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91157076550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5-05-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5
여는 글 옛이야기의 장르적 정체성 / 17
제1부 옛이야기집의 편찬과 문화인식
1장 19세기 말~20세기 전반 옛이야기집 / 63
1. 옛이야기 수집과 한국문화 인식 / 65
2. 서양인이 편찬한 옛이야기집: 호머 헐버트, 『마법사 엄지』 / 71
3. 일본인이 편찬한 옛이야기집 / 86
4. 한국인이 편찬한 옛이야기집 / 106
2장 해방 이후~1980년대 옛이야기집 / 126
1. 해방 이후~1960년대: 선집과 소화집의 시대 / 126
2. 1970~1980년대: 정전화 작업과 민족문화 인식 / 133
3장 1990년대~21세기의 옛이야기집 / 158
1. 1990년대: 다양화 주제 출현, 그림책의 시대 / 158
2. 2000년대 이후: 문화인식의 다각화, 대형화·세계화 / 165
제2부 옛이야기와 문화담론
1장 옛이야기 연구에 나타나는 식민주의 유산 / 179
1. 다카하시 도루의 사회관찰자론과 『조선이야기집』 / 181
2. 다나카 우메키치의 동심론과 『조선동화집』 / 187
3. 《대동아권동화총서》에 나타난 제국의 시각 / 203
2장 옛이야기의 교과서 수록과 문학교육 활용 / 220
1. 옛이야기의 교육적 가치 / 220
2. 초·중등교육: 정체성과 가치교육의 매개체 / 222
3. 유아교육: 상상력과 정서 발달의 기반 / 224
4. 통일교육: 문화적 공감과 평화 감수성 형성 / 225
5. 외국인 대상 한국문화교육: 문화 코드의 해석 도구 / 226
6. 옛이야기 활용 교육의 유용성 / 227
3장 옛이야기 그림책에서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 / 229
1. 옛이야기 그림책 읽기의 시각 / 229
2.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 방식 / 232
3. 글의 개성과 특징 / 247
4. 그림의 표현과 개성 / 251
4장 아시아 옛이야기와 문화소통 / 258
1. 이주민들이 안고 들어온 아시아 옛이야기 / 258
2. 다문화동화로서 옛이야기 읽기 / 260
3. 한국 및 아시아 옛이야기의 유형분류 제안 / 265
4. 문화소통과 정서 공유의 매개, 옛이야기 / 274
제3부 문화융합시대 한국옛이야기학의 전망
1장 생태문학 관점에서 본 아시아 옛이야기 / 279
1. 옛이야기에서 발견하는 생태담론 / 279
2. 인간과 자연의 화해, 생태미학에 관한 논의 / 284
3. 아시아 생태 이야기의 연구방향 / 288
4. 아시아 생태 옛이야기의 연구 과제 / 300
2장 아시아 옛이야기 비교연구와 문화소통 / 303
1. 아시아의 보편적 옛이야기, 선악형제담 / 303
2. 선악형제담의 서사적 특징과 문화요소 / 306
3. 옛이야기의 선악관념 비교 / 334
3장 옛이야기 캐릭터에 관한 해석과 스토리텔링 / 341
1. 서사를 이끌어가는 주체, 캐릭터 / 341
2. 근대 옛이야기의 주요 캐릭터 / 342
3. 현대에 사랑받는 옛이야기와 캐릭터 / 346
4. 재해석된 옛이야기 캐릭터 / 355
5. 아시아 캐릭터의 발굴과 활용 / 365
4장 옛이야기에 담긴 상상력과 문화수용력 / 376
1. 욕망충족의 서사와 자아확장 / 377
2. 옛 문화 이해와 공동체 감수성 고취 / 379
3. 확장된 시공간 체험과 지구적 상상력 기르기 / 381
닫는 글 옛이야기, 세계인과 소통하는 민간서사문학 / 382
자료목록 / 388
미주 / 406
참고문헌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