인류의 진화 관점에서 말하자면 어떤 의미에서는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인류가 지난 200만 년 동안 놀았던 운동장이었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말은 결국 다양한 인류가 진화할 수 있었고 또한 오늘날 현생인류의 다양성이 잉태된 곳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