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토지정책, 무엇이 올바른 길인가?

토지정책, 무엇이 올바른 길인가?

반영운, 한국토지정책학회 회원 (지은이)
충북대학교출판부(CBNUPRESS)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000원 -0% 0원
480원
15,5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토지정책, 무엇이 올바른 길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토지정책, 무엇이 올바른 길인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2955368
· 쪽수 : 247쪽
· 출판일 : 2022-02-28

책 소개

토지문제의 본질, 올바른 토지정책을 다루는 책이다. 특히, 토지의 공공성에 근거한 국토보유세, 주택정책, 부동산정책과 금융개혁, 통일시대의 토지정책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 동안 한국에서 토지정책 관련 연구와 실무를 해오고 있는 한국토지정책학회 회원들의 글을 모아 편집하였다.

목차

제1부 토지문제, 무엇이 본질인가 1
1-1. 우리의 전통적인 토지관으로 본 소유와 사용의 개념 | 이원영 3
1-2. 조선말에서 해방직후까지 토지를 둘러싼 큰 사건들 | 조성찬 7
1-3. 이명박부터 박근혜를 지나 문재인까지...부동산 정책의 진짜 맥락 | 조정흔
- 침체기에도, 호황기에도 정부 눈길은 ‘오직 주택 공급뿐’ 10
1-4. 들썩이는 자산시장, 저금리의 그림자 | 정세은 15
1-5. 벼락거지 된 촛불 시민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나 | 이원영
- 기업에 부동산 몰아주기와 금융 하수인 된 언론 18
1-6. 핵심은 국가의 땅장사... 그 땅을 팔지 마라 | 이원영
- 부동산 양극화의 근원, 택지개발제도...
수용한 토지 되팔기는 헌법 가치 파괴다 23
1-7. 주거권이냐 사유재산권 절대주의냐 | 장상환 29

제2부 토지정책, 무엇이 올바른 길인가 33
2-1. 부동산 대책, 진영의 문제가 아니다 | 김윤상
- 시장경제를 원한다면 토지 불로소득 환수해야 35
2-2. 종부세 강화 법안 발목 잡지 마라 | 정세은 40
2-3. 불로소득 환수가 정답이다 | 정세은 43
2-4. 부동산정책 흔들리면 공든 탑 무너진다 | 정세은 46
2-5. 끝내자, 집으로 돈 버는 시대 | 정세은 49
2-6. 주택투기 광풍, 어떻게 잠재울까 | 장상환 52
2-7. ‘국민 공동자산’: 헨리 조지의 위대한 발견 | 김윤상
- 누구나 자기 몫으로 자기 삶을 보장할 수 있다 55
2-8. 공급부족론은 허구, 보유세 제대로 올려야 | 김윤상, 이태경, 이원영
- ‘문재인 정부 부동산정책’ 진단 토크쇼 59
2-9. 한국토지정책학회 좌담회 요지 | 김성훈
- ‘은행 빚으로 자산증식하자는 도박’이 여당 정책이라고? 75

제3부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 79
3-1. 토지배당제와 새로운 사회 | 남기업 81
3-2. 토지불로소득을 기본소득의 재원으로 | 이태경
- 토지보유세로 부동산 문제도 해결하고 기본소득도 주고 95
3-3.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가 정답이다 | 이태경 99
3-4. 전 국민이 부동산으로 고통 받는 지금이 기회다 | 이원영
-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가 필요한 이유 104
3-5. 토지보유세 과세 기준은 ‘공시지대’로 | 김윤상 111

제4부 토지임대주택의 원리와 시행방안 115
4-1. 주택문제, 해법이 없는가 | 배문호
-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이 답이다. 117
4-2. 토지임대주택의 원리 | 이원영
- 자산 증식 ‘욕망’이 된 아파트... 맨해튼에 답 있다 120
4-3. 토지임대주택의 시행방법 | 이원영
- 이자수입만 41조 ‘빚투’ 시대, 토지임대주택이 기능하는 법 128
4-4. 3기 신도시, 공공임대-토지임대 주택공급으로 주거안정 극대화 | 반영운 134

제5부 현장에서 겪는 부동산문제와 토지의 공공성 139
5-1. ‘버려진 땅’ 난지도의 변신이 시사하는 부동산 해법 | 조정흔
- 쓰레기 매립장이어서 모두가 누리는 공원이 된 난지도의 역설 141
5-2. 대한항공 송현동 부지의 시세는 없다 | 조정흔
- 토지의 공공성을 회복해야 145
5-3. 대장동 도시개발사업의 전말 | 배문호 152
5-4. ‘대장동 사태’라는 수레바퀴를 끝내는 방법 | 조정흔
- 화천대유 게이트로 본 부동산 공급방식에서 공공의 역할 163
5-5. 대장동, 부동산 불로소득의 마지막 파티 | 이태경
- 개발방식의 전면 전환 계기가 되어야 171
5-6. 농지제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 장상환 175
5-7. 싱가포르의 토지-주택 정책 | 반영운 178
5-8. 산업단지 공급, 공공 토지임대 또는 토지-건물 임대방식으로 | 반영운 185
5-9. 토지 공공성 확보로 환경정의 실현할 수 있어 | 반영운 191

제6부 부동산정책과 금융개혁 195
6-1. 재정과 금융 민주화는 부동산시장 정상화의 출발점 | 최배근 197
6-2. 우리나라 부동산 금융의 개선 방향 | 임재만 203
6-3. ‘한국토지은행’을 상상한다 | 이원영 223

제7부 통일시대를 열어가는 토지정책 231
7-1. 통일시대,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체제가 중요한 이유 | 조성찬 233
7-2. 해방 후 북한의 토지제도 변화 및 나아갈 방향 | 조성찬 242

저자소개

반영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이며 한국산업생태학회 회장이다. 연세대학교에서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University of Pennsylvania에서 환경정의를 주제로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충북 EIP(생태산업단지) 사업단장, 한국도시행정학회 및 한국지역학회 학회지 편집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지속가능발전의 바탕 위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을 통해 특정 연구목적에 다각도로 접근, 분석하고자 하는 융합연구에 관심이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지속가능한 도시계획 및 도시재생, 스마트 도시 공간 정보분석, 환경정의, 생태산업개발 등이 있다. 2016년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2016 학제간 인문사회 융복합연구지원사업 새싹연구에 ‘지속가능한 도시 메타볼리즘을 활용한 도시의 안전성 평가모델 개발 및 적용’을 주제로 선정되었다. 이외에도 근린 재생형 도시재생사업 운영매뉴얼(2016), LID기반 도시계획 평가 및 수립지원 체계 개발(2016), 지속가능한 환경도시 계획을 위한 Space Syntax분석 확장모델 개발(2014)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융합연구를 실천해 나가고 있다.
펼치기
한국토지정책학회 회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김성훈(홍익대 도시공학과 초빙교수) ● 김윤상(경북대학교 행정학부 명예교수) ● 남기업(토지+자유연구소 소장) ● 반영운(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 배문호(LH 주거복지전문위원, 토지주택대학교 겸임교수) ● 이원영(수원대학교 도시부동산학과 교수) ● 이태경(토지+자유연구소 부소장) ● 임재만(세종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 ● 장상환(경상대학교 경제학과 명예교수) ● 정세은(충남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조성찬(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 원장) ● 조정흔(하나로감정평가사사무소 감정평가사) ● 최배근(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 저자서문 ]
토지는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생겨서 인간에게 주어진 것이다. 그런데 인간의 모든 행위는 토지 위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행위의 결과로 결정되는 토지의 가치는 토지 소유자의 노력보다는 공동체 구성원의 노력에 의해 생겨난다. 따라서 토지 가치는 토지의 소유 여부가 아닌 토지가치를 창출한 주체인 공동체 구성원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토지정책은 토지가치의 공유가 아닌 토지 소유를 근간으로 시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토지가치의 대부분은 토지의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는 소수의 부유층에게 독점되고 있다. 토지가치의 불균등 분배로 인해 우리 사회 내에 부의 불평등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소득 계층 간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세대 간의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제, 사회, 환경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토지정책이 올바르게 수립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사회가 눈부시게 진보하는데도 극심한 빈곤이 사라지지 않는 원인은 토지사유제에 있다. 생산을 위해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는 토지소유자가 단지 토지를 소유한다는 이유만으로 생산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런 제도에서는 생산자에게 돌아갈 몫이 그만큼 줄어들고 부당한 빈부격차가 발생하게 된다. 토지는 국민 모두의 것이다. 그러나 이미 토지 사유화가 정착된 사회에서는 굳이 토지를 몰수할 필요는 없고 지대 즉 토지가치만 환수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매년 토지의 연간 임대가치를 ‘지대세’로 징수하면 된다. - 김윤상 교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