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물리치료
· ISBN : 9788972242185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0-02-25
목차
서문
역자 서문
일러두기
감사의 글
제1장 개요(Introductions)
■ 신체적 휘트니스의 정의
■ 건강관련 신체적 휘트니스
■ 검사와 측정 기구
■ 요약
■ 참고문헌
제2장 활동전 검사(Pre-Activity Screening)
■ 활동전검사의 지침
■ 위험 층
■ 동의서
■ 의뢰인과의 상담 및 정적검사에 대한 오리엔테이션
■ 운동검사에 대한 의뢰인과의 상담 및 오리엔테이션
■ 그 밖의 휘트니스 검사에 대한 설명
■ 요약
■ 임상 연구
■ 참고문헌
제3장 안정과 운동시의 혈압과 심박도수 (Resting and Exercise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 혈압의 정의
■ 심박도수의 정의
■ 심혈관성 혈역학
■ 혈압측정
■ 안정시 혈압 측정과정
■ 운동시 혈압측정
■ 심박도수 측정
■ 운동시 심박도수의 측정
■ 압력발생률과 중복발생
■ 요약
■ 임상연구
■ 참고문헌
제4장 체성분(Body Comprosition)
■ 체성분의 정의
■ 비만증의 건강적 함의
■ 인체계측법-체성분
■ 체성분 방법론의 요약
■ 임상연구
■ 참고문헌
제5장 근육의 휘트니스 : 근력, 근지구력 그리고, 유연성 (Muscular Fitness: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 근력의 정의
■ 근 지구력의 정의
■ 근력의 일반적인 측정
■ 근 지구력에 대한 일반적인 측정
■ 유연성의 정의
■ 부가적인 검사에 대한 권고할 만한 장비
■ 임상연구
■ 참고문헌
제6장 자세분석과 신체정렬평가 (Postural Analysis and Body Alignment Assessments)
■ 중력중심, 기저면, 그리고 중력선
■ 정적 그리고 동적 자세
■ 자세평가를 위한 장비
■ 자세검사 및 평가과정
■ 관절 가동범위평가와 측각술
■ 요약
■ 참고문헌
제7장 심호흡계 휘트니스 측정: 예측 심호흡계 휘트니스에 대한 스텝 검사와 필드 검사(Cardiorespiratory Fitness Measurement: Step Tests and Field Tests to predict Cardiorespiratory Fitness)
■ 심호흡계 휘트니스 측정의 연속성
■ 심호흡계 휘트니스 측정의 중여성
■ 검사전 고려사항
■ 스탭검사
■ 유산소 능력 예측에 대한 필드 검사
■ 최대산소섭취량에 대한 표준: 최대산소섭취량
■ 요약
■ 임상연구
■ 참고문헌
제8장 검사실에서의 최대하 운동 검사: YMCA 싸이클 에르그 측정기 검사, Astrand 싸이클 에르그 측정기 검사, 그리고 Bruce 최대하 트레드밀 검사 (Laboratory Submaximal Exercise Testing: YMCA Cycle Ergometer Test, Astrand Cycle Ergometer Test, and the Bruce Submaximal Treadmill Test)
■ 최대하 검사의 정의
■ 싸이클 에르그 측정기
■ 심호흡계 휘트니스의 최대하 예측
■ 최대하 운동검사
■ YMCA 최대하 싸이클 에르그 측정기 검사과정
■ Astrand 최대하 싸이클 에르그측정기 검사과정
■ Bruce 최대하 트레드밀 운동검사 과정
■ 요약
■ 임상연구
■ 참고문헌
제9장 최대운동검사 (Maximal Exercise Testing)
■ 1.최대등급별 운동검사의 목적은 무엇인가?
■ 2.중등도 운동 프로그램 시작전 최대 등급별 운동검사(그리고 현재 의학적 검사)는 누가 받는가?
■ 3.최대등급별 운동검사의 '감독'을 위해 의사가 참석해야 하는가?
■ 4.최대등급별 운동검사수행에 대한 인원의 필요성은 어떠한가?
■ 5.최대등급별 운동검사시 사용되는 방법과 과정은?
■ 6.최대등급별 운동검사의 금기증과 검사 종료표준은 무엇인가?
■ 7.Bruce방법 수행으로 최대유산소능력의 예측
■ 요약
■ 임상연구
■ 참고문헌
제10장 평가결과의 분석: 사례연구 (Interpretation of Assessment Results: Case Stuies)
■ 사례 1: JANE SLIMMER
■ 사례 2: JOHN QUICK
부록A 전환
부록B 위험 층 사례
부록C 형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