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음악이론/음악사
· ISBN : 978897218761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3-01-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책머리에
1 제1차 산업혁명과 베르디의 오페라
2 바그너주의
3 후기 낭만파의 진보적 작곡가들
4 음유시인과 이탈리아의 칸초네
5 제1차 산업혁명 시기의 조선 음악
6 제2차 산업혁명과 변화한 음악환경
7 인상주의(Impressionism)
8 표현주의(Expressionism)
9 민족음악과 국민주의 음악
10 표현주의 이후 순수음악
11 신고전주의(Neo-classicism)
12 아방가르드의 다양한 실험음악
13 재즈와 미국 대중음악
14 기계문명으로 꽃 핀 뮤지컬
15 미국 대중음악의 다양성
16 미국으로 몰려드는 세계의 음악
17 한국의 청년문화와 대중음악
18 전자음악과 대중음악의 변화
19 판을 새롭게 짠 국악
20 제3차 산업혁명과 포스트모더니즘 음악
21 세상을 지배하는 대중음악
22 한국의 대중음악
23 국악, 날개를 달다
24 제4차 산업시대와 음악의 힘
25 K-pop, 세계를 달리다
26 음악의 미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 사회 일부에서는 국악을 ‘장타령’이라느니, 트로트를 저속하다느니, 클래식을 난 척하려는 음악이니, 대중음악이 클래식보다 한 수 아래라느니 하면서 각자의 환경에 따라 형성된 정서와 다른 음악을 폄하하고 있다. 어느 한 장르에 빠지다 보면 이러한 점에서 미처 다른 분야의 음악을 이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극한 혐오의 대상까지 될 수도 있다. 음악은 사실 갈래도 많을 뿐 아니라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도 많다. 이렇듯 많은 종류의 음악은 산업혁명이 생기기 이전이라면 상상할 수도 없었던 일이다. 어쩌면 이러한 경향은 산업혁명 이후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 주어진 축복일 수도 있다.
현대사회에서 음악은 일반적으로 마이크나 녹음 시설 그리고 재생 시스템 등을 사용하여 듣게 된다. 음악회장에 간다거나 육성으로 노래를 그대로 듣지 않는 한 우리는 거의 기자재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게 된다. 음악회장에서 들을 수 있는 음악까지도 마이크를 통하여 각종 에코나 잔향 기계 등의 음향효과를 알게 모르게 사용하고 있다. 음향기기의 변천도 우리의 음악 환경에 큰 영향을 주었다. 축음기에서 SP 판, LP 판, 녹음테이프에 카세트테이프, 콤팩트디스크, 그리고 MP3 등 그 많은 변천 과정이 모두 기계문명과 관련되지 않았는가? 주어진 환경이 이렇다 보니 작곡과 편곡 그리고 연주의 형태까지도 또한 바뀔 수밖에 없다. 이 모든 과정이 1차부터 4차 산업혁명 사이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고 있음을 우리는 알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