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문학일반
· ISBN : 9788972733782
· 쪽수 : 620쪽
· 출판일 : 2022-01-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Ⅴ
Abstract ⅩⅤ
제1부 문학지리학의 관점과 전망 1
제1장 문학지리학의 관점과 연구방법론 2
1. 문학공간과 문학지리학•2
2. 지리학연구자가 문학공간을 보는 시각•6
3. 문학연구자가 문학공간을 보는 시각•27
제2장 문학지리학의 쟁점과 전망 50
1. 연구자 간 교감과 소통의 필요성•50
2. 용어와 개념 문제•52
3. 문학공간의 스토리텔링 및 콘텐츠 활용•55
제3장 문학지리 탐구와 글쓰기 70
1. 장소체험과 글쓰기•1
2. 문학공간에 대한 문헌조사, 현장조사•75
3. 영상자료 활용, 지리좌표 기록과 문학지도 제작•78
제2부 고전문학 속의 도시경관과 장소성
제1장 해로사행록과 등주의 장소성 82
1. 해로사행의 관문, 산동반도 등주(登州)•82
2. 고려 말 사행시에 그려진 등주 경관•83
3. <조천항해록>과 등주 경관•95
81
4. 1630년 정두원의 해로사행과 등주인 김영철•101
제2장 상업도시 개성과 개성상인 형상 104
1. 개성상인의 희로애락과 내면세계 보기•104
2. 상업도시 개성의 풍경과 송상에 대한 기억•110
3. 서사문학 속의 개성상인•118
4. 학문과 구제사업에 힘쓴 개성상인의 후예와 개성부자•130
제3장 19세기 말 간도경관과 유민 141
1. 간도와 유민•141
2. <영고탑북정지>에 그려진 영고탑 여정과 북간도 경관•144
3. 차사원 김광우가 간도 유민을 바라보는 시선•159
4. <강북일기>에 그려진 서간도이주민 형상과 중앙정부의 시선•166
제4장 『조선환여승람』과 영암의 로컬리티 170
1.근대지리지 『조선환여승람』의 출판명분과 상업적 유통•170
2. 『조선환여승람』 『영암군편』의 향토문화와 향촌인물 수용•173
3. 연주현씨(延州玄氏) 가문의 대거수록과 현준호•176
4. 왕인 박사의 영암출생설과 유적지 조성사업•185
제3부 전란서사와 동아시아 문학공간 193
제1장 <조완벽전>의 포로서사와 일본·베트남·바다 194
1. 정유재란 민간인포로가 전하는 해외견문•194
2. <조완벽전>의 텍스트 분석•196
3. 조완벽의 해외체험과 해양체험•205
4. 소설 <최척전>의 문학공간에 끼친 영향•222
제2장 『북정록』을 통해 보는 흑룡강원정의 노정과 경관 230
1. 『북정록』과 흑룡강원정의 현장•230
2. 흑룡강원정의 일정과 노정•235
3. ‘회령-목단강’ 구간의 문학지리와 경관•238
제3장 흑룡강원정서사와 이역인식 257
1. 1658년 흑룡강원정과 『북정록』•257
2. 새로운 이역, 북해변 러시아군에 대한 인식과 묘사•261
3. 만주 변방 부족민에 대한 인식과 묘사•273
4. 청의 북방산하에 대한 인식과 묘사 •279
제4장 조선후기 전쟁소설과 북부지방의 표상 291
1. 전란과 북부지방의 표상화•291
2. 의주 피란노정과 관서·관북인들의 호국정신: <임진록>•295
3. 호란의 기억과 적막한 북방 경관: <김영철전>·<임경업전>·<박씨전>•301
4. 정주성 전투 장면과 변방의 반란: <신미록>•311
제4부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문학지리학적 해석 321
제1장 문학지리학으로 본 심하전투서사의 해석 322
1. 공간의 발견과 심하전투서사•322
2. 심하전투서사의 공간정보와 문학지도•325
3. 도강과 진군 노정: 양마전 개활지와 연합군의 숙영•329
4. 전투의 현장으로 가는 길: 험난한 우모령과 굶주린 군사들•331
5. 전투의 현장: 부산·부찰 들판의 경관과 강홍립·김응하의 형상화•335
6. 포로길과 탈출로 : 허투알라성의 경관과 포로서사•349
제2장 심하전쟁포로 김영철의 귀환서사와 상상된 문학공간 361
1. 상상된 문학공간•361
2. 건주탈출 노정과 영원성전투•363
3. 영철의 등주정착과 혼인서사•373
4. 신미년(1631)의 사행선과 등주탈출•388
제3장 공간묘사의 빈틈과 <김영철전> 서사의 해석 397
1. 참전군인의 인생사를 서사화한다는 것•397
2. 전란기술과 주인공의 인생변곡을 연결시키는 글쓰기•401
3. 노정서술과 경관묘사의 빈 틈•420
4. 참전군인의 고단한 삶과 보상에 대한 문제제기•427
제4장 <최척전>의 이산-귀환서사와 문학지리 430
1. <최척전>의 문학공간과 16·17세기 동아시아 공간•430
2. 작가의 공간, 조위한과 남원부성•434
3. 국내공간의 문학지리와 만남-이산의 서사•437
4. 해외공간의 문학지리와 유랑-귀환의 서사•453
5. 공간중심의 소설이해와 문학공간 활용방안•471
제5장 남원선비 최척의 망명서사와 소흥·항주 공간의 상상력 475
1. 중국 강남공간에서 펼치는 안식의 서사475
2. 옥영의 포로길, 최척의 망명길•478
3. 피신의 공간, 소흥•480
4. 안식의 공간, 항주•488
제5부 문학공간을 활용한 콘텐츠전략 501
제1장 흑룡강원정서사와 시각화콘텐츠 502
1. 디지털 공간에서 흑룡강원정서사 재현하기•502
2. 흑룡강원정서사의 시각화 요소 분석•505
3. 노정 및 인물관계의 시각화•514
제2장 <최척전>과 지역문화콘텐츠 530
1. <최척전>과 남원•530
2. <최척전>의 콘텐츠 요소분석•537
3. <최척전>의 콘텐츠 개발전략•544
맺음말 559
참고문헌 564
찾아보기 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